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면평균압력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f Surface Pressure on a Turbine Blade in Partial Admission (분사영역과 터빈익형 위치에 따른 표면압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i, Hyoung-Jun;Park, Young-Ha;Kim, Chae-Sil;Cho, Soo-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9 no.8
    • /
    • pp.735-743
    • /
    • 2011
  •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surface pressure was measured in a steady state on a turbine blade which was moved the injected region and receded the stagnation region using a linear cascade apparatus. Axial-type blades were used and the blade chord was 200mm. The rectangular nozzle was applied and its size was $200mm{\times}200mm$. The experiment was done at $3{\times}10^5$ of Reynolds number based on the chord. The surface pressures on the blade were measured at three different nozzle angles of $58^{\circ}$, $65^{\circ}$ and $72^{\circ}$ for off-design performance test. In addition, three different solidities of 1.25, 1.38 and 1.67 were applied. From the results, the low solidity caused the low pressure on the blade suction surface at entering region and the reverse rotating force was generated at the low nozzle angle. The positive incidence also made the pressure lower on the suction surface at entering region.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내의 이온 존재비율 측정에 관한 연구

  • 조정희;한승희;이연희;김영우;임현의;서무진;김곤호;김옥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19-219
    • /
    • 1999
  • 플라즈마 이온 주입은 진공 chamber 내에 주입하려는 이온이 포함된 플라즈마를 발생시킨 후 처리하고자 하는 시편에 negative high voltage pulse를 인가함으로써 시편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이온들을 시편에 주입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플라즈마 이온 주입 방법은 금속의 내마모성, 내부식성, 강도 및 경도를 증가시키고, 고분자 화합물의 표면 개질에 있어서 친수성 또는 소수성과 같은 표면 처리를 쉽고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공정의 shallow junction doping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대면적의 시편에 균일하게 이온을 주입할 수 있다. 플라즈마 이온 주입 방법에서 중요한 요소는 dose, 즉 이온 주입한 양과 처리하려는 시편에 주입되는 이온의 에너지이다. 여기서, 플라즈마내에 생성된 이온들의 비율을 정확히 안다면 시편에 주입되는 이온의 양과 주입되는 이온의 에너지를 충분히 예견할 수 있다. 질소 플라즈마의 경우에는 N+와 N2+가 생성되므로, 시편에 주입된 질소 이온의 실질적인 이온당 질소 원자수는 1$\times$N+% + 2$\times$N+%가 되고, N2+의 경우는 N+ 주입 에너지의 1/2 로 시편내에 주입되게 된다. 또한 질소 플라즈마의 경우 N2+ 이온이 상대적으로 N+이온보다 많다면 N+가 많은 경우보다 이온 주입 깊이는 얕아지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Dycor M-100 residual gas analyzer와 potical emission spectrometer (Ocean Optics SQ 2000)를 사용하여 압력과 RF power를 변화시키며 플라즈마내에 생성되어지는 질소 이온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Langmuir probe를 이용하여 속도차에 의한 각 이온들의 존재비율을 계산하였다. 여기에서 질소 가스의 압력이 낮을수록 N+보다 N2+의 존재비율이 높음을 보였다. 이것은 압력이 낮은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전자의 평균온도가 높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 PDF

Effects of Waves and Free-Surface Boundary Conditions on the Flow A Surface-Piercing Flat Plate (수면 관통 평판주위 유동에 미치는 파의 영향 및 자유표면 경계조건에 대한 연구)

  • Choi, Jung-Eun;Stern, F.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4 no.1
    • /
    • pp.41-49
    • /
    • 1997
  • Computational results from Navier-Stokes equations are presented for the Stokes-wave/flat-plate boundary-layer and wake for small wave steepness(Ak=0.01), including exact and approximate treatments of the viscous free-surface boundary conditions. The macro-scale flow indicate that the variations of the external-flow pressure gradients caus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f the streamwise velocity component and alternating direction of the cross flow. Remarkably, the wake displays a greater response, i.e., a bias with regard to favorable as compared to adverse pressure gradients. The micro-scale flow indicates that the free-surface boundary conditions have a profound influence over the boundary layer and near/intermediate wake. Order-of-magnitude estimates are conformed to the computational results. And appreciable errors are introduced through approximations to the free-surface boundary conditions.

  • PDF

The Elastic Contact Analysis of 3D Rough Surface of Nongaussian Height Distribution (Kurtosis를 고려한 3차원 거친 표면의 탄성접촉해석)

  • Kim, Tae-Wan;Koo, Young-Pil;Cho, Yong-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8 no.10
    • /
    • pp.53-60
    • /
    • 2001
  • Surface roughnes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friction, wear, and lubrication in machine components. Most engineering surfaces have the nongaussian height distribution. So, in this study, contact simulations are conducted for not only gaussian surfaces but also nongaussian surfaces. Nongaussian rough surface considering the kurtosis is generated numerically And the effects of kurtosis on real contact area fraction, average gap, and mean asperity contact pressure are studied. It will be shown that the real contact area fraction and the mean asperity contact pressure are sensitive to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geometry according to kurtosis.

  • PDF

실리콘 기판 위 티타늄/나노결정다이아몬드 복합박막 성장 연구

  • Kim, In-Seop;Na, Bong-Gwon;Gang, Chan-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510-510
    • /
    • 2011
  • Si (100) 2 인치 웨이퍼 위에 RF Magnetron Sputtering 방법으로 Ti 박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MPCVD (Microwave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을 이용하여 나노결정다이아몬드 박막을 증착하였다. 지름 3인치, 두께 1/4인치의 Ti 타겟을 사용하고, Ar 가스 유량 11 sccm, 공정 압력 $4.5{\times}10^{-3}$ Torr, RF 전력 100 W, 기판온도 $70^{\circ}C$ 조건에서 2 시간 동안 Ti 박막을 증착하여 약 $0.8{\mu}m$의 박막을 얻었다. 그 위에 공정 압력 110 Torr, 마이크로웨이브 전력 1.2 kW, Ar/$CH_4$ 가스 조성비 200/2 sccm, 기판 온도 $600^{\circ}C$의 조건에서 기판에 -150 V의 DC 바이어스 전압 인가 여부를 변수로 하고, 증착 시간을 변화시켜 나노결정다이아몬드 박막을 제작하였다. FE-SEM과 AFM을 이용하여 다이아몬드 입자의 크기와 다이아몬드 박막의 두께, 표면 거칠기 등을 측정하였고, Raman spectroscopy와 XRD를 이용하여 다이아몬드 결정성을 확인하였다. 바이어스를 인가하지 않았을 경우 증착 시간이 증가할수록 다이아몬드 입자의 평균 크기가 증가하며 입자들이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2시간이 경과해도 아직 완전한 박막은 형성되지 못하고 약 4시간 이상 증착 시 완전한 박막을 이루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서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할 경우 1시간 내에 완전한 박막을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면 거칠기는 바이어스를 인가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바이어스 효과는 표면에서의 핵생성 밀도 증가와 재핵생성 속도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Development of Vacuum Cooling for Agriculture Products (농산물 진공예냉장치 개발)

  • Lee, W.O.;Yun, H.S.;Chung, H.;Lee, H.D.;Cho, K.H.;Lee, K.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195-201
    • /
    • 2002
  • 입고ㆍ예냉ㆍ출고까지 전 공정을 자동화하고 진공압력을 작물의 품온에 따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진공챔버내에 콜드트랩을 설치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킨 진공예냉장치를 개발하여 고랭지 배추와 느타리버섯, 상추를 대상으로 예냉성능을 평가하고 예냉이 이들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 새로 개발된 진공식 예냉장치는 공급컨베이어, 좌우 자동 슬라이딩 문, 이송컨베이어, 진공챔버, 진공펌프 콜드트랩, 냉동기로 구성되어 있다. 팔레트를 공급컨베이어에 올려놓고 작동을 시작하면, 입구문이 열리고 팔레트가 진공챔버내로 이송되면,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챔버내의 압력을 떨어뜨리고, 콜드트랩과 냉동기가 작동되어 예냉이 시작된다. 예냉이 완료되면 출구문이 열리고 이송컨베이어가 역회전하여 밖으로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나. 제작된 예냉장치의 예냉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느타리버섯, 고랭지 배추, 상추를 대상으로 냉각속도, 냉각균일도, 예냉후 저장중 품질변화시험을 실시하였다. 다. 시험결과 냉각소요시간은 느타리버섯의 경우 초기품온 15.2$^{\circ}C$에서 $1.5^{\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24분, 고랭지배추는 13.5$^{\circ}C$에서 3.7$^{\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18분, 상추는 13.4$^{\circ}C$에서 2.$0^{\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24분 소요되었다. 평균냉각속도는 느타리버섯이 34.3$^{\circ}C$/h, 고랭지배추 32.6$^{\circ}C$/h, 상추 28.5$^{\circ}C$/h로 나타났다. 라. 또한 각층간의 냉각균일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포장상자내에서 표면 품온과 내부품온변화를 조사한 결과 차이가 거의 없어 균일한 냉각이 가능하였다.생기 양단의 온도차는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낮게 나타났다. 재생기 축열재로서 철망-철선을 사용할 경우 철선-철망 ø1.2-150이 전열 표면적은 작으나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가장 낮게 나타나 공시 철망- 철선 혼합 축열재중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4.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축열재의 경우, 철망사이에 삽입한 철선의 직경이 큰 것이 철선의 직경이 작은 것보다 재생기의 양단의 온도차가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차는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것 중 성능이 우수한 것은 150-ø2. 0-150으로 나타났다. 5. 실험한 재생기 축열재들 중에서 성능이 우수한 것들을 비교한 결과, 복합 철선 ø1.2-1 50이 가장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적외선.열풍 복합건조방법이 높게 나타나 이것은 곡물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에의한 복사열이 전달되어 열장해를 받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금후 더 연구하여 적정 열풍온도 및 방사체 크기를 구명해야 할 것이다.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옻나무 유래 F는 포유동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named "the Nonsignificant group". And th

  • PDF

A Study on Fatigue Crack Growth Characterization Of Surface Crack In Pressure Vessel Materials (압력용기 소재에서의 표면균열의 피로균열 성장특성에 관한 연구)

  • 허용학;이주진;한지원;김종집;문한규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1
    • /
    • pp.96-102
    • /
    • 1990
  • Cracks found in pressure vessels have been reported to be mostly semi-elliptic surface cracks. The fatigue crack growth behaviour of the surface cracks on pressure vessel materials, SPV 50Q and API 5A-K55, was studied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crack opening character. To determine the crack opening loads for the surface cracks, the displacement/strain were measured at three positions; the center and the side of the surface crack, the back face of the specimen using CMOD gauge and strain gaug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crack opening load levels measured at the side of the surface crack were generally a little higher than those measured at the back face. As for the crack growth rates at the different parts of the surface crack, the experiments also showed that, if .DELTA.K$_{eff}$ is used, the exponent n of the Paris' law obtained were the same for the rear and the side parts of the surface cracks.

Measurement of the Average Surface Pressure by a Vertical Impinging Jet for the Different Distances (거리에 따른 수직 충돌 제트의 표면 평균압 측정)

  • Jeong W.W.;Rhee K.H.;Jang A.S.;Park K.R.;Chun K.J.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1-182
    • /
    • 2006
  • When a water jet is injected on the body surface, the pressure and shear stress on the surface are important physical parameters in determining the body surface wash out and physical stimulus. We used the force plate in order to measure the surface average pressure for different nozzle types and distances between a nozzle and a plate. We used the nozzles with a hole dimeter of 1.8, 2.9, 3.2mm, and the shower heads with 10 holes (hole diameter, 1mm) and 20 holes (hole diameter, 1mm). The distances between a nozzle and a plate was 10, 20, 30, 40c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rface forces were not affected by the distances between a nozzle and a plate. Further numerical studies will be performed to predict wall shear stress based on the measured pressure data.

  • PDF

Response of Ultrafiltration Flux to Periodic Oscillations in Transmembrane Pressure Gradient (압력구배의 주기적 변화에 따른 한외여과 Flux의 변화)

  • 서창우;이은규
    • KSBB Journal
    • /
    • v.14 no.2
    • /
    • pp.230-234
    • /
    • 1999
  • To improve the crossflow untrafiltration flux, we applied periodic oscillations in transmembrane pressure gradient in order to promote fluid turbulence by inducing repeated compression and relaxation of the cake/gel layer. The oscillatory forms used were square-, sine-, triangle-wave, and pumping interruption. The permeate flux profiles were mathematically simulated and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The result showed the periodic pumping interruption most effectively improved the overall flux by up to about 32%. Enough pumping off-time, at least on the order of tens of seconds, was needed to allow the solutes in the layer to diffuse back to the bulk phase. It was better to start the oscillations earlier before the layer was fully established. The square-wave oscillation yielded about 11% increase, which was particularly pronounced in the later part of the filtration. Either the amplitude or the period of the oscillations resulted little influence on flux.actate ester, and lactate ester produced in esterification reaction was distilled simultaneously with hydrolysis reaction into lactic acid. When the yields of lactic acid recovered by batch reactive distillations with various alcohols were compared, the yield of lactic acid was increased as the volatility of lactate ester was increased. In this batch reactive distillation, because the mixtures condensed in partial condensor were flown to reboiler through distillation column, the recovery yield of lactic acid was affected by operation temperature of partial condensor. Hydrolysis reaction into lactic acid in distillation column rarelyoccurred because of short retention time of lactate ester and water. Lactate ester was reacted into lactic acid in reboiler.

  • PDF

A Study on Internal Ballistic Analysis of Solid Rocket Motor Using VOF Method (VOF 기법을 이용한 고체로켓모터의 내탄도 해석 연구)

  • Kim, Sujeong;Kim, Sooj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1 no.3
    • /
    • pp.61-67
    • /
    • 2017
  • In this study, Burning Area Analysis Program (BAAP) was developed by using VOF method to estimate the burning area of 3D shaped grain. The parametric study of mesh size, burning rate and time interval for numerical calculation was conducted. The result of BAAP is compared with the one from commercial 3D modeling software. Also the internal ballist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esult of BAAP. In order to estimate the burning area and internal pressure with time, Chemical Equilibrium Analysis (CEA) was conducted with a composition of reduced smoke propellant. As a result, the web-averaged pressure was 5.34 MPa which is similar to the published research 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