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준안

Search Result 1,61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기술총회상정 단체표준(안) 요약보고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TTA REPORT
    • /
    • v.4 no.6 s.16
    • /
    • pp.22-27
    • /
    • 1992
  • 한국통신기술협회의 제5차 기술총회가 11월 24일(화) 대한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열려 5건의 단체 표준(안)과 2건의 기술보고서(안) 등에 대한 심의를 하였다. 800MHz대 주파수 공용통신 표준(안)을 포함한 5개 표준(안)에 대한 심의를 거친 결과 이들 모두 TTA단체 표준으로 채택키로 확정하였으며 단체 표준으로 채택된 이(안)은 다시 국가권고표준(안)으로써 전기통신 표준심의회에 제안하도록 하는 것에 대해서도 승인하였다. 또한 ''ISDN과 PSTN간의 연동 기술보고서(안)''과 ''데이터 전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PSDN과 ISDN간의 연동 기술보고서(안)''에 대해서도 기술보고서로서 채택할 것을 의결하였다. 이날 기술총회에 상정된 단체 표준(안)은, 1. 협대역 ISDN 화상전화기를 위한 $\cdot$p$\times$64kbit/s에서의 시청각 서비스를 위한 비디오코덱 표준(안) $\cdot$음성주파수의 펄스부호 변조(PCM) 표준(안) $\cdot$64kbit/s 내의 7KHz 음성부호화 표준(안) $\cdot$64kbit/s내의 7KHz 오디오 코덱의 사용에 대한 시스템 측면 표준(안) 2. 패킷 교화 공중데이터망의 비동기형 단말장치 접속 표준(안) 3. 그룹 4 팩시밀리 기능 표준(안) 4. 800MHz대 주파수 공용통신 표준(안) 5. 코드없는 전화기 표준(안) 등이며, 이들 표준(안)과 기술보고서(안)에 대한 발표내용을 간략히 요약 게재한다.

  • PDF

Mobile WiMAX 보안 이슈와 해결 방안

  • Son, Tae-Sik;Choe, Uk;Choe, Hyo-Hy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11
    • /
    • pp.5-13
    • /
    • 2007
  • 광대역 무선 접속 표준을 관장하는 IEEE 802.16 워킹 그룹은 IEEE 802.16 표준을 2004년에 발표하였으며 이 IEEE 802.16 표준안에는 현재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라 불리는 고정 및 저속 이동 접속에 대한 광대역 무선 통신 지원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여러 기술 중 보안 관점에서 IEEE 802.16 표준은 MAC 계층 안에 PKM(Privacy Key Management)라고 불리는 Security Sub-layer를 가지고 있다. PKM은 PKMv1과 PKMv2로 구분되며, 먼저 PKMv1은 기본적인 인증 및 기밀성 기능을 제공하고 IEEE 802.16 표준에 기본적으로 적용되어있다. 하지만, IEEE 802.16 표준 이후 많은 연구들이 PKMv1의 보안성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였고 이에 따라 IEEE 802.16 표준안의 확장 개선안으로서 완전한 이동성을 바탕으로 하는 2005년 발표된 IEEE 802.16e 표준안에서는 향상된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PKMv2를 제공하며 기존 표준안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이러한 PKMv2는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인증,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기반 기밀성 제공 알고리즘, CMAC/HMAC(Cipher/Hashed Message Authentication Code)을 사용한 메시지 인증 기능 제공 등 보다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IEEE 802.16e 표준안의 보안 기능은 SS(Subscriber Station)과 BS(Base Station)간의 통신구간 보안에 초점을 맞추어서 네트워크 도메인간의 보안 문제나 핸드오버시 보안과 같은 네트워크 구조적 보안 취약성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하지만 표준안에서 정의하고 있는 SS와 BS 구간 보안 역시 완전한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취약성을 고찰하고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Trends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n Semiconductor IP (반도체 IP의 국제 표준화 동향)

  • Lim, T.Y.;Eum, N.W.;Kim, D.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6 no.2 s.68
    • /
    • pp.40-52
    • /
    • 2001
  • 본 논문은 반도체 공정이나 설계환경에 무관하게 재사용이 가능하면서 라이센스에 의해 보호되는 전자회로 설계 모듈 IP에 관한 세계적인 표준안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현재 선진 외국의 반도체, 통신 관련 기업들은 자신들의 기능 모듈을 IP화 하는 데 있어서 1996년에 설립된 IP의 국제 표준화 단체인 VSIA의 표준안에 부합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현재까지 VSIA는 약 1,000페이지에 달하는 13종의 사양서와 표준안 및 기술문서를 개발하였으며, 전세계 200여 개의 회원기관에 공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준안들은 모든 회원사들이 제안하는 시스템 통합, 테스트, 혼성신호, 온칩버스, 검증, 보안 등의 표준관련 제안들을 8개의 VSIA DWG에서 심의하여 확정하며 계속적인 보완과 수정 및 추가가 진행되고 있다. 본 고는 가장 최신 버전들을 중심으로 IP의 표준화 동향을 파악 분석하고, 표준안들의 본질을 정의하였으며, VSIA 표준안에 부합 시킬 수 있는 절차를 체계화 함으로 국내의 IP 개발에 일조를 하고자 하였다.

제6차 기술총회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TTA REPORT
    • /
    • v.5 no.3 s.19
    • /
    • pp.10-21
    • /
    • 1993
  • 표준(안) 및 잠정표준(안)으로 제안된 39건을 TTA단체표준으로 승인받기 위한 제6차 기술총회가 5월 20일 상공회의소 2층 회의실에서 개최되었다. 사무총장은 인사말을 통해 표준화 활동에 참여 하시는 분들에 대한 감사와 노고를 치하하였으며, 국내외적으로 다변화하는 표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계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아끼지 말아 줄 것을 부탁하였다. 이 날 총회에서는 전자통신연구소 정보통신표준연구센타장인 임주환 박사의 ''국제 표준화 활동의 중요성''이란 주제로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초대손님인 일본 TTC대표 Mr. obuchi외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본 회의에서는 차기 기술총회 의장으로 한국통신연구개발단 표준연구본부장인 최상일 부의장이 단독후보로 추천되어 만장일치로 선출되었따. 단체표준(안)에 대한 의결과정을 거쳐 협회에서 제안한 12종 33건의 표준(안)과 1종 6건의 잠정표준(안)을 원안대로 승인하였으며 13종 39건에 대해 국가권고표준(안)으로 요청할 것을 의결하였다. 한편 ''국가권고표준''이란 용어를 ''국가표준''으로 통일하기로 했다. 승인된 12종 33건의 표준과 1종 6건의 잠정 표준에 대해 간략히 요약 소개 게재한다.

  • PDF

OSI 기능표준에 관한 공청회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23
    • /
    • pp.22-28
    • /
    • 1989
  • 협회는 최근 국가전산망 기능규격 작성을 위한 첫단계로 "OSI 기능표준에 관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그동안 당 협회, 전자통신연구소,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통신기술협회 등 관련기관에서 진행해 오던 전산망 표준화연구의 결과에 대한 산.학.연.관의 자문과 의견수렴을 위해 개최된 이날 공청회에서는 개방시스템 프로파일(안),MHS 기능표준(안).FTAM기능표준(안),하위계층 기능표준(안)등에 관한 설명과 심도깊은 의견개진이 폭넓게 논의됐다. 본지에서는 이날 발표된 각 기능표준(안) 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는 분은 "정보화사회" 담당자에게 연락하면 된다.

  • PDF

(Proposed) Standard for Digital Signature Mechanisms with Appendix -Part 2 : KCDSA(Korean Certificate-based Digital Signature Algorithm) (부가형 디지탈서명 방식 표준(안) 제 2부 : 확인서 이용 디지탈서명 알고리즘)

  • 문상재;박성준;원동호;이필중;임채훈;장청룡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5.11a
    • /
    • pp.233-243
    • /
    • 1995
  • 디지탈서명 알고리즘은 정보보호를 위한 필수적 조건이며 금년에 발표된 전산망보급확장과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의 개정안에도 전자문서의 법적효력을 인정하고있고, 전자서명이 들어가야 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탈서명의 국가표준화가 시급해졌다. 이러한 때에 '94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정보통신 표준 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아 디지탈서명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은 다행한 일이라 하겠다. 작년의 결과인 "부가형 디지탈서명 방식 - 제 1부 : 기본구조 및 모델"이 한국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하여 한국전기통신 표준(KCS)으로 올려져 금년안에 국가 표준화를 목적으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올해에는 지난9월 표준안 발표회를 통하여 "부가형 디지탈서명 방식 표준(안) - 제 2부 확인서 이용 디지탈서명 알고리즘'이 발표되었다. 본 원고는 발표되었던 내용에 논의된 사항들을 반영하여 수정한 후 정리한 것이다. 본 표준안은 보완되어 11월 말에 한국전기통신 표준(KCS)으로 올려질 예정이다. 본문에서는 표준안으로 제안된 디지탈서명 알고리즘을 기술하였고, 부기에서는 알고리즘 수행시 유의점과 요구되는 부분함수들의 예를 기술하였다.분함수들의 예를 기술하였다.

  • PDF

Uncertainty Assesment for Moving-boat ADCP Discharge Measurements by GUM Framework (GUM 표준안 기반 이동식 ADCP 유량 측정 불확도 평가)

  • Kim, Dongsu;Kim, J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1-71
    • /
    • 2017
  • 하천에서 평수기 유량측정은 도섭법을 이용하기 위한 지점식 측정보다는 초음파 도플러 유속계(ADCP,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를 보트에 탑재하여 운용하는 측정 방식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ADCP는 초음파의 도플러효과를 이용하여 수심이나 횡방향의 유속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장비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own-looking ADCP는 수심방향의 유속분포와 수심을 측정하여 보트의 이동속도와의 벡터 내적을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동식 ADCP 유량 측정 성과의 불확도는 제공되지 않고 있는 상황인데, 이는 불확도 산정 표준안 미비, 유속 및 수심 등 측정 요소의 관측 환경 별 불확도 정보 부족, 불확도를 산정할 수 있는 툴의 부재 등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식 ADCP 불확도 산정 표준안을 개발하고 현장 실험을 통해 불확도 요인에 대한 규명, 불확도를 편리하게 산정할 수 있는 툴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불확도 산정 표준안으로 최근 WMO를 위시한 국제적으로 하천 유량 측정 불확도 표준안으로 채택되고 있는 GUM(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Measurement)을 기반으로 이동식 ADCP 유량 산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불확도 적용 기법을 개발하였다. GUM 표준안을 기반으로 유량 측정불확도를 산정하기 위한 불확도 요인분석은 실규모 하천의 특성을 대부분 모의할 수 있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안동하천실험센터에서 수행된 실험자료를 기반으로 다양한 인자들에 대한 요소 별 불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GUM 표준안에 의하면 불확도 요인들은 오차전파의 법칙에 기반하여 전체 불확도에 전파되며, 이렇게 합성된 불확도는 t-분포의 신뢰수준 95%일 경우의 보정계수 2를 곱하여 최종적으로 확장불확도를 산정하게 된다. 이동측정방식의 ADCP의 경우 GUM 표준안에 적용하여 불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수식이 방대하고,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이를 실무자가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ADCP의 유량 측정불확도를 보다 편리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ADCP 유량 측정불확도 평가 소프트웨어인 AQUA(ADCP Discharge Uncertainty Assesment)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무자나 연구자들이 ADCP의 불확도 평가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Video-conference System supporting H.323 and SIP (H.323과 SIP를 지원하는 영상회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Seong, Dong-Su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0D no.3
    • /
    • pp.521-530
    • /
    • 2003
  • Various multimedia application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with techniques of high speed networks and computer. Among these services, a video-conference system over internet is useful and important, and its standardization has been shown in ITU-T H.323 and IETF SIP. H.323 standardization is currently used in many products, but two standardizations will coexist for a long time. Since the interoperability is needed between two standardizations, H.323-SIP gateway is developed for it. In audition, a video-conference system supporting two standardizations is necessary to be developed. We have implemented the video-conference terminal supporting both ITU-T H.323 and IETF SIP standardizations over internet. The system implementation has been designed using the common modules of two standardizations maximally, and the interoperability among different systems is satisfied through experiments.

Controlled Korean Phrase-Stucture Standard Spec.for the Automatic Information Trading Mediator System (정보거래 자동 중개 시스템을 위한 한국어 문형 표준안)

  • 정의석;김기태;임수종;차건회;박재득;윤보현;강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138-145
    • /
    • 2000
  • 본 논문은 정보거래 자동 중개 시스템을 위한 한국어 문형 표준안에 대하여 기술한다. 정보거래 자동 중개 시스템은 인터넷상에서 지식정보자산의 공급자와 수요자를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시스템으로서 텍스트로 기술되는 수요자의 의도와 공급자의 지식정보 내용을 정확히 연결할 수 있는 신뢰성을 보장한 고품질의 정보검색 기술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자연어의 복잡성과 불규칙성은 정확한 언어처리 기술이 필수적인 고품질의 정보검색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어 문장 표현 방식을 표준화하여 언어처리 기술 적용의 한계를 극복해보자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의 언어 표현을 문형 표준안으로 유도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문형 표준안의 구성은 표준 문형, 표준 문형 유도 방법, 어휘부로 구성되어 있다.

  • PDF

A Study on the Standard Methods of the Ship Handling Simulation (선박조종시뮬레이션 표준안 정립에 관한 연구)

  • Lee, Yun-Sok;Park, Young-Soo;Cho, Ik-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293-295
    • /
    • 2007
  • 해상교량의 규모 결정을 위한 선박조종시뮬레이션 표준시행 조건 및 기법(대상선박 설정, 시나리오, 시행회수, 평가기법 등)을 정립함으로써 해상교량 통항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정책 결정의 혼선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수행된 선박조종시뮬레이션 관련 보고서 분석 및 평가를 기초로 선박조종시뮬레이션 표준안에 대한 공통점을 도출하여, 국내 선박조종시뮬레이터 보유기관 항만 이용자 및 항만 건설 관계자 등의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수정 보완함으로써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의 대상선박, 수행 조건, 평가기법, 시나리오 설정 등에 대한 최종 표준안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