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본추출

검색결과 1,285건 처리시간 0.025초

시계열 계속 표본조사에서 불균등확률 추출법 연구 (A study on unequal probability sampling over two successive occasions in time series)

  • 박홍래;이계오
    • 응용통계연구
    • /
    • 제6권1호
    • /
    • pp.145-162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반복적 계속 표본조사에서 일부의 표본을 교체하는 2회 계속조사의 표본 추 출법들을 요약하고 앞 조사시기의 관찰값을 확률측도로 이용한 RHC(Rao-Hartley-Cochran) 유형의 불균등 확률추출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추출법과 기존의 확률추출법의 비교를 위 하여 둘째 조사시기의 모평균 추정량과 그의 분산을 유도하였으며, 제안된 추출법의 상대 효율은 이론적인 측면과 수치적 시뮬레이션 방법으로 비교 분석되었다. 시뮬레이션 비교를 위하여 한 특별한 시계열 모형을 가정하고 이를 사용하여 인위적인 모집단을 생성하였으며 이 모집단에서 각 추출법에 해당되는 표본을 컴퓨터로 추출하여 각각의 추정치를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에서 RHC 유형의 새로 제안된 추출법의 분산과 편차가 일반적으로 적음을 보 였다.

  • PDF

인터넷 환경에서 표본조사 교육시스템 구현

  • 변종석;이병진;남궁평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조사연구의 방법론적 쟁점
    • /
    • pp.113-132
    • /
    • 2000
  • 본 연구에서 구현하 SLWES(Sampling Learning Web Expert System)은 인터넷 환경에서 표본조사의 학습과 실제 표본조사 자료로부터 모수를 추정할 수 있도록 웹 프로그래밍 기술과 HTML을 결합하여 학습시스템과 통계계산 시스템, 그리고 전문가시스템으로 구성된 표본조사 학습전문가 시스템이다. SLWES는 표본조사에 대하여 전문 지식이 없거나 통계패키지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비전문가들에게 표본추출법, 무수측정 표본크기 결정 등 표본조사에 대한 이론 학습과 실습의 기회를 인터넷 환경에서 직접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식에 따라 표본조사론에 대해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SLWES는 실제 표본조사의 표본추출에 적용될 수 있고 수집된 자료로부터 모수를 추정할수 있으므로 표본조사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교량구조의 체계 신뢰성 해석을 위한 중요도 표본추출 기법 (Importance Sampling Technique for System Reliability Analysis of Bridge Structures)

  • 조효남;김인섭
    • 전산구조공학
    • /
    • 제4권2호
    • /
    • pp.119-129
    • /
    • 1991
  • 본 논문은 교량구조의 체계신뢰도를 추정하기 위한 효율적인 중요도 표본추출기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체계신뢰성 해석을 위한 방법은 1차 모멘트법, 2차 모멘트법, AFOSM 근사해법, 그리고 시뮬레이션 방법등이 있다. 중요도 표본추출기법은 아주 적은 경비와 노력으로 정확한 해를 구하는 시뮬레이션 방법이다. 적용 예를 통하여 중요도 표본추출기법은 교량구조의 체계신뢰성해석에 아주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표본의 대표성 확보를 위한 계통표집법의 활용 (Practical Advantage of Systematic Sampling to Attain a Representative Sample)

  • 박진우;김영원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3-165
    • /
    • 2001
  • 본 논문은 계통표집법의 장점 중 거의 주목되지 못하고 있는 한 가지 장점을 다룬다. 특정한 확률표집법에 의해 표본이 추출되었을 때 추출된 표본이 모집단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표집법을 평가할 때 모집단을 잘 대표하지 못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표본이 추출될 가능성을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모의실험을 통해 모집단이 순서모집단에 가까울수록 계통표집법은 무작위표집법에 비해 바람직하지 못한 표본을 추출할 확률을 적게 하는 표집법이라는 사실을 보인다.

표본의 대표성 확보틀 위한 계통표집법의 활용 (Practical Advantage of Systematic Sampling to Attain a Representative Sample)

  • 박진우;김영원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2권2호
    • /
    • pp.153-165
    • /
    • 2001
  • 본 논문은 계통표집법의 장점 중 거의 주목되지 못하고 있는 한 가지 장점을 다룬다. 특정한 확률표집법에 의해 표본이 추출되었을 때 추출된 표본이 모집단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표집법을 평가할 때 모집단을 잘 대표하지 못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표본이 추출될 가능성을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모의실험을 통해 모집단이 순서모집단에 가까울수록 계통표집법은 무작위표집법에 비해 바람직하지 못한 표본을 추출할 확률을 적게 하는 표집법이라는 사실을 보인다.

  • PDF

출구조사를 위한 투표소 확률추출 방법 (Probability Sampling to Select Polling Places in Exit Poll)

  • 김영원;엄윤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6권2호
    • /
    • pp.1-32
    • /
    • 2005
  • 출구조사에서 투표소 추출방법은 출구조사의 정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구 추출법을 대신할 수 있는 정렬계통추출법을 제안하고 그 활용 가능성 및 효율성을 분석한다. 아울러 제시된 정렬계통추출법을 사용하는 경우 추정량의 표본추출오차(sampling error)가 어느 정도 되며, 원하는 목표 오차를 만족하기 위한 표본크기를 결정하는 문제를 고려한다. 2004년 17대 총선 개표자료를 토대로 경험적인 분석을 통해 제시된 정렬계통추출법이 기존의 대표구 추출법에 비해 평균예측오차 관점에서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규명하고, 기존의 출구조사에서 표본크기 및 추정오차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집락효과를 이용해 설명했다. 아울러 제안한 정렬추출법에서 얻어지는 추정량의 분산을 구하고, 설계효과 개념을 이용해 표본크기 결정문제를 다루었다.

  • PDF

함정 신호해석 연구에 필요한 해양기상환경 자료의 표본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mpling of Ocean Meteorological Data to Analyze Signature of Naval Ships)

  • 조용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9-2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함정 신호해석 연구에 필요한 해양기상환경 자료의 표본추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기상청으로부터 품질검사가 완료된 최신의 해양 기상자료를 수집하고, 측정 자료의 가용 구간을 설정하여 이상치를 제거하였다. 품질검사와 이상치를 제거한 자료는 함정 신호의 확률론적 해석을 위해 지정학적 위협과 부이의 유효면적을 고려하여 단순임의추출법을 통해 축소되었다. 이후 표본의 크기는 모집단의 크기와 신뢰수준 95%를 고려하여 100, 200 그리고 400개로 설정하였으며, 상관관계가 높은 수온과 기온을 기준으로 하는 2차원 층화추출법으로 최종표본을 추출하였다. 추출 표본은 제곱오차의 합과 신뢰구간을 추정하고 이를 비교하여 함정의 확률론적 신호해석을 위해 필요한 해양기상조건의 크기를 제시하였다.

주거 실태 및 수요조사 표본설계 (Sample Design in Korea Housing Survey)

  • 변종석;최재혁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1권1호
    • /
    • pp.123-144
    • /
    • 2010
  • 지역별 계층별 주거실태 파악을 위한 주거 실태 및 수요조사의 새로운 표본설계는 전국 16개 시도별로 조사결과의 독립추계가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총 45개의 층으로 층화한다. 조사의 표본오차 관리 대상 변수로 주택사용면적, 가구소득, 가구주 소득, 가구 생활비 등을 고려하여 표본규모를 결정한다. 각 지역의 표본크기는 기존조사의 결과 중 상대표준오차를 이용하여 결정하고 세부 층에 대한 표본배정은 가구 수의 제곱근비례 배정방법을 적용한다. 표본조사구의 추출은 조사구의 크기에 비례한 확률비례계통추출법으로 추출하고 계통추출에 있어서는 추출단위를 분류지표에 따라 정렬한 후 추출한다. 주택의 재건축, 재개발 등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신규 아파트 단지를 고려하되 주택은 멸실에 대한 자료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신규 주택은 고려하지 않는다. 가중값은 설계가중값, 무응답 조정, 사후층화 조정의 과정을 통해 추정량과 분산 추정량에 이용한다. 추정의 효율을 살펴보기 위해 분산추정량의 설계효과를 계산한다.

  • PDF

반복조사에서 설계요소를 반영한 표본수 결정 (Sample size determination using design effect formula for repeated surveys)

  • 박인호;황현길
    • 응용통계연구
    • /
    • 제32권4호
    • /
    • pp.643-65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반복조사의 표본재설계에서 설계요소를 반영한 표본수 결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다단추출과 층화다단추출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시점간 모집단 구성 변화, 집락효과, 표본할당 등의 주된 설계요소가 갖는 표본오차에 대한 영향력을 구분하여 반영하므로 보다 전략적인 표본수 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부품.소재산업 동향 조사의 표본설계 (Sample Design for Materials and Components Industry Trend Survey)

  • 남궁평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5권6호
    • /
    • pp.883-897
    • /
    • 2008
  • 2006년 통계청이 시행한 광업 제조업 통계조사 결과(2005년 실적치)를 모집단으로 사용하면 최근 동향을 반영한 표본설계가 가능하다. 본 논문은 기존의 12개 업종보다 세분화된 94개 세부업종에 분류에 따라 매월 부품 소재산업의 생산, 출하, 재고의 변동사항을 조사하여 부품 소재산업의 경기변동실태를 파악하고 부품 소재산업의 육성정책 및 기업경영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표본설계를 제안한다. 표본설계는 응용절사법과 주성분을 이용한 다변량 네이만 배정법을 이용하여 층별로 표본크기를 결정하여 배정하고 표본추출은 확률비례계통추출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