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적집단면접법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지역복지관과 도시재생지원센터 간 협력적 거버넌스 사례 및 개선전략 (Between local welfare center and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Collaborative Governance Example and Improvement strategies)

  • 이운희;고은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63-74
    • /
    • 2018
  • 본 연구는 FGI(표적집단면접법) 방법을 적용하여, 서울역일대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중심으로 지역복지관과 도시재생지원센터 간 협력적 거버넌스 사례 및 개선전략을 제시했다. 협력적 거버넌스 과정에 참여한 지역주민, 타 지역 도시재생지원센터 실무자, 중림복지관 서울역일대 도시재생지원센터 실무자 FGI 내용을 분석하여 지역복지관 및 도시재생지원센터 간 공통적인 역할 및 정체성을 지역기반활동임을 도출했다. 그리고 협력적 거버넌스 구성 시 이점은 각 기관의 강점을 살린 주민의 주체적 참여 독려, 주민커뮤니티 형성시간 단축 등 4가지로 분석되었다. 또한 개선전략으로는 미시적인 관점에서 두 기관 간 구체적인 역할 분담 필요사항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도시재생사업법 제도적 검토사항을 제시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정책적 실천적 제언으로써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정의 변화 필요성 및 도시재생사업법 내 시행자의 범위 확대 등을 제안했다.

U-City 요구분석을 위한 유비쿼터스 공간 서비스 인식 방법론 개발 (A Methodology of Identifying Ubiquitous Space Services for U-City Requirement Analysis)

  • 권오병;김지훈;최근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41-158
    • /
    • 2006
  • 최근에 유비쿼터스 공간 서비스의 통합된 집합으로서의 U-City 구축이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실현할 수 있는 유력한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종류의 유비쿼터스 공간 서비스들이 필요하며 또한 그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어떤 종류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구현해야 하는지에 대한 조직화된 U-City 요구분석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요구분석 도출과 관계된 U-City만의 독특한 구축 철학과 이를 토대로 U-City내의 유비쿼터스 공간에 어떤 서비스가 존재해야 하는지에 대한 분석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U-City의 잠재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현장 조사를 통해 주요성공요인을 추출하였다. 또한 국내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표적집단면접법을 통해 유비쿼터스 공간 서비스와 주요성공요인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모바일 쇼핑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폰 패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Smartphone Fashion Application to Promote Mobile Shopping)

  • 성희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41-951
    • /
    • 2012
  • As smartphones permeate the consumer lifestyle, branded application and mobile shopping have also received increased attention as an important marketing channel. This study identifies the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smartphones, attitudes toward fashion applications, and mobile shopping intentions for smartphone user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22 interviewees participated. The age of the participants ranged from 21 to 45 years old (55% were females). When examining the motivation to adopt a smartphone, respondents presented the comparable characteristics of early adopters and late adopters according to the time of adoption. Most respondents over the age of 30 showed some troubles to use a smartphone; however, participants in their 20s tended to enjoy exploring the new technology.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fashion applications, but were dissatisfied with fashion apps and used them infrequently. Respondents pointed out that fashion related apps were not too practical because they were not updated regularly, provided only limited information, and focused on brand promo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ntion to adopt mobile shopping, the price and payment security system needs to be considered. This was an exploratory study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fashion branded apps as a major distribution chann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o formulate marketing strategies for fashion businesses that have developed fashion apps.

역사콘텐츠 활용을 위한 디지털 큐레이션 프레임워크 제안 (Suggestion of a Digital Curation Framework for Historical Contents)

  • 이혜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5-25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기억을 모으는 기관의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디지털 큐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고, 선행연구 및 디지털 큐레이션 모형들을 살펴보았으며, 역사전공자에 대한 표적집단면접법(FGI)을 실시하였다. 본 프레임워크는 거시적인 기록정보서비스를 개발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추상적인 모델이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데이터 생명주기를 고려하였으며 단계별 연계 활동을 강조하였다. 둘째, 역사 정보의 속성 상 동일한 내용이 다양한 기관에 의해 노출되어 지는데 그 정보는 국가별로 기관별로 다른 가치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정확한 가치 판단을 위해서는 관련 기관의 기능 및 데이터 정리 체계를 설명하는 기반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본 프레임워크를 통해 기존 기록정보시스템을 진단할 수가 있었다. 넷째, 기 구축된 콘텐츠를 활용하여 이용자를 고려한 콘텐츠 재활용 방안을 제안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프레임워크를 통해 다양한 시스템을 하나로 모으고, 그 맥락 안에서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가 가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의 신뢰구축을 위한 기술과 조직의 역할 (The Role of Technology and Organization in Building Trust in Mobile Content Services)

  • 조남재;전효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1호
    • /
    • pp.11-26
    • /
    • 2010
  • 본 연구는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신뢰성 구축을 위하여 기술과 조직(공급자)의 역할에 대한 프래임웍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관광은 지역관광객 유치를 통하여 지역의 경제활성화에 중요한 정책대상으로 빠르게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또한 인턴넷 확산에 따른 다양한 관광콘텐츠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고 최근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관광콘텐츠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가 지역의 다양한 관광자원과 관광숙박시설, 음식점 등을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 추진시 지속적인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초기와 지속화 단계별로 기술과 운영조직간의 역할을 표적집단면접법(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해 변수를 도출하고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의 지속적 신뢰성 구축을 위하여 초기단계에서는 기술 신뢰성에 대한 중요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지속적 신뢰를 위해서는 관광부문에 참여하고 있는 다양한 공급자들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에 따른 모바일콘텐츠 서비스 신뢰성 유지를 위한 기술과 조직간에 역할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서비스 신뢰성 구축을 위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콘텐츠 서비스 개발시 기술개발과 운영조직간의 역할 변화를 제시하였다.

  • PDF

Z세대의 모바일 핀테크 서비스 사용자 경험 연구 -카카오페이와 토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mobile Fintech service in Z generation -Focused on KakaoPay and Toss-)

  • 정승재;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315-320
    • /
    • 2020
  • 본 연구는 Z세대의 모바일 핀테크 서비스 사용자 경험 연구이다. 과거 금융은 사용자가 어렵다고 느껴지는 산업 중 하나였다. 하지만, 디지털 환경에서 자란 Z세대들은 모바일 결제를 편안하게 느낀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국내 핀테크 서비스인 카카오페이와 토스로 국한하고 연구하여 향후 국내 핀테크 서비스의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총 8명의 Z세대 피실험자들에게 FGI(표적집단면접법)을 하였고, 부가적으로 설문지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Z세대들은 경제적인 측면 이외에도 기업 브랜드나 이미지, 캐릭터, 이벤트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또한, 신뢰성과 가치성 분야를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향후, 앞으로의 소비 주도를 이끌 Z세대들의 니즈를 반영한 핀테크 서비스의 발전을 기대한다.

커피 전문점 텀블러 공유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method of tumbler sharing service for improve the issue of disposable cup)

  • 박가영;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265-270
    • /
    • 2020
  •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의 주범 중 한 가지인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최근 국내 커피 전문점에서 사용하는 일회용 컵 사용은 매장 수와 다양한 브랜드 커피 전문점이 늘어남에 따라 큰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카페에서는 이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텀블러 사용을 권장하고 있지만, 실제 사용자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차로 FGI(표적집단면접법) 실험을 통해 텀블러 사용의 문제점과 개인의 견해를 조사하였다. 2차로 현재 국내·외에서 시행하고 있는 유사 서비스를 사례조사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국내의 경우 유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텀블러 공유에 초점을 두고 있어 카페를 이용 시 제공되는 편의성이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커피 매장과 사용자를 위한 텀블러 공유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여 편의성 제공과 자발적 환경보호의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NCS 조경 분야 적용을 위한 4년제 대학 교육과정 현황분석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Four-Year University Curriculum for Introducing NCS Landscape Architecture)

  • 이창훈;김규섭;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34-147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적 이슈로 부각된 NCS가 실업계 고등학교 및 전문대를 제외한 4년제 대학 조경학과 교육과정 편성에 일부 도입되고 있는 시점에서 향후 조경 분야 NCS의 합리적인 수정·보완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NCS 능력단위 체계와 4년제 대학 조경학과 교육과정(커리큘럼)을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통폐합되지 않은 4년제 대학 조경학과 24개소의 816개 교육과정에 대한 매칭작업과 이를 바탕으로 한 분야별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 : 표적집단면접법)를 통해 대-중-소분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 항목의 대분류, 8개 항목의 중분류, 65개 항목의 세부분류가 도출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년제 대학에서 구성된 교과목 중 조경설계 과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40.0%로 나타났다. 그 외 생태조경 12.9%, 조경시공 11.3%, 기타 유형에 분류되지 않은 과목 10.2%, 조경정보 10.0%, 조경문화 6.6%, 조경관리 3.7%의 비율로 조사되었다. 추후 NCS의 균형적이고 효율적 수정·보완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CS 수행준거와 교육목표가 서로 일치하는 소분류 항목은 10개(18.9%), 불일치하는 소분류 항목은 15개(28.3%), NCS 단위능력과 불일치하는 교과목은 총 37과목(56.9%)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NCS에서 제시한 각 능력 단위의 준거기준은 기초적인 지식학습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기초이론내용은 하나의 능력단위가 별도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NCS능력 단위와 4년제 대학 교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추구하는 목표는 NCS의 기준은 조경설계 분야에 비해 조경시공과 조경관리 분야의 단위능력에 집중하여 개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4년제 대학 교육과정 편성에 선수과목의 균형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유형분류 과정에서 각 학교별 간섭요인을 배제한 교육과정편람에 우선 기준하여 분류함에 따라 표면적인 용어에 함축된 세부 과정이 분류군에 포함되지 못한 구체적인 교육과정 평가기준의 재검토와 기준항목간의 적합성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풍력 발전소 프로젝트의 핵심성공요인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Wind Power Projects)

  • 유안석;김병일;김형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40-147
    • /
    • 2012
  • 인류는 화석연료의 과도한 소비로 인해 심각한 환경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화석연료가 고갈됨에 따라 그 가격이 급등하고 있어 대체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을 포함한 각국 정부는 대체에너지의 발전부담률 확대를 위하여 세제 혜택을 비롯한 각종 재정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시장규모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대체에너지는 그 역사가 짧고 국내의 경우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어 사업추진 시 다양한 시행착오를 경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적인 대체에너지인 풍력을 대상으로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사업추진을 위하여 핵심성공요인(Critical Success Factor, CSF)을 도출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일차적으로 CSF를 도출한 뒤 표적집단면접법을 활용해 이전 단계에서 도출된 CSF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몇 가지 요인을 추가해 총 25개의 CSF를 확정하였다. 이 결과에 중요도-성과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적용하기 위하여 관련 업계 종사자들에게 총 218부의 설문을 수집하였다. IPA를 통해 "프로젝트 금융", "타당성 분석", "정부 전력 매입단가", "발전기 선정" 요인이 우선적으로 관리해야 할 CSF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네 가지 CSF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CSF는 향후 풍력 발전 건설사업에 앞서 전 생애주기 관점에서 사업평가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해저공간의 합리적 활용을 위한 분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Rational use of Undersea Space)

  • 정원조;박남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47-154
    • /
    • 2023
  • 본 연구는 인간이 새롭게 거주할 수 있는 해저공간 플랫폼과 관련하여 그 필요성, 역할, 활용, 운영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현재 해저공간 활용을 위한 해양수산부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산학연관 협약기관 종사자들과 해양분야 기술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외부전문가의 의견을 토대로 해저공간 창출의 필요성과 운영방안에 대해 종합적 의견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형 해저공간 플랫폼 건설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해양분야 기술개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FGI)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해저공간 플랫폼의 건설 필요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저공간 플랫폼의 역할로는 해저공간 활용 기술개발 및 해양과학 연구기능 확보 의견이 가장 많았다. 해저공간 플랫폼 조성이 국내 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심해개발산업, 조선 해양구조물산업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활용적 측면에서는 해저공간 테스트베드가 종료된 후 해양관측기지 및 해양생태계연구로의 활용 답변이 가장 높은 비중을 가졌으며, 예상되는 불편한 점으로는 심리적 환경에서의 불편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향후 안정적 운영을 위해 지속적인 예산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항목별 예산에서는 인력예산의 확보가 필수적이며, 따라서 확실한 재원조달처 발굴, 신규 연계사업의 발굴 등이 가장 중요한 이슈일 것으로 의견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사업 종료 이후 활용 시 고려되어야 할 소유문제, 위탁관리문제, 비용문제를 확실히 하기 위해 사전 협약 당시부터 확립하고 대비책을 마련한 후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