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사

Search Result 15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Drift and Sediment Transport near Heoya-River Estuary (회야강 하구에서의 표사 및 유사 이동특성)

  • Lee, Sueng Dae;Lee, Geun Il;Kim, Muen Je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17-217
    • /
    • 2011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에 위치한 회야강의 하구폐색은 1990년대 중반부터 주목을 받아서 연구 되어오고 있다. 하천의 하구에서는 일반적으로 파랑류, 취송류와 하천류 뿐 아니라 해류나 조류 등의 영향도 받는다. 회야강 하구는 이러한 흐름과 더불어 독특한 지형이 영향을 주어서 더욱 복잡한 흐름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복잡한 흐름의 영향으로 회야강 하구에서 사주가 강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서 하구폐색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04년 진하 방사제를 설치하였으나 이후에도 하구폐색이 계속 진행되었기 때문에 정기적인 준설로 하구폐색을 막고 있는 실정이다. 근본적으로 하구폐색을 막기 위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하상변동특성과 표사 및 유사의 이동 특성에 대한 과학적인 해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해역에 가장 큰 영향인자로 예상되는 하천류와 해빈류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하천류 검토를 위해서는 회야강에서 유출하는 유사량을 혼합입경의 관점에서 실험하였고, 도류제 설치 유무에 따른 하구역에서의 지형변동 및 하구폐색현상을 해석하였다. 해빈류 검토에서는 파랑에 의한 회야강 하구인근에서의 흐름장과 침퇴적 해석을 통해 하구 인근해역의 지형변동특성을 고찰하였다. 회야강 하구에서 혼합입경($d_{10}$, $d_{50}$, $d_{90}$)을 고려하여 하천류의 수치실험을 수행한 결과 유출시간의 경과에 따라 하구역의 하상고가 점차 상승하여 하구사주가 발달하고 이로인하여 하구폐색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또 유송토사량에 대한 해석결과 홍수량 증가에 비례하여 유송토사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평수시에는 하천의 유출량이 미소하여 하구폐색현상의 주외력은 파랑에 의한 해빈류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같은 외력조건에 의해 하구에서 연안사주 발생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파랑에 의한 해빈류가 회야강 하구에서 순환류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의 결과로 도류제 설치 후에도 하구부 인근해역에서 퇴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Analysis for the Causes of Beach Erosion on Jeonchon-Najung Beach on the East Coast of Korea (전촌-나정해안의 해안침식 원인분석)

  • Yoo, Hyung-Seok;Kim, Kyu-Han;Joung, Eui-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0 no.6
    • /
    • pp.611-620
    • /
    • 2008
  • The process of sediment transport has a very complex mechanism due to waves, currents and bottom topography changes. Usually, beach erosion occurs from various causes such as non-equilibrium sediment transport condition, construction of seawall and rip currents. Therefore, when we try to reduce and develop countermeasures for beach erosion, we have to know the main mode and direction of sediment transport that causes beach erosion.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sediment transport on Jeonchon-Najung beach and main causes of beach erosion have been studied. Field investigation data, aerial photos and the results of numerical model test were used in the analysis. As a result, it was realized that the main causes of beach erosion at Jeonchon-Najung beach was due to the construction of fishery harbors and a seawall.

An Experimental Study of Sand Beach Profile Evolution under Regular Waves Corresponding to Storm and Normal Conditions (규칙파 조건에서의 사질해안 폭풍파와 평상파 단면변화 실험연구)

  • Choi, Junwoo;Roh, M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2
    • /
    • pp.333-342
    • /
    • 2017
  •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cross-shore evolution of storm (barred) and normal (nonbarred) profiles of a sandy beach, the vertically two-dimensional laboratory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a movable bed. The beach profiles and free surface motion were measured under monochromatic wave conditions evolving the storm and normal beach profiles. The observation was conducted in the surf zone during the alternation of the two wave conditions to reach its quasi-equilibrium state. The sandbar-crest and trough and the steep berm were evolved due to the plunging breakers in the storm case, and the bar-trough was decayed due to the spilling breakers in the normal case. From the measurements, it was found that the storm wave case was in an erosion state and the normal wave case was in an accretion state. The strong undertow, which is a dominant factor of the offshore migration mechanism, was developed in the storm wave case, and the weak undertow was developed in the normal wave case. The skewness and the asymmetry of the nonlinear wave motion, which is a dominant factor of the onshore migration mechanism, was measured similarly in both cases.

An Experimental Study of Sediment Transport Patterns behind Offshore Structure (외해 구조물 배후의 표사이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hin Seung-Ho;Hong Key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7 no.4
    • /
    • pp.207-215
    • /
    • 2004
  • Recently, securing a vast land in the land region becomes more difficult and efforts to seek its alternation in the sea area have been increased. As a consequence, the coastal region has been faced to extensive beach erosion problems. In planning offshore structures such as artificial islands, it is necessary to forecast the influence of the structure construction exerting on the beach erosion of the adjacent coast. In the present study, the sediment movement pattern behind offshore structure was examined through a series of three dimensional movable bed experiments, so as to develop the numerical model which forecasts morphological change including beach eros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the sediment movement patterns of the beach line side and the depth region are separated at a certain boundary line. In details, at the beach side including swash zone the sediment movement becomes dominant, which is governed by a relation between depth contours and incident wave directions, while at the depth region the bed load and suspended load due to the orbit motion of waves are carried by nearshore currents, and both movements are clearly separated at a specified boundary that is related to partial standing wave from the beach.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can be effectively used for verification of a numerical model on morphological change of the coast.

  • PDF

A Study on the Profiles Transition and Storage Movement on the Profiles at HAEUNDAE Beach (해운대(海雲臺)사빈(砂濱)의 단면(斷面)의 천이주행(遷移走行) 및 저류(貯溜) 표사량(漂砂量) 변화특성(變化特性)에 관한 연구(研究))

  • Yang, Yun Mo;Ham, Gye 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 no.1
    • /
    • pp.1-12
    • /
    • 1983
  • The wave and hydrologic climate at a beach location are everchanging and coastal engineers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the deformation of the natural beach caused by wave action over short or long interval of time. The drift of sand on a beach particulary manifests itself when blocked construction of seawalls, jetties, breakerwaters and groins etc.${\cdots}$ For this reason, th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littoral drift has been especially important to the coastal engineers. The resulting of the sand drift movement, such as the type of beach profile, width of beach, storage volume of the littoral sand over the profile are rapid everchange. We have studied the geological changes due to the littoral drift on a beach with field investigation and model tests in laboratory. But, it is impossible to make quantative correct analysis because of the factors are everchange and complicate. And then, most of study are incline to qualitative analysis. In this paper, authors studied mainly on the transition of beach profile and sediment storage on the profile using statistical field data as qualitative analytical method. The used theoretical beach transition model by Sonu and Beek have developed to obtain the change of HAEUNDAE beach backed with seawal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ransition model are useful in the analysis of beach profile changement and the littoral drift movement on the beach. Qualitative analysises for HAEUNDAE beach are as follows. 1) Transition sequence of profile has 4 major transition for one cycle. 2) Storage sediment model of beach profile by Sonu and Beek well coincided with HAEUNDAE beach. 3) Seasonal cycle has ill-balanced process for the 5-yr. investigation.

  • PDF

A study of topography fluctuation from the HEOYA estuary considering mixed grain size (혼합입경을 고려한 회야강 하구에서의 지형변동에 관한 연구)

  • Park, Hae-Sung;Lee, Seong-Dae;Kim, Seong-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16-1720
    • /
    • 2007
  • 연안 해역에서의 표사는 하천에서의 유사가 주요한 공급원이므로 산지-하천-해안을 통합한 유사 및 표사에 관한 관리가 필요하며, 해안수리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강성 연안구조물의 건설을 통하지 않고 연안에서의 침식을 억제해야하는 방지대책의 수립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연안에서의 침식, 퇴적관계는 토사공급원의 장기적인 확보여부가 중요하며 하천에서 해안역으로 공급되는 유사량을 예측하고 또한 이들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연안 해역으로 이송되어 가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연안표사문제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하천에서 연안 해역으로의 유사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리고 하천 유사량이 하구에 사주를 형성하고 어떤 형태를 거쳐 연안표사로 이동하는가 하는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에 위치한 회야강의 하구폐색은 1990년대 중반부터 연구의 관심이 되어오고 있으며, 1986년 회야강 상류 회야댐 건설 이후 하구폐색이 가속화됨에 따라 매년 회야강 하구에서의 준설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회야강 하구부에서는 파랑류, 취송류와 하천류 뿐만 아니라 해류나 조류 등에 의한 흐름과 지형특성등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하구현상에 의해 하구에서의 사주 발달이 상대적으로 강하여 하구폐색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의 대책으로 최근 회야강 하구부에 도류제가 건설되었으며 이에 따른 장기적인 하구부 하상변동특성과 토사이동의 특성 파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관점에서 회야강 하구부의 도류제 설치에 따른 하구에서의 지형변동과 유송토사량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하천 상류부에서는 동적 평형상태의 유사량을 가정하고 하상재료 및 유사는 혼합입경으로 하여 하상고 및 하상교환층 중의 입도조성의 시간변화를 구하여 1차원적인 하상변동과 토사이동 특성을 해석하였다.했을 때, 대표입경을 통해 얻은 조도계수가 보정 조도계수보다 다소 작은 것으로 해석되었다.하고자 한다.해결책을 얻어내는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추구한다. 그가 디자인하는 작품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내포하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기존의 가치와 이념적인 것은 배제하고, 창의적인 개념을 도출하였다.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Platform for the Optimization of Beach Stabilization Measures against Beach Erosion II - Centering on the Development of Physics-Based Morphology Model for the Estimation of an Erosion Rate of Nourished Beach (해역별 최적 해빈 안정화 공법 선정 Platform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II - 양빈 된 해빈 침식률 산정을 위한 물리기반 해빈 지형모형 개발을 중심으로)

  • Cho, Yong 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1 no.5
    • /
    • pp.320-333
    • /
    • 2019
  • In this study, a physics-based 3D morphology model for the estimation of an erosion rate of nourished beach is newly proposed. As a hydrodynamic module, IHFOAM toolbox having its roots on the OpenFoam is used. On the other hand, the morphology model comprised a transport equation for suspended sediment, and Exner type equation derived from the viewpoint of sediment budget with the bed load being taken to accounted. In doing so, the incipient motion of sedime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Shields Diagram, while the bottom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the bed load transport rate is figured out using the bottom shearing stress directly calculated from the numerically simulated flow field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quadratic law and frictional coefficient.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morphology model, we numerically simulate the nonlinear shoaling, breaking over the uniform beach of 1/m slope, and its ensuing morphology chang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partially skewed, and asymmetric bottom shearing stresses can be successfully simulated. It was shown that sediments suspended and eroded at the foreshore by wave breaking are gradually drifted toward a shore and accumulated in the process of up-rush,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formation of swash bar. It is also worth mentioning that the breaker bar formed by the sediments dragged by the back-wash flow which commences at the pinnacle of up-rush as the back-wash flow gets weakened due to the increased depth was successfully duplicated in the numerical s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