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준연동구조

Search Result 159, Processing Time 0.063 seconds

A Standard Method-based Integrated Architecture for Supporting Multimedia Services among Heterogeneous Home Network Middlewares (이질적인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간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위한 표준 메소드 기반 통합 구조)

  • Lee, Hark-Jin;Kim, Su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399-404
    • /
    • 2006
  •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 Havi, Jini, LonWorks, UPnP, SLP 등 여러 미들웨어들이 현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홈네트워크가 계속 진화함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전들에 대해 특화된 새로운 미들웨어들이 계속해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홈네트워크 상에서 이질적인 미들웨어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통합 구조 방식에 대해 고찰하고,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기존 방식과는 달리 이질적인 미들웨어를 통합하는 표준 메소드 기반의 통합 구조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HOMI 구조 (HOmenetwork Middleware for Interoperability)는 이기종 미들웨어간의 연동을 위해 표준 메소드를 사용하여 이기종 장치들이 서비스를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HOMI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기존의 통합 미들웨어 구조와는 다르게 표준 메소드를 사용하여 장치들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홈네트워크를 위한 이기종 가전들간 연동의 효율성과 편리성을 향상시켰다. HOMI는 댁내에 존재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리를 위하여 통합 멀티미디어 데이터관리 매니저를 두고, 장치들간에 연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분산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든지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HOMI는 통합 미들웨어를 위한 중앙 집중형 구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에 의한 부하 문제를 Agent들을 여러 장치에 분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결하였다.

  • PDF

Standardization Trend for Interworking Architecture between Forwarding and Controlling Plane (전달/제어 평면간의 연동구조 표준 동향)

  • Kim, H.J.;Kim, J.Y.;Kim, Y.B.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1
    • /
    • pp.148-155
    • /
    • 2010
  • 전달망 계층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종망간의 확장성을 제공하기 위해 전달 평면과 제어 평면을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표준화 및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두 평면의 기능 요소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기술 개발 및 표준화됨에 따라 이들 간의 연동 구조 및 시그널링 방안에 대한 표준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IETF 및 ITU-T와 같은 국제 표준 기구에서 관련 표준화가 진행중에 있다. 이에 IETF의 FORCES WG의 표준 동향 및 ITU-T의 iSCP 표준 동향을 중심으로 전달 평면과 제어 평면간의 연동을 위한 표준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관련 기술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제어 평면 구조 및 프로토콜에 대한 기술 개발과 표준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Smart Radio를 위한 시스템 연동 구조

  • Baek, Seung-Gwon;Kim, Jin-Eop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8
    • /
    • pp.43-49
    • /
    • 2010
  • 향후 다양한 무선/이동 액세스 네트워크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는 환경에서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사업자 및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이동/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연동구조가 요구된다. 이에 본 고에서는 IEEEP1900.4및 IEEE 802.21에서 제시하는 표준기술을 이용하여 Smart Radio 시스템의 구조 및 Universal Access를 위한 Framework를 제안하고 동작 시나리오 및 기능 모듈간의 연동절차를 제시한다. 또, 제안된 시스템구조 및 Framework의 기능 및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서 시스템수준 시뮬레이터를 설계/구현에 대해서 기술한다. 성능분석의 결과, 제안한 시스템 연동구조 및 Framework를 이용할 경우, 이동단말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통신환경을 자율적으로 인지할 수 있었으며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Design of SIP-H.323 Interworking System (SIP-H.323 연동 시스템 설계)

  • 김상미;최선완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631-636
    • /
    • 2002
  • H.323은 ITU-T의 설러 표준들을 조합하여 구성된 프로토콜로서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인터넷에의 접목이 어려운 단정을 갖고 있다. 이에 반해 SIP는 텍스트 기반의 프로토콜로서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는 점과 인터넷에의 접목과 새로운 부가서비스 창출의 용이하다는 점으로 많은 표준화 기구들이 차세대 네트워크의 호 설정 프로토콜로 채택하고 있다. 비록 SIP가 차세대 네트워크 및 서비스에 이용될 전망이지만 이미 H.323 기반 서비스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므로 SIP 기반의 서비스와 H.323 기반의 서비스 사이의 호환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상에서 음성 및 영상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이용되고 있는 서비스의 표준안 인 SIP와 ITU-T의 표준안 인 H.323 간의 연동 기술을 제안한다.

  • PDF

분산환경에서의 CORBA와 XML의 연동구조

  • 이호섭;홍충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424-426
    • /
    • 2001
  • 분산 환경 시스템에서 현재 많은 응용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고, 사용자들은 서로 다른 환경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활용한 정보공유와 경제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분산 객체 패러다임중 하나인 CORBA와 새로운 웹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는 XML의 연동은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서 현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현재 CORBA와 XML의 연동에 관해 현재까지의 연구에 대해 알아보고, 본 논문에서 새로운 CORBA와 XML의 연동구조를 제안한다. 이 구조의 특징은 모든 OS 플랫폼에 독립적이고, 모든 웹 어플리케이션들과 데이터교환을 할 수 있다.

Design of XML Schema Structure for PHR Service (PHR 서비스를 위한 XML 스키마 구조 설계)

  • Lee, Young-Woo;Shim, Jae-Sung;Park, Seok-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504-50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PHR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각각의 병원에서 서로 다른 문서구조로 인하여 연동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에 대한 방안으로 XML 스키마 구조를 설계하였다. 이를 위하여 PHR과 표준문서 구조를 분석하고 의료기관의 각각의 시스템을 연동하기 위해 XML 스키마를 이용하여 의료정보 연동시스템과 PHR 서비스를 위한 XML 스키마 구조를 설계하였다.

WiMAX와 LTE 4G 이동 통신 진화 및 비교, 연동 구조

  • Im, Jae-Jin;Kim, U-Jae;Kim, Byeong-Seok;Lee, Dae-U;Park, Dong-S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6
    • /
    • pp.3-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국제 전기통신 연합(ITU-R)에서 정의한 4G IMT-Advanced 시스템의 후보 기술로 거론되고 있는 WiMAX와 LTE 이동 통신 기술에 대한 개요와 특징 비교, 그리고 두 망간의 연동 구조에 대해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 등을 기술한다. 첫째, 기존 2G/3G 망과 대별 되는 이들 기술의 발전 과정과 표준 및 기술 동향을 살펴본다. 둘째, 망 구조 및 구성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4G 기술로 언급되는 이들 망의 핵심 특징과 유사성 및 차이점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두 망의 연동 시나리오를 고려하고 WiMAX-Anchored 연동 구조와 LTE-Anchored 연동 구조에 대해 논의한다.

Design of a standard Servcie-Based Integrated Architecture for Supporting Interoperability among Heterogeneous Home Network Middlewares (이질적인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상호 연동성 지원을 위한 표준 서비스 기반의 통합 구조 설계)

  • Lee, Hark-Jin;Kim, Su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547-549
    • /
    • 2005
  • 현재 정보가전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로서 Havi, Jini, LonWorks, UPnP등 여러 미들웨어들이 존재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가 계속 진화함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전들에 대해 특화된 새로운 미들웨어들은 계속해서 등장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이질적인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상호 연동을 위한 통합 구조 방식에 대해 고찰하고, 이질적인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들을 통합하여 정보 가전들을 제어 및 연동하며, 진화하고 있는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들의 유동적인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시나리오 기반의 통합구조에서 표준 서비스를 통한 정보가전기기간의 상호 호환 방안에 관하여 설명한다.

  • PDF

A Study on The Framework of Converting an Object Model for Interoperating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이 기종 체계 연동을 위한 객체 모델 변환 프레임워크 연구)

  • Lee, Kyu-Ho;Shim, Jun-Yong;Kim, D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85-1488
    • /
    • 2011
  • 국방 분야의 시스템 개발은 다양한 데이터표준 및 프로토콜로 인해 체계 간 상호 연동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다양한 아키텍처가 적용되는 LVC 연동훈련 체계는 적용 프로토콜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서 공통의 표준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기종 체계들 간 상호 연동을 위해서 객체 모델 변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제안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이기종 체계가 가지는 객체 모델들과 프로토콜들을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연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체계 간의 종속성을 줄이고 구성 요소의 유연한 설계를 제공하기 위해서 3-Part 지원 모듈의 플러그인 방식 구조로 설계하였다.

MPEG Standard for Representation of Sensory Effects (실감효과 재현을 위한 MPEG RoSE 표준화)

  • Ju, Sang-Hyeon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4 no.2
    • /
    • pp.113-122
    • /
    • 2009
  • RoSE(representation of sensory effects)기술은 A/V미디어에서 제공하는 시청각 효과 이외에 바람/향기/진동 등의 실감효과를 팬/발향기/진동의자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동시킴으로써 미디어의 실감효과를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2007년 10월 82차 MPEG회의에 처음 제안된 RoSE프레임워크는 SE(sensory effects), USP(user sensory preferences), SDC(sensory device capabilities), SDCom(sensory device commands)의 표준아이템이 상호 연동하는 시스템 구조를 갖는다. 지난 2월 87차 MPEG로잔(Lausanne)미팅에서는 이들을 현실과 가상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표준을 정하는 MPEG-V(ISO/IEC 23005) 프로젝트의 Part 2(control information)와 Part 3(sensory information)으로 분리 배치하고 오는 7월 89차 런던 미팅에서 CD(committee drait)를 목표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에 기반한 이들 4개의 표준 아이템 구성을 살펴보고 현재까지 MPEG 에서 진행되어 온 RoSE표준화 과정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