• 제목/요약/키워드: 표준주의지침 인식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신종호흡기 감염병 대응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Nurses in Response to New Respiratory Infection Disease on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

  • 최은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285-29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에 대한 지식, 인식, 수행 정도를 알아보고 표준주의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은 B시의 2개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준주의지침 지식 정도는 평균 22.55/25점, 인식 정도는 평균 3.68/4점, 수행 정도는 평균 3.77/4점이었으며, 표준주의지침 인식과 표준주의지침 수행(r=.250, p=.003)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표준주의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표준주의지침 인식(β=-.582, p=.001)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표준주의지침 수행을 향상시키고 신종호흡기 감염병에 잘 대응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이를 위해 의료기관에서 체계적인 교육과 교육 참여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ompli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Long Term care Hospital nurses)

  • 장미옥;이진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813-823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표준주의지침 인식 8.50, 건강신념 3.76점(하위영역- 지각된 민감성 4.03점, 지각된 심각성 4.04점, 지각된 유익성 3.91점, 지각된 장애성 3.54점, 행동계기 2.92점), 표준주의지침 수행도 37.90점이었다.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는 표준주의지침 인식(r=0.419, p<.001), 건강신념(r=0.443, p<.001), 건강신념 하위영역인 지각된 민감성(r=0.169, p=.044), 지각된 유익성(r=0.207, p=.013), 지각된 장애성(r=0.486, p<.001), 행동계기(r=0.204, p=.014)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지각된 장애성(β=0.373, p<.001), 행동계기(β=0.271, p<.001), 표준주의지침 인식(β=0.245, p=.004) 이었고 설명력은 32.5%이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의 관계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betwee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ractice of Standard Precau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 최정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3호
    • /
    • pp.101-110
    • /
    • 2024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비판적 사고성향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S시, C시 소재 3개 중소병원의 간호사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함여 의사를 표시한 대상자는 158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월 5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이었고, 수집된 자료의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 회귀분석, Sobel test는 SPSS/WIN26.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표준주의 지침 수행도는 환자안전문화인식(r=.524, p<.001) 및 비판적 사고성향(r=.47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반복연구가 이루어지고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병원간호사의 감염예방 표준주의지침 지식, 인식, 안전환경 및 수행도에 관한 연구 (Knowledge, Perception, Safety Climate, and Compliance with Hospital Infection Standard Precautions among Hospital Nurses)

  • 서영희;오희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16권1호
    • /
    • pp.61-70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nowledge, perception, safety climate and compliance with hospital infection standard precaution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nurse's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Methods: Using the structured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92 nurses working at 4 general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city Seoul in October, 2008. Data were entered and analyzed with SPSS 12.0. Results: The majority of nurses were female with a mean age of 27.8. The mean score for knowledge of standard precautions was 21.2 out of 25. The nurses lacked knowledge on reusable gloves or gowns. Nurses perceived use of protective devices may not only increase time strain but also hinder development of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patients. Of safety climate factors, lack of time wa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barrier to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Knowledge, perception, and safety climate explained 16.1% variance of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Conclusion: To improve nurses'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provision of education and support for safety climate are necessary.

간호대학생의 병원감염예방 표준주의지침에 대한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of Infection Control)

  • 서지혜;정은영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9권2호
    • /
    • pp.69-75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 of infection control. Methods: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results, mistakes and percentage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Among the participants, 76.5% received hospital infection education, and 72.5% experienced an exposure to blood or body fluid, and the most of the exposures were occurre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the third year. The knowledge score was $20.08{\pm}2.09$, the awareness score was $4.63{\pm}.41$, and the performance score was $4.34{\pm}.5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ndard precautions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the awareness and the performance were in positive correlations, while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standard precautions were awareness and the school year (third year), which had 37.0% of the total exposures.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standard precautions among the nursing department students, after ident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school years and demands of th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inuous and regular education of standard precautions.

간호대학생의 혈액 및 체액 노출실태, 감염예방 표준주의 지식, 인지도 및 수행도 (Survey of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of Infection Control in Nursing Students)

  • 정미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16-329
    • /
    • 2015
  • 이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혈액 및 체액의 노출실태와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 인지도와 수행도를 파악하여 감염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J지역의 간호학과 3, 4학년 간호대 학생 309명이었다. 대상자의 혈액과 체액에 대한 노출경험은 71.5%이었다.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 평균점수는 $20.59{\pm}2.05$점이고, 학년, 감염교육 유무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인지도의 평균점수는 $4.67{\pm}.36$점이고 연령, 사후조치 없음의 이유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수행도 평균점수는 $4.25{\pm}.70$점이며, 혈액 및 체액 접촉에서 유의하였다. 대상자의 표준주의에 관한 지식, 인지도와 수행도와의 관계는 각각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표준주의 인지도(${\beta}=.274$)만이 유의하게 나타나, 표준주의 수행도 변인의 8.6%를 설명하였다. 표준주의의 인지도와 수행도가 낮은 점수의 영역을 중점적으로 보완한 다양한 감염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학생들에게는 임상실습 진입 전, 감염예방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의료기관의 폐기능검사실에서 감염관리 실태조사 (Infection Control in Pulmonary Function Laboratories in Domestic Hospitals)

  • 이난희;김성욱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43-150
    • /
    • 2023
  • 2019년 12월에 발생한 COVID-19는 세계적으로 대유행하였고, 이로 인해 폐기능검사실의 안전한 감염관리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그러나 국내 유관 기관에서 제공하는 지침과 규제는 이 심각한 공중보건 위기에 대응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1년 10월 1일부터 2021년 11월 2일까지 국내 2차 이상 의료기관 51개를 대상으로 감염관리 기본규정, 일회용품 사용, 환기 시설, 공간 분리, 출입문의 형태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기 주의, 비말 주의, 접촉 주의를 위한 인식과 보호용구착용은 상당 부분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1인 검사 후 환경소독을 항상 시행하는 기관이 39.22%로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일회용품 사용(81.05%), 환기 시설(45.75%), 검사 전용 공간(80.39%), 사무 공간 분리(15.69%), 자동문 설치(19.61%)의 경우 조사 항목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폐기능검사실의 감염관리의 일반적 사항과 시설의 실태조사를 통해 폐기능검사실의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재고하고, 국내 의료기관의 감염병 위기 대응을 위한 후속 연구에 기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폐기능검사실의 감염관리 표준 지침서 개발 및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