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준공수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8초

특징형상을 사용한 사출금형 표준 가공공수계산 (Standard Operation Time Estimation Using Features in Mold Die Manufacturing)

  • 이충수;노형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223-231
    • /
    • 1994
  • When manufacturing mold dies, an operation sheet is required for each part of the mold dies. The consistent estimation of standard operation time in the operation sheet is difficult, because the estimation is mainly based on subjective judgement. In order to resolve it, concept of feature is introduced in this study. For CAD/CAPP integration, feature technology is being implemented to represent geometrical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of part drawings. A feature database has already been designed, and then used to generate data for process and operation planning modules. Related to this former research, standard operation time is calculated using the feature information and tables used in a real factory.

공수표준화에 의한 비정형발주형 작업에 대한 개선 (Job Improvement for Non-Fixed Order by Man-Hour Standardization)

  • 김대식;조명현;손권수
    • 산업융합연구
    • /
    • 제8권1호
    • /
    • pp.19-3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the standard man-hour of welding work.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at C Tech where makes and installs conveyor. Because most of orders are non-fixed, all jobs are vary in shape and size. To conduct this study, drawings of sample were reviewed and compared with measured man-hours of welding works. As a result, the different ratio of expected require man-hour and measured man-hour was 4%. It is reasonable that the present applied efficiency of aimed man-hour is 85%.

  • PDF

熔接構造物 의 不整量 에 대하여

  • 등전양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권1호
    • /
    • pp.21-29
    • /
    • 1983
  • 용접구조물에는 필연적으로 용접에 의해서 생기는 부정량이 존재한다. 용접에 의해서 건조되는 선체구조에 있어서도 misalignment를 비롯하여 과대한 gap, 팬널(panel)의 초기변형, 용접에 의한 수축과 같은 부정량이 존재하여 선속 불록의 정도와 선체 강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건조되는 동선의 품질을 고도로 유지하면서 공수를 될 수 있는 한 줄이기 위하여 이론과 실속이 뒷받침된 신속도가 높은 품질표준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1964년에 '일본동선공작법표준, japan shipbuilding quality standard(JSQS)'를 제정하였다. 그 내용에는 소재, 현도, 내용 가공부재, 조립 블록, 선형확보, 다듬질, 변형량등 주로 공정순에 따라 각각 구 분을 정한 항목마다 표준범위와 허용 한계가 표시되어 있다. 지금부터 용접에 의한 부정량의 대표예로써, 용접에 의한 변형과 잔유응력, 이음에서의 gap과 misalignment에 대하여 말하고 아울러 부정량과 JSQS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간단히 말하겠다.

  • PDF

소프트웨어 품질보증(SQA) 지원 패키지 개발 (Development of Support Package for the Software Quality Assurance)

  • 유충재;한혁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5호
    • /
    • pp.1105-1122
    • /
    • 2004
  • 소프트웨어 품질 개선과 관련된 조직 및 기업들의 노력들은 소프트웨어 생산성과 품질을 어느 정도 향상시켰지만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되지 못하여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인력과 기술보다는 프로세스의 제도화의 부족에서 기인한다(1). 최근에는 프로세스 또는 작업 산출물이 명시된 요구사항과 계획, 표준을 따르게 하여 프로세스와 산출물을 가시적으로 관리하는 프로세스 품질보증을 통한 품질의 향상을 시도하는 움직임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표준들과 모델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관련 표준들과 모델들에서 제시된 내용은 추상적이며, 이를 적용하는데 필요한 세부적인 절차나 방법, 관련 산출물 등에 대해 기술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표준 및 모델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도입하고자 하는 조직들은 관련 표준의 전체 구조 및 내용을 숙지하고 받아들이기 위한 긴 노력과 많은 공수를 들여야만 품질에 대한 해당 조직의 목적 및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품질보증 활동 프로세스를 확립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들이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체계적이고 견고한 품질 보증 활동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패키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된 패키지는 CMM/CMMI, ISO15504, ISO12207등의 관련 표준에서 기술하고 있는 품질보증 활동과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전 주기에 대한 내용의 분석, 기존연구의 분석 및 구조화, Best Practice 평가 및 분석의 과정을 통해 소프트웨어 품질보증 활동을 체계적이고 구조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품질보증 지원 패키지이다. 개발된 패키지를 활용하면, 조직들은 조직의 여건 및 특성, 그리고 프로젝트의 성격에 맞도록 필요한 조정만을 통하여 품질보증 프로세스를 확립할 수 있다. 개발 된 패키지의 효율적인 활용이 내조직의 소프트웨어 품질보증 구축에 투입되는 공수 및 어려움을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소규모 IT업체를 위한 프로젝트 관리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ject Management Model For a Small Scale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

  • 이정은;박주철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70-673
    • /
    • 2006
  • 본 연구는 프로젝트 계획에서 마감까지의 전 프로세스를 소규모 IT 업체의 현실에 맞게 간략화하고 효율화 하는 방안을 다룬다. 개발자들의 추가투입 공수를 최대한으로 줄이고,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적의 프로세스 관리가 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모델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에 예상되는 실행 액티비티 , 단계별 산출물을 정의하고 실행단계별 작업 표준을 제정해서 표준안을 따라 하는 것만으로 일정수준이상의 프로젝트 관리가 되도록 한다. 또, 연구된 관리 모델을 기반으로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실제 개발, 적용하여 연구된 내용의 실제 적용가능성을 높인다.

  • PDF

A Study on the Standard Architecture of IFF Interface SW in the Naval Combat Management System

  • Yeon-Hee Noh;Dong-Han Jung;Young-San Kim;Hyo-Jo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39-149
    • /
    • 2024
  • 본 논문은 함정 전투체계 피아식별기 연동 소프트웨어에 대한 표준 연동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제안된 표준 연동 아키텍처는 기존의 11종 피아식별기 연동 소프트웨어의 수정 공수 및 신뢰성시험 수행시간 단축을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 의존도가 높은 체계 및 장비 정보들을 식별하고 표준 요구사항 및 기능을 새로 정의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차기 함정전투체계 표준 연동 아키텍처(NSCP)를 적용해 1차 설계를 진행하였다. 이후 휘처 모델(Feature Model)을 통해 다중 체계 및 장비 연동에 대한 추가 공통요소와 가변요소를 도출하고 S.O.L.I.D 원칙을 고려해 최종 아키텍처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피아식별기 표준 연동 SW는 공통 아키텍처를 통한 관리 효율성 증대와 소스코드의 재사용성 및 확장성 증가, 신뢰성시험 수행시간 단축을 통한 개발비용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T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실행계획 수립 방안 연구 - COCOMO II 적용사례 (A study of actual planning how to increase IT productivity by COCOMO II Model)

  • 박철구;김창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7-152
    • /
    • 2010
  • Project implementation plan is a blueprint that confirms project performance activities and specifies required man-hour, period and resource imput ratio. Various figures, the results of implementation plan, are predicted through estimation, and because of superiority of objectivity and repeatability, numerical formula-based estimation model is often used overseas. COCOMO model is the representative estimation model whose theories and formulas are publicized and it predicts the total man-hour required for software system development. This model is publicized in "Software Engineering Economics" written by Professor Barry Boehm of the U.S., and is the most widely applied numerical formula-based estimation model.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vide a series of methods that are optimal for KTDS environment by choosing COCOMO II model among various types of COCOMO models. In establishing implementation plan, COCOMO II model alone is not 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link with and apply standard WBS system and standard man-hour. In establishing specific implementation plan, phased standard WBS system in order of the first phase of all the activities implemented in the project, Activity, Task, and Role, and the man-hour put into this should be distributed according to standard ratio from COCOMO II model's total man-hour. This study provides explainations by establishing standard WBS system and linking with COCOMO II model.

표준 공수 설정에 관한 연구 -K자동차 회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tandard Time and Load)

  • 이원근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5권7호
    • /
    • pp.59-62
    • /
    • 198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decreasing time - load and cost down in manufacturing company using the new way of regulating standard time - load. Let us take an example of K automobile factory. This company have avoided the used to way of regulating standard ti me load in staff members and increased the effectiveness of decreasing time - load having participated all members centering around the Q.C circle. Here, We can take conclusions as below. 1. We could improve the consciousness of question and the consciousness of efficiency progress as a result of new way. 2. We could encourage the activation of organization and working desire of all members to be participated.

  • PDF

OSC기반 PC구조 공장제작 적정 공사비 산정을 위한 품셈체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Production Rates System for Estimating Proper Construction Expenses of Off-Site Construction (OSC) Based PC Structure Factory-Built Assembly)

  • 이정욱;이한수;이치호;노현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89-100
    • /
    • 2022
  • 최근, OSC(Off-Site Construction)기반 PC구조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의 일환으로 적정공사비 산정에 필요한 품셈 개발을 요구받고 있다. PC공법의 공사비는 공장제작-운반-현장설치의 단계로 구성된다. 최근 운반과 현장 설치는 부재(subsidiary materials)별 현장실태 조사 결과를 반영한 표준품셈 체계(standard product calculation system)를 제시하는 등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Lee et al., 2021). 반면, 공장 제작 공사비 산정과 관련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PC 공법의 공장제작 공사비 산정기준 마련을 위해 공장 제작 환경에 활용할 수 있는 품셈 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시공절차에 따른 작업 공종을 도출하였으며, 공종별로 연계된 표준품셈을 분석하여 작업 특성에 적합한 표준 투입인력을 산출하였다. 품셈 체계는 PC부재의 현장설치와 동일하게 기둥, 보, 벽체, 슬래브 부재로 구성하였으며, 공종별 기능공을 기준으로 부재별 기본공수를 제시함으로서 직접노무비의 산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개별 부재의 규격(m3)에 따라 생산성이 변화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부재 크기를 품의 할증 요소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현재 견적에 의해 재료비료 계상되는 PC공법의 공장제작 비용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토대 마련에 기여할 수 것이다.

CMMI 성숙도 수준별 측정 프로그램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measurement program by CMMI Maturity Level)

  • 유영무;한혁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291-294
    • /
    • 2004
  • 최근 많은 기업에서는 프로세스 관리를 통한 제품 품질 향상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프로세스 관리는 제품 개발과정의 가시성을 확보함으로써 제품 개발 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초기에 찾아내고 해결함으로써 제품 개발에 드는 비용과 공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측정활동은 프로세스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 식별 및 분석을 통해 프로세스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프로세스를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많은 기업들에서 프로세스 개선 모델로 채택하고 있는 CMMI 를 기반으로 측정활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CMMI 에서는 조직의 성숙도 수준에 따라 5 개의 레벨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측정 프로세스 수립에 대해서는 레벨 2 의 MA(Measurement and Analysis) 프로세스 영역에서 제시하고 있다. 레벨 2 에서 수립된 측정 프로세스는 레벨 2 뿐만 아니라 레벨 3, 4, 5 에서도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CMMI 에서는 레벨에 따른 측정 프로세스 관리에 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CMMI의 MA 프로세스 영역을 기반으로, 측정 관련 표준 및 모델을 분석하여 측정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CMMI 에서 제시하고 있는 5 개의 성숙도 수준별로 측정 프로그램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연구하여, 최종적으로 CMMI 성숙도 수준별 측정 프로그램의 적용방안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