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면하 분해

Search Result 505,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Degradation Behavior of Poly[(R)-3-hydroxybutyrate] by Using Single Crystals and Monolayers as Model Systems (단결정과 단분자막을 모델 시스템으로 한 Poly[(R)-3-hydroxybutyrate]의 분해거동)

  • Kim, Seong-Soo;Lee, Won-Ki;Ahn, Yong-Sik
    • Polymer(Korea)
    • /
    • v.29 no.1
    • /
    • pp.54-58
    • /
    • 2005
  • The hydrolytic behavior of microbial poly[(R)-3-hydroxybutyrate]](P(3HB)) has been studied by using two model systems, Langmuir monolayer and solution-grown single crystals (SCs), for elucidating the mechanism for both alkaline and enzymatic degradations. An initial degradation of SCs of P(3HB) leads to breakup lamellae parallel to their short axis (b-axis). Similarly, ridge formation on the lamellar surface appears along the b-axis at lower quenching temperature than melting temperature. Both results support that the lamellar crystals contain less-ordered and more thermally sensitive regions along the b-axis. Although the enzymatic hydrolysis of P(3HB) monolayers was similar to its alkaline one, the enzymatic degradation of P(3HB) monolayers occurred at higher constant surface pressure than the alkaline degradation. This behavior might be attributed to the size of enzymes which is much larger than that of alkaline ions; that is, the enzymes need larger contact area with monolayers to be activated.

CHEMICAL DEGRADATION OF LIGHT CURED COMPOSITE RESINS IN NAOH SOLUTION (NaOH 용액내에서의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화학적 분해)

  • Kim, Jung-Ran;Jeong, Byung-Cho;Yang, Kyu-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9 no.3
    • /
    • pp.469-477
    • /
    • 2002
  • One of the major deficiencies of composite restorative resins is their insufficient resistance to wear. Of the multitude of factors that have been associated with wear, subsurface degradation within the restoration is considered to be o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of four commercial composite resins in an alkaline solution. The brands studied were Z100(3M), Clearfil AP-X(Kuraray), Tetric Ceram(Vivadent), Aelit flo(Bisco). Resistance to degradation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parameters: (a) mass loss(%) - determined from pre-and post-exposure specimen weights: (b) Si loss(ppm) - obtained from ICP-AE analysis of solution exposed to specimens; and (c) degradation depth(${\mu}m$) - measured microscopically (SEM) from polished circular sections of exposed specime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quence of the mass loss was in ascending order by AE, EL, TC, Z100.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mass loss between AE, CL group and TC, Z100 group(p<0.05). 2. The sequence of the degree of degradation layer depth was in ascending order by AE, CL, TC, Z100.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degree of degradation layer depth between AE and CL(p<0.05). 3. For the Si concentration, Z100 was the highest of all. 4.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ass loss and degradation depth was relatively high(r=0.71 p<0.05).

  • PDF

HYDROLYTIC DEGRADATION OF DENIAL COMPOSITE RESINS (수종 치과용 복합레진의 가수분해)

  • Yang, Kyu-Ho;Kim, Jung-Ra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7 no.2
    • /
    • pp.370-378
    • /
    • 2000
  • The composite restorative resins have their insufficient resistance to wear. The subsurface degradation within the restoration is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w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of six commercial composite resins in an alkaline solution. The brands studied were Clearfil APX(Kuraray), Heliomolar(Vivadent), Surefil(Dentsply), TPH(Dentsply), Tetric Ceram(Vivadent), and Z100(3M). Preweighed discs of each brand were exposed 0.1N NaOH solution at $60^{\circ}C$. After 14 days they were removed, neutralized with HCL, washed with water and dried to constant mass at $60^{\circ}C$. Resistance to degradation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parameters: (a) mass loss(%) - determined from pre-and post-exposure specimen weights; (b) Si loss (ppm)-obtained from ICP-AE analysis of solution exposed to specimens; and (c) degradation depth$({\mu}m)$ - measured microscopically (SEM) from polished circular sections of exposed specime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ss loss was in descending order by Z100, TC H, S, CL, TPH and in the range of $0.45\sim3.64%$ 2. The degradation layer depth was in descending order by H, Z100, S, TC, TPH, CL and in the range of $10.85\sim73.38{\mu}m$ 3. For the Si concentration, Z100 was the highest of all 4. The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r=0.81, p<0.05) was observed between mass loss and degradation depth. 5. Under scanning electronmicroscopy, the degradation of connection between resin matrix and fillers was observed 2 weeks after soaking in NaOH solution.

  • PDF

Study of fabrication of anodic TiO2 nanotube and transition metal catalyst doping on its surface (양극산화 타이타늄 나노튜브 제작 및 전이금속 촉매 표면처리에 대한 연구)

  • O, Gi-Seok;Yu, Hyeon-Seok;Choe, Ji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336-337
    • /
    • 2015
  • $TiO_2$는 표면적이 넓고 안정성이 높아 자체의 높은 밴드갭(3.0~3.2 eV)에도 불구하고 산업적으로 염소분해 전극으로써 사용되며, 최근 물분해 전극 적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전기화학적 물분해 반응을 위해서는 높은 과전압이 요구되므로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촉매제의 도핑이 연구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표면에 촉매를 도핑시키기 위한 두가지 방법을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촉매로 사용되는 금속은 루테늄과 이리듐 등의 귀금속이며 촉매가 균일하게 도핑이 될수록 성능은 향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루테늄을 촉매로 선택하였으며 서로 다른 도핑 방법과 용매 하에서 물분해 실험을 진행하여 두 가지 방법의 물분해 효율을 비교하였다.

  • PDF

The novel methods for doping of Ru oxide on TiO2 nanotubes thin-film on Ti substrate by electrochemical anodization (타이타늄 나노튜브 박막 상의 루테늄 산화물의 전기화학적 도핑 방법)

  • Yu, Hyeon-Seok;O, Gi-Seok;Choe, Ji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235-236
    • /
    • 2015
  • $TiO_2$는 표면적이 넓고 안정성이 높아 자체의 높은 밴드갭(3.0~3.2 eV)에도 불구하고 산업적으로 염소분해 전극으로써 사용되며, 최근 물분해 전극 적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전기화학적 물분해 반응을 위해서는 높은 과전압이 요구되므로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촉매제의 도핑이 연구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표면에 촉매를 도핑시키기 위한 두가지 방법을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촉매로 사용되는 금속은 루테늄과 이리듐 등의 귀금속이며 촉매가 균일하게 도핑이 될수록 성능은 향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루테늄을 촉매로 선택하였으며 서로 다른 도핑 방법과 용매 하에서 물분해 실험을 진행하여 두 가지 방법의 물분해 효율을 비교하였다.

  • PDF

Behavior of Hydrogen Embrittlement of Subsurface Zone in DP Steel (DP강 표면하 subsurface zone의 수소취화거동)

  • Gang, Gye-Myeong;Park, Jae-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3-195
    • /
    • 2011
  • 강판재 사용에 있어 수소취성현상은 강판재가 고강도화됨에 따라 그 감수성이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노출강판재의 경우, 표면으로부터 침투해 들어가는 수소에 의한 수소취화 거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DP강을 시험편으로 하여, 음극전기분해법에 의해 수소를 강제주입시킨 후, DP강 표면하 subsurface zone의 수소취화 거동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미소경도분포 측정결과, 수소주입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하 subsurface zone의 경도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수소에 의해 표면하 subsurface zone의 경화가 일어나 DP강의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판단된다. 미소경도분포의 측정결과와 미세조직 관찰결과로부터 수소임계침투깊이를 평가하였고, 이를 통해 DP강내 수소확산에 의한 수소임계침투깊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 EVALUATION OF CHEMICAL DEGRADATION OF LIGHT-CURED RESTORATIVE COMPOSITES (광중합 복합레진의 화학적 분해 평가)

  • Yang, Kuy-Ho;Kim, Hun-Ju;Choi, Nam-K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0 no.3
    • /
    • pp.530-539
    • /
    • 200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of four commercial composite resins in an alkaline solution. The brands studied were Charisma, Filtek P 60, Palpique Estelite, and Spectrum. Preweighed discs of each brand were exposed to 0.1N NaOH solution at $60^{\circ}C$. After 2 weeks they were removed, neutralized with HCl, washed with water and dried. Resistance to degradation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following parameters: (a) mass loss(%) - determined from pre-and post-exposed specimen weights; (b) Si loss(ppm) - obtained from ICP-AE analysis of solution exposed to specimens; and (c) degradation depth(${\mu}m$) - measured SEM and CLSM from polished circular sections of exposed specime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quence of mass loss was in descending order by Palpique Estelite, Filtek P 60, Charisma, and Spectrum. 2. The sequence of the degree of degradation layer depth was in descending order by Filtek P 60, Charisma, Palpique Estelita, and Spectrum. 3. The sequence of the Si loss was in descending order by Chrisma, Spectrum, Palpique Estelite, and Filtek P 60. 4.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ass loss and degradation layer depth was relatively high(r=0.704, p<0.05). 5. When observed with SEM, destruction of bonding was observed between resin matrix and filler. 6. When observed with CLSM, degradation layer depth of composite resin surface was observed.

  • PDF

Surface Treatment of Multi Electrode Array for Enhancement of Neuronal Signal (신경 신호 증대를 위한 Multi Electrode Array 전극의 표면 처리)

  • Lee, Byoung-Kab;Hwang, Young-Ha;Pak, Jung-Ho;Lee, Ky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11a
    • /
    • pp.481-484
    • /
    • 2004
  • 다중 채널 전극 위에 세포를 성장시켜 전극면을 통해 검출되는 신경 신호의 손실을 줄이고 주파수의 변형을 줄이기 위해서 전극과 전해질의 사이의 impedance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하 이동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낮은 impedance가 요구되며 이를 위한 전극의 개선 방안으로 전극면이 증착될 기판의 표면을 거칠게 하여 결과적으로 전극면의 표면적을 넓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기판으로 사용되는 glass(Pyrex#7740)의 구성 물질 중에서 4%를 차지하는 $N^+$ 이온을 황산 용액으로 표면 처리하여 제거함으로써 매끈한 표면을 거칠게 하여 표면적을 넓힐 수 있다. 기판으로 사용되는 glass (pyrex#7740) $1cm{\times}1cm{\times}0.05cm$를 50%, 95% 농도의 황산 용액 내에서 각각 30분, 60분 동안 상온에서 표면처리를 진행하였다. AFM을 이용하여 표면을 관찰한 결과 황산 용액 95%에서 30분간 표면 처리를 진행한 시편에서 최대 $4000{\AA}$정도의 조도를 얻었다. 이후 동일 시편에 대해 전극으로 사용될 Ti/Au를 각각 $500{\AA}/2500{\AA}$ 증착 후 사진식각 공정으로 MEA(Multi-channel electrode array)를 제작하여 impedance를 측정한 결과, 표면 처리 후 impedance가 70% 개선되었음을 측정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ITO with surface treatment by N2, O2, Ar Plasma and UV (질소, 산소, 아르곤 플라즈마와 자외선에 의하여 표면 처리한 ITO의 특성)

  • Bae, Gyeong-Tae;Jeong, Seon-Yeong;Gang, Seong-Ho;Kim, Hyeon-Gi;Kim, Byeong-Jin;Ju, Seong-H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90-90
    • /
    • 2018
  •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가로 전극과 세로 전극으로 구성되고, 전극에 신호를 주어 동작하도록 하는 원리이다. 이 디스플레이에는 전기가 통하고 투명한 전극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대표적인 투명 전극으로 ITO (Indium Tin Oxide)가 있다. ITO 박막은 $In_2O_3$에 Sn을 첨가하여 $Sn^{4+}$ 이온이 $In^{3+}$ 이온을 치환하고 이 과정에서 잉여 전자가 전기전도에 기여하는 구조이다. ITO 박막은 표면 처리 방법에 따라 표면 상태가 크게 변화한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표면 처리는 환경오염이 적으며 강도, 탄성률 등과 같은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표면 특성만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1]. UV (Ultraviolet)를 조사한 표면처리는 ITO 표면의 탄소를 제거하고, 표면 쌍극자를 형성하며, 표면의 조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페르미 에너지 준위를 이동시킬 수 있어 ITO의 일함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2]. ITO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건으로 표면 처리한 ITO 표면의 일함수, 면저항, 표면 형상, 평탄도, 접촉각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세정한 ITO, 세정 후 UV 처리한 ITO (UV 처리 시간 2분, 4분 6분, 8분), 세정 후 $N_2$, $O_2$, Ar의 공정 가스를 사용하여 Plasma 처리한 ITO로 표면 처리 조건을 변화하였다. 표면 처리한 ITO의 특성은 Kelvin Probe를 이용한 일함수, 물방울 형상의 각도를 측정한 접촉각, AFM (Atomic Force Microscope)을 이용한 평탄도, 가시광선 (380~780 nm) 파장에 대한 투과도와 면저항을 측정하였다. 접촉각은 세정한 ITO의 경우 $45.5^{\circ}$에서 세정 후 UV를 조사한 ITO의 경우 UV 8분 조사 시 $27.86^{\circ}$로 감소하였고, $N_2$, $O_2$, Ar 가스를 사용하여 Plasma 처리한 ITO는 모두 $10^{\circ}$ 미만을 나타내었다. 플라즈마 처리에 의하여 접촉각이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ITO의 면저항은 표면 처리 조건에 따라 $9.620{\sim}9.903{\Omega}/{\square}$로 그 차이가 매우 적어 표면처리에 의하여 면저항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도는 공정 조건에 따라 87.59 ~ 89.39%로 그 차이가 적어 표면처리에 의한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 처리 조건에 따른 평탄도 $R_{rms}$는 세정한 ITO의 경우 4.501 nm로부터 UV 2, 4, 6, 8분 처리한 경우 2.797, 2.659, 2.538, 2.584 nm로 평탄도가 개선되었다. $N_2$, $O_2$, Ar 가스를 사용하여 플라즈마 처리한 ITO의 경우 평탄도 $R_{rms}$는 2.49, 4.715, 4.176 nm로 사용한 가스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표면 처리 조건에 따른 평탄도 Ra는 세정한 ITO의 경우 3.521 nm로부터 UV 2, 4, 6, 8분 처리한 경우 1.858, 1.967, 1.896, 1.942 nm를, $N_2$, $O_2$, Ar 가스를 사용하여 플라즈마 처리한 ITO의 경우는 1.744, 3.206, 3.251 nm로 평탄도 $R_{rms}$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CHEMICAL DEGRADATION OF VARIOUS COMPOMERS IN NaOH (콤포머의 NaOH 용액 내에서의 화학적 분해)

  • Park, Mi-Ran;Choi, Nam-Ki;Lee, Young-Jun;Kim, Seon-Mi;Yang, Kyu-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1 no.2
    • /
    • pp.144-152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of three commercial compomers in an alkaline solution. Dyract(Dentsply), Elan(Kerr) and F-2000(3M) polyacid modified resin composites(compomer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mass loss(%), degradation $depth({\mu}m)$ and Si, Al, Ba loss(pp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ass loss of each brand was $1.42%{\sim}2.14%$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mass loss among Dyract, F2000 and Elan. 2. The degradation layer depth of each brand was $182.92{\sim}227.7{\mu}m$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degradation layer depth among Dyract, F2000 and Elan. 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loss and Al-loss among three compomers (p<0.05). Si loss was the highest value in Dyract and Al loss was the highest value in F2000. 4.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ss loss and degradation layer depth (r=0.60, p<0.05). 5. In SEM finding, there was some destruction of compomer matrix-filler interface in post-exposure specimen to NaOH solution. As the matrix decreased, the filler particles distinguished and the periphery of the filler particles appeared whitish color due to degrad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