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면하 분해

Search Result 50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BRASION AND CHEMICAL DEGRADATION OF LIGHT-CURED COMPOSITE RESIN FOR UPDATED RESIN DEVELOPMENT (차세대 레진개발을 위한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마모와 화학적 분해)

  • Yang, Kyu-Ho;Choi, Nam-Ki;Yook, Ge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1 no.4
    • /
    • pp.685-695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and to compare the wear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four composite resins in an alkaline solution.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mass loss(%), degradation depth(${\mu}m$), Si loss(ppm) and wear depth. The brands studied were Heliomolar flow, Filtek supreme, Point4, Tetric flo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quence of the mass loss was in descending order by Heliomolar flow, Filtek supreme, Point4, Tetric flow.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aterials except Heliomolar flow and Filtek supreme. 2. The sequence of the degree of degradation layer depth was in descending order by Filtek supreme, Heliomolar flow, Tetric flow, Point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aterials except Heliomolar flow and Tetric flow. 3. The sequence of Si loss was in descending order by Filtek supreme, Heliomolar flow, Point4, Tetric flow.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aterials except Point 4 and Tetric flow. 4. The sequence of maximum wear depth was in descending order by Heliomolar flow, Point4, Fillet supreme, Tetric flow and there was increasing wear depth on soaking in 0.1N NaOH solution. 5. When observed with SEM, destruction of bonding between matrix and filler was observed and when observed with CLSM, the depth of degradation layer of specimen surface was observed. There results indicate that wear and hydrolytic degradation could be considered to be evaluation factors of composite resins.

  • PDF

Optimization of Steaming and Roasting Conditions for Maximized Hypoglycemic Properties of Polygonatum odoratum Tea (둥굴레차의 혈당강하 성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증자 및 볶음조건의 최적화)

  • Kim, Kyung-Tae;Kim, Jung-Ok;Lee, Gee-Dong;Kim, Jeong-Sook;Kwon, Joo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4 no.4
    • /
    • pp.549-556
    • /
    • 2005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applied in steaming and roasting processe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s in order to monitor hypoglycemic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y. In steaming and roasting processes based on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with variations in steaming time $(60\~180\;min)$, roasting temperature $(110\~150^{\circ}C)$ and roasting time $(10\~50\;min)$,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s $(R^2)$ were 0.8691 (p<0.05), 0.8253 (p<0.l0), 0.8727 (p<0.05), 0.8706 (p<0.05) and 0.8316 (p<0.10) in soluble solid, stigmasterol, $\beta-sitosterol$, hypoglycemic component (total), and overall acceptability, respectively. The maximum value of soluble solid was $71.47\%$ in 65.24 min of steaming time, $126.93^{\circ}C$ of roasting temperature and 37.58 min of roasting time. The maximum value of hypoglycemic component (total) was $764.10\;{\mu}g/g$ in 107.76 min, $117.78^{\circ}C$ and 14.70 min. Meantime, the maximum value of overall acceptability was 6.89 in 126.04 min, $115.79^{\circ}C$ and 43.93 min. The predicted values in optimum conditions for hypoglycemic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y were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values.

알루미늄 양극산화 피막의 색조에 미치는 전해 인자의 영향

  • Choe, In-Cheol;Jo, Hyo-Jae;Son, I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1-131
    • /
    • 2017
  • 알루미늄은 내식성, 내마모성과 같은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우수하지 못하여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양극산화법이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 양극산화법을 적용하면 강도, 내마모성 및 내식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표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30nm~100nm 크기의 pore에 염료를 흡착시켜 다양한 색상의 외관을 가지는 양극산화피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Pore간의 간격은 수십nm~수백nm 정도이며, pore의 크기와 간격 및 깊이는 양극산화조건(양극산화 전압, 전해액의 종류와 농도 및 온도)에 의해 크게 변화된다. 또한 염료의 농도와 착색 시간에 따라서 양극산화 피막의 색조가 변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극산화피막의 색조에 미치는 전해조건의 영향을 조사하고, 분광측색계를 사용하여 산화피막의 색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또한 산화피막의 pore에 흡착된 염료를 정량분석하기 위해서 UV-visible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Al5052 합금을 이용하여 에칭, 양극산화, 착색처리, 봉공(sealing)처리를 실시하였다. $55^{\circ}C$ 100g/L NaOH 용액에서 에칭을, $25^{\circ}C$ 10 vol.% $HNO_3$ 용액에서 디스머트를 실시한 다음, $25^{\circ}C$ 10 vol.% $H_2(SO_4)$ 용액에서 15V의 정전압으로 양극산화를 실시하였다. 이후, $55^{\circ}C$ 5~8g/L의 오렌지, 블랙 착색염료(일본 OKUNO 사(社)의 TAC-LH(301), TAC-BLH(411))를 사용하여 착색처리를, $85^{\circ}C$ 초산니켈 수용액에서 봉공처리를 실시하였다. 착색조건으로는 양극산화 시간(5분, 10분, 15분, 20분), 착색 시간(15초, 1분, 2분, 5분) 및 착색 농도(오렌지 -2.5g/L, 5g/L, 7.5g/L, 블랙 - 4g/L, 8g/L, 12g/L)를 변화시켰으며, 산화피막의 색조를 정량 분석하기 위해 분광측색계를 사용하였고 흡착된 염료의 농도를 정량 분석하기 위해서 $55^{\circ}C$, 1M NaOH에 재용해하여 UV-visible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극산화피막의 색조는 양극산화 시간이 길어질수록, 착색시간이 길어질수록, 착색농도가 진할수록 산화피막에 흡착되는 염료의 양이 증가하며 색조가 더 선명해지고 진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분광측색계로 분석하였을 때 각 전해조건하에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흡광도 측정을 통해 계산한 염료의 양과 전해조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양극산화 시간이 길어지면 산화피막의 두께가 증가하여 염료가 흡착될 수 있는 표면적이 넓어지고, 착색 시간이 길어지면 동일한 산화피막에 더 많은 염료가 흡착이 된다. 그리고 착색 농도가 진할수록 동일면적, 동일시간 하에서 더 많은 염료가 흡착되어 결과적으로 전해조건이 강해질수록 산화피막의 색조가 진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초정밀 표면측정기술의 동향

  • 김승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0 no.1
    • /
    • pp.22-27
    • /
    • 1993
  • 산업기술의 발달에 따라 각 분야마다 정밀한 부품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이들 부품이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부품의 정도는 길이정도와 표면의 정도를 모두 의미한다. 길이정도는 부품의 상대적 크기정도를, 표면정도는 3차원 형상정도를 나타낸다. 이들 부품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측정이라는 방법이 수행되어야 하며, 측정은 요구되는 측정정도에 따라 이에 상용되는 방법으로 행해지게 된다. 요구되는 측정정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되고 있다. 이 러한 경향은 그림1의 시대에 따른 측정정도를 보면 확인할 수 있다. 시대에 따라 측정정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현재의 측정은 초정밀측정이라 말하는 약 0.1nm의 정밀도를 갖고 있다. 측정정도에 따라 표면측정기술도 여러가지 방법이 행해지고 있는데 이들 측정방법은 크게 접촉식 측정방법과 비접촉 측정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접촉식 측정방법으로는 촉침식 측정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은 다이아몬드 촉침을 표면상에 접촉하여 주사이동하게 하고 이때 표면의 요철에 따른 촉침의 상하운동을 고성능 변위센서를 이용하여 표면형상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1nm의 수직분해능을 갖고 측정이 가능 하다. 이 방법은 표면에 접촉함으로 인해 신뢰성이 높지만, 표면의 접촉압력으로 인해 표면의 손상 우려가 있다. 이런 이유로 현재 비접촉 측정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표면측정을 실현하는 데에는 광학 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물리학의 원리들이 도입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측정기술의 기본원리를 소개하고 각 기술이 응용되는 예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Remote Plasma Enhanced-Ultrahigh Vacuum Chemical Vappor Deposition (RPE-UHVCD)법을 이용한 GaN의 저온 성장에 관한 연구

  • 김정국;김동준;박성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8.02a
    • /
    • pp.108-108
    • /
    • 1998
  • 최근의 GaN에 관한 연구는 주로 MOCVD법과 MBE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800¬1$\alpha$)()t 정도의 고옹에서 이루어지고 었다. 그러나 이러한 고온 성장은 GaN 성장 과청에서 질 소 vacancy를 생성시켜 광특성을 저하시키고 청색 발광충인 InGaN 화합물에 In의 유입울 어 렵게 하며 저온에서보다 탄소 오염이 증가하는 동의 문제캠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고온 생장 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중의 한 가지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저온 성장법이다. 본 연구 에 사용된 RPE-UHVCVD법은 Nz률 rf plasma로 $\sigma$acking하여 공급함으로써 NI-h롤 질소원으 로 사용하는 고온 성장의 청우와는 다르게 온도에 크게 의존하지 고 질소원올 공급할 수 있 어 저옹 성장이 가능하였다. 기판으로는 a - Alz03($\alpha$)()1)를 사용하였고 3족원은 TEGa(triethylgallium)이며,5족원으로는 6 6-nine Nz gas를 rf plasma로 cracking하여 활성 질소원올 공급하였다 .. Nz plasma로 질화처리 를 한 sapphire 표면 위에 G따애 핵생성충을 성장 옹도(350 t, 375 t, 400 t)와 성장시간(30 분,50 분) 그리고 VIllI비(1$\alpha$)(), 2뼈)둥을 변화시키면서 성장시킨 후 GaN 에피택시충을 450 $^{\circ}C$에서 120 분 동안 성장시켰다 ..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RD(x-ray d diffraction), AFM(atomic force microscope)둥올 이용하여 표면의 조성 및 morphology 변화와 결정성을 관찰하였다. X XPS 분석 결과 질화처리를 한 sapphire 표면에는 AlN가 형성되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 었으며 질화처리를 한 후 G따J 핵생성충올 성장시킨 경우에 morphology 변화를 AFM으로 살 펴본 결과 표면에 facet shape의 island가 형성되었고 이러한 결파는 질화처리 과청이 facet s shape의 island 형성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핵생성충의 성장온도가 중가함에 따 라 island의 모양은 round shape에서 facet shape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표면의 morphology 변화와 GaN 에피택시충의 결정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GaN 에피택시충 표면의 rms(root m mean square) roughness가 중가하는 경 우 XRD (j -rocking curve의 FWHM(full width half m maximum) 값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결정성의 향상이 columnar 성장과 관계가 었다는 것올 알 수 있었다 .. columnar 성장은 결함의 밀도가 낮은 column의 형생과 G GaN 에피택시충의 웅력 제거로 인해 G값{의 결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톡 히 고온 성장의 경우와는 달리 rms roughness의 중가가 100-150 A청도로 명탄한 표면올 유 지하면서 결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핵생성충올 375 t에서 30 분 생장시킨 경우에 hexagonal 모양의 island로 columnar 성장을 하였고 GaN 에피태시충의 결정성도 가장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RPE-UHVCVD법용 이용한 GaN 저온 성장에서도 GaN의 결청성올 향 상시킬 수 있음융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고분자(高分子) 재료(材料)의 오존열화(劣化) 및 방지(防止) 메커니즘

  • Heo, Dong-Seop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16 no.4
    • /
    • pp.217-227
    • /
    • 1981
  • 오존은 PE나 고무 등 고분자재료(高分子材料)의 표면(表面)에 존재하는 이중결합(二重結合)에 대(對)하여 친전자적부가반응(親電子的付加反應)으로 ozonide가 생성되고 이어서 제(第)3급(級) 수소(水素)를 공격하므로서 주쇄(主鎖)가 절단된다. 따라서 aldehyde, ketone 등의 carbonyl 화합물(化合物)이 생성된다. 이들이 재료표면(材料表面)의 굴곡변형(變形)의 증가에 따라 열(熱) 또는 공(光)에 의하여 다시 분해(分解)를 촉진시킨다. 2개(個)의 N분자(原子)에 방향족(芳香族) 및 지방족기(脂肪族基)를 각각 치환시킨 p - phenylene diamine 유도체(誘導體) 등과 같은 전자공흥성(電子供與性)이 큰 화합물(化合物)은 친전자적(親電子的)인 오존과 우선적으로 3급(級) 수소에 비하면 약 100 배(倍)로 반응성이 크다는것을 표(表)3으로 알수 있다. 미단이중결합(未端二重結合)에 대한 오존과의 반응은 다음 반응식과 같이 이중결합(二重結合)에 오존의 부가반응(付加反?)으로 개시(開始)되어 peroxi methylene이 유리되면서 미단(未端)은 aldehyde로 변화한다. 또 1개의 반응은 제(第)3급(級) 탄소-수소 결합에 오존이 삽입되고 계속 일어나는 분해반응으로서 hydroperoxide의 생성 및 탈염화수소(脫鹽化水素)반응이 일어난다. 이와같은 반응(反?)으로 생성(生成)된 내부(內部) 이중결합(二重結合)에 대한 오존의 반응은 olefin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molozonide나 ozonide의 과정을 거쳐 주쇄(主鎖)가 개열(開裂)되는 것이다.

  • PDF

Organic Electrolyte of the Additive the Gamma-Butyroloctone (GBL) for Additive Material Application to High Voltage Electrochemical Capacitor (Gamma-butyroloctone(GBL)을 첨가한 유기계 전해액의 고전압용 전기화학 커패시터로의 응용)

  • You, Sun-Kyung;Park, Soo-Gil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20 no.1
    • /
    • pp.13-17
    • /
    • 2017
  •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organic electrolyte application to electrochemical capacitor for high operation voltage. For high operating voltage, 5 wt % of gamma butyroloctone (GBL) was added in the bare electrolyte. During the cycle performance, stable SEI layers were formed by reductive decomposition of additive GBL. As a result, columbic efficient of 1M $SBPBF_4$ in EC:DMC(1:1) with GBL composite was enhanced to 70% after the 2000th cycle at voltage range 0-3.5 V. Additionally, SEI layer protected the surface of electrode and prevent the side-reaction between electrolyte to electrode.

Degradation of VOC by Photocatalysts and Dark Discharge Hybrid Systems (광촉매와 암방전(dark discharge) 복합 시스템을 이용한 VOC의 분해)

  • Jung, Jihoo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6 no.5
    • /
    • pp.852-857
    • /
    • 2008
  • The immobilization technique is important to extend the application field of a photocatalyst. Titanium surface was changed into a $TiO_2$ thin film by the anodizing process. The anodized $TiO_2$ had photocatalytic activity, and showed sponge like shape.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gas phase acetaldehyde and VOCs by anodized titania has been studied in various initial concentrations, humidity and discharge potentials. The reactivity of anodized titania was increased with relative humidity, but excessive humidity led to a decrease of the reaction rate. The electric dark discharge that was combined with photocatalytic reaction enhanced the decomposition rate of the organic compounds. But excessively applied voltage caused corona discharge, which decreased the reaction rate. Optimum relative humidity was 40% and discharge potential was 5 kV under dark discharge region in photocatalytic reaction.

A Study on the Allergenicity of Egg Protein (달걀 단백질의 Allergenicity에 관한 연구)

  • 정은자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1 no.2
    • /
    • pp.228-236
    • /
    • 1998
  • Egg is an important foods containing many good proteins. But it is well known that egg protein has a lot of allergeni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ethods to reduce the allergenicity of egg. I tried various experimental methods ; For example, heat treatment,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and microwaves, treatment with polyphosphate, enzyme hydrolysis and PCA inhibition test using guinea pigs and degrees of hydrolysi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Heat treatment reduced allergenicity of egg protein. The longer the heat time, the better the effect. 2. Irradiating with ultraviolet and microwave increased both the degree of protein hydrolysis and PCA inhibition reduced the allergenicity. Ultraviolet was more effective than microwaves on egg protein. Fertilized eggs did not reduce allergenicity. 3. Enzyme treatment increased the degree of hydrolysis and PCA inhibition, and reduced allergenicity considerably. Alcalase was more effective than neutrase. 4. Adding polyphosphate did not induced protein hydrolysis, but increased PCA inhibition and reduced allergenicity. 5. The picture of various treatments of egg gel by SEM showed a light surface which indicated that protein was desolved. Neutrase was lighter than alcalase, and the longer the heating time, the lighter the surface became. 6. Measurements of the hardness of egg gel by Instron showed that the longer the reaction time with enzyme, the softer it became.

  • PDF

Drug Release Behavior and Degradability of Microspheres Prepared using Water-Soluble Chitosan (수용성 키토산으로 제조한 미세구의 분해성과 약물 방출 거동)

  • 장미경;최창용;김원석;정영일;나재운
    • Polymer(Korea)
    • /
    • v.28 no.4
    • /
    • pp.291-297
    • /
    • 2004
  • Water-soluble chitosan micro spheres were prepared by emulsification of chitosan solution in mineral oil followed by cross linking reaction with different amount of the cross linking agent (glutraraldehyde), different chitosan concentration. The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morphological change by degradation, drug loading efficiency, and drug release profiles were investigated with the drug loaded water-soluble chitosan microspheres. Norfloxacin loaded water-soluble chitosan micro spheres showed excellent drug entrapping capacities without burst release caused by surface bound drug. The absence of the surface bound drug also confirmed by X-ray diffraction study. Degradation and drug release studies showed that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played a crucial role for drug loading, release and degradation. The water-soluble chitosan micro spheres showed more sustained drug release profiles with slower degradation and larger particle size by increasing crosslinking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