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준연료

Search Result 14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잠수함 동력원으로서의 연료 전지

  • Baek, Hyeon-Jo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8 s.246
    • /
    • pp.30-39
    • /
    • 1999
  • 재래식 잠수함의 잠항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안된 AIP 장치들도 끊임없는 기술의 진보와 경쟁 그리고 실선 적용에 의한 검증을 거쳐 미래에는 어느 한 AIP 장치가 표준으로 자리잡게 될 것으로 추측된다. 시스템 자체의 소음수준이 낮을 것으로 기대되는 연료전지 AIP도 많은 홍보와 관심 속에서 실선용이 개발 중이다. 하지만 모든 AIP 장치들이 제각기 고유의 비효용성을 갖고 있는 것처럼 연료전지 역시 안전성 저하를 비롯한 여러 가지 부담을 추가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 PDF

Status of Technology Standard about Fuel Consumption Measurement for HFCVs (수소연료전지자동차 연료소비율 측정방법에 대한 기술 기준 동향)

  • Lee, Hyun-Woo;Kwon, Hae-Boung;Kim, Kwang-Il;Lim, Jong-Soon;Sin, Young-Bok;Maeng, Jeong-Yeo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530-533
    • /
    • 2008
  • 배출가스 및 이산화탄소 등 환경규제 강화와 에너지 고갈 문제는 기존의 내연기관, 동력전달장치, 소재 등의 성능 향상과 함께 대체에너지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소연료전지자동차 등의 상용화가 요구되고 있다. 기존 자동차와는 패러다임이 전혀 다른 수소연료전지자동차는 현재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으므로 수소연료전지자동차 관련 평가기술 중 연료소비율 측정방법도 그에 따라 개발되고 진행되어야 할 것이나 현재 국내에 이와 관련한 체계적인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며, 국제적인 표준도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진행 중인 수소연료전지자동차 연료소비율 측정방법에 대한 기준 동향 및 연구 사례 조사를 통해 관련 연구 계획의 수립과 향후 수소연료전지자동차 연료소비율에 대한 평가기술 도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자동차 연비와 환경오염

  • 조강래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12
    • /
    • pp.1038-1048
    • /
    • 1992
  • 오늘날 자동차에 요구되는 조건은 힘(출력), 안전성, 경제성(연비) 및 저 공해성이다. 아무리 힘이 좋고 안전하게 만들어졌다 하더라도 연료가 많이 소비되면 소비자들로부터 호감을 얻을 수 없 으며 공해를 많이 배출하게 되면 법에 의해 도로상을 주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오늘날 자동차 제작사는 저공해, 고연비자동차 개발에 온갖 힘을 쏟고 있다. 오늘날 자동차는 오염물질의 배출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엔진개량, 연료개량 및 후처리기술을 적용하고 있지만 자동차의 급 격한 증가에 따라 연료소비량이 증가하고 아울러 오염물질의 배출량이 증가하여 대기를 오염시 킨다. 여기서는 자동차의 연료소비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실시하고 있는 정부 공인 표준연비에 대하여 알아보고 오염물질 배출량과의 관계 및 연비 향상대책에 대하여 고찰 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Safety Assessment for Low-flashpoint and Eco-friendly Fueled Ship (친환경연료 선박의 가스누출 피해저감을 위한 연구)

  • Ryu Bo Rim;Duong Phan Anh;Kang Ho Ke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7 no.1
    • /
    • pp.25-36
    • /
    • 2023
  • To limit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ships, numerous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standards have been taken into effect. As a result, alternative fuels such as liquefied natural gas (LNG), liquefied petroleum gas (LPG), ammonia, and biofuels have been applied to ships. Most of these alternative fuels are low flashpoint fuels in the form of liquefied gas. Their use is predicted to continue to increase. Thus, management regulations for using low flash point fuel as a ship fuel are required. However, they are currently insufficient. In the case of LNG, ISO standards have been prepared in relation to bunkering. The Society for Gas as a Marine Fuel (SGMF),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 has also prepared and published a guideline on LNG bunkering. The classification society also requires safety management areas to be designated according to bunkering methods and procedures for safe bunker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cedure for setting a safety management area according to the type of fuel,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leakage scenarios and verify it with a numerical method. In this study, as a feasibility study for establishing these procedures, application status and standards of the industry were reviewed. Classification guidelines and existing preceding studies were analyzed and investigated.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 safety management area for bunkering in domestic ports of Korea can be prepared.

Derivation of Standard Air Temperature Curve for Greenhouse Heating Design and its Application to Heating Degree Hour (온실의 난방설계를 위한 표준기온곡선 유도 및 난방 Degree Hour에의 적용)

  • 김문기;손정익;남상운;유인호;이동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2.12a
    • /
    • pp.21-22
    • /
    • 1992
  • 온실의 난방에 필요한 난방기기의 용량 및 연료소비량을 합리적으로 추정하기 위해서는 난방설계용 외기조건, 즉 표준기상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건물의 냉난방 설계를 위한 표준기상 자료가 대도시 지역의 일부에 대하여만 발표되어 있다. 이것은 농업시설에 대해서는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농업 시설 설계를 위한 개략적인 표준기상 데이터의 선정이 요망된다. (중략)

  • PDF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ehicle fuel economy test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est fuel (시험용 연료 특성에 따른 자동차 연비측정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Lee, Minho;Kim, Jeonghwa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3 no.4
    • /
    • pp.9-18
    • /
    • 2014
  • These test methods, the current domestic vehicles fuel economy calculation method is tested on a dynamometer for vehicles after you have installed the vehicle, given the test mode(FTP-75 & HWFET mode, etc.) are measured by vehicle emissions and fuel economy by seeking to have the results approach, the carbon balance method. At this point, using the carbon balance method is a test method was developed seeking fuel for a standard fuel properties, where the value of the constant and saved test was measured in THC, CO, $CO_2$ has a value calculation. Therefore, use fuel which is changed every time you test the fuel properties characteristics are not considered exactly. In this study, using the carbon balance method and fluid flow rate of the fuel used in the actual test is measur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e flow measurement methods, properties of the fuel used for the test attribute to study ways that can be considered, taking into account the physical attributes of a more diverse fuel line and fuel economy improved measurement methods that can be revie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