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면유출량

Search Result 17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매립 작업중인 쓰레기 매립지에서 대기중에 유출하는 가스의 분포특성

  • 이해승;이찬기;류돈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7.05a
    • /
    • pp.61-64
    • /
    • 1997
  • 본 연구는 매립 작업중인 준호기성매립지에서 유출가스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H$_4$가스는 대부분 입형가스포집관에서 유출되며, $CO_2$가스는 총유출량의 약 50% 정도가 입형가스포집관을 통하여 유출된다. (2) 매립지 표면에서는 CH$_4$가스 보다 $CO_2$가스가 많이 유출된다. (3) 법면 복토층은 면적비율이 작으나 가스 발생량이 많으며, 특히 $CO_2$가스의 발생율이 높다. (4) 쓰레기층 표면에서의 CH$_4$가스 발생량은 미소이므로 무시하여도 된다. (5) 쓰레기층 노출, 복토층 다짐정도등에 따라 발생량의 변화를 보인다. (6) 매립부에서 새로 반입된 쓰레기층에서 $CO_2$가스 유출량이 많다. (7) 가스포집관과 복도 표면을 포함한 가스 유출량은 CH$_4$가스 유출이 많으나, 전체로는 $CO_2$가스 유출량이 많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of Rainfall Critical Duration and Time of Concentration by Road Surface Conditions and Rainfall Intensity (도로표면 조건과 강우강도 변화에 따른 임계지속기간과 도달시간의 상관관계 분석)

  • Lee, Sung Ho;Kim, Jung Soo;Lee, Jae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04-204
    • /
    • 2019
  • 국지성 호우의 증가로 인해 도시 지역의 내수침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배수의 흐름이 집중되는 저지대 지역과 노후화된 하수관거가 설치된 지역에서 특히 피해가 집중되고 있으며, 이는 도로 측면에 설치된 빗물받이와 같은 하수시설에서 원활하게 배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강우 발생시 도로표면에 노면수가 정체되어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과거 도로 노면의 형상과 강우의 임계 지속시간을 고려한 적정 우수 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현재 발생하는 국지성 호우의 형태나 강우강도의 변화에 따른 유출량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도달시간 산정식에 따른 매개변수의 차이와 새로운 도달시간 산정식의 개발로 도달시간의 결과가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의 침수피해를 막고 교통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로 조건을 고려한 도로 입구 및 하수관의 적절한 설계 등 다양한 연구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유출 모델인 SWMM 모형과 계산식을 이용하여 도로 표면의 폭과 길이, 도로 종횡단의 변화량, 재 산정한 강우강도에 따른 유출량을 계산하였다. 도로 표면의 폭과 길이, 경사를 다양하게 입력하였으며, 또한 각 Case에 따라 최대 유출량을 생성하는 임계지속기간을 결정하고 다양한 도달시간 산정식의 결과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달시간은 산정식의 매개변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도로표면의 길이와 횡단경사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횡단경사보다 종단경사가 클 경우 도달시간이 길어져 유량의 집중을 막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istribution of Gas Extruded from Sanitary Landfill (쓰레기 매립지에서 대기중에 유출하는 가스 분포)

  • 이해승;이찬기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2 no.1
    • /
    • pp.63-72
    • /
    • 1997
  • This study presents a surveying of methane and carbon dioxide at sanitary landfills.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The majority of methane and the half of carbon dioxide pour out from vertical gas vents. (2) The quantity of carbon dioxide in cove. soil was greater than methane. (3) Even though gas extrusion in side slop area was small, the quantity of gas extrusion in side slop area was much greater than in coversoil area as especially carbon dioxide rate. (4) As were carried raw refuse layer, methane extrusion was trace, but carbon dioxide was large. (5) Gas extrusion quantity were changed by the compaction of soil, and the operating area of refuse. (6) Carbon dioxide portioned much larger in the whole landfill, but methane portioned much larger in gas vent and coversoil.

  • PDF

Simulation of application effect of Rice Straw Mats and Soil Amendments using small scale plots (실내실험을 통한 밭의 볏짚거적과 토양개량제 적용효과 모의)

  • Shin, Min-Hwan;Won, Chul-Hee;Park, Woon-Ji;Lee, Su-In;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94-898
    • /
    • 2012
  • 본 연구는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하여 기존의 볏짚거적을 이용한 저감방법에 PAM과 Gypsum을 처리하였을 때, 표면유출량과 기저유출량, 유사량 그리고 탁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인공강우 시험기와 토양상자를 이용한 실내실험을 통하여 지표피복재의 종류와 강우강도 그리고 경사도에 따른 직접유출량과 유사량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경사도 (10 %, 20 %)와 강우강도 (30 mm/hr) 그리고 지표피복재의 종류에 따라 실험처리를 하였으며, 지표피복재는 볏짚(Rice straw mat)+PAM (Polyacrylamide)+Gypsum, 볏짚+PAM+톱밥 (Sawdust)+Gypsum, 볏짚+PAM+왕겨 (Chaff)+Gypsum으로 구분하여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볏짚을 이용한 다양한 피복소재를 이용해 지표를 피복할 경우, 대조구(나지)에 대비 유출수량, 토양유실 그리고 탁도 저감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를 피복한 처리구의 평균 표면 유출수량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72~85.6 %가 저감되었다. 그러나 동일조건의 Gypsum을 첨가하지 않은 연구와 비교 시 Gypsum의 혼용으로 인한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분화된 강우강도와 경사도 조건에 따른 실험이 필요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할 때, 지표의 피복과 토양개량제를 첨가하는 방법은 강우 시 발생하는 표면유출수와 유사 그리고 탁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최적영농관리방법 (Best management practice)의 하나로 판단된다.

  • PDF

Modeling the impact of land use change on Fecal Indicator Bacteria basin-scale transfers: assets and limitations from the SWAT model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박테리아 거동 모의: SWAT 모델의 한계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 Kim, Min-Jeong;Jo, Gye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9-49
    • /
    • 2018
  • 라오스의 Houay Pano 유역은 상업적 조림으로 인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급속한 토지이용 변화를 겪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토지이용변화가 박테리아 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이해하기 위해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형을 활용한 박테리아 거동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SWAT 모형은 수치 표고 모델, 토양 특성, 토지 이용 등의 정보를 종합하여, 유역 내수량 및 수질의 변화를 모의할 수 있는 모형으로, 본 연구는 대표적인 분원성 지표 세균 (Fecal Indicator Bacteria)인 대장균 (Escheichia coli, E. coli)을 대상으로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SWAT 모형은 지표면 위 박테리아를 1)식물 위, 2)토양 용액상, 3)토양 입자상으로 구분하여 모의한다. 각 상태로 분할된 박테리아는 소멸 (die-off), 씻김 (wash-off), 침투, 표면 유출을 통한 수계로의 이동 등의 단계를 통하여 유역 내에서 거동한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기후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각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2011, 2012, 2013) 실제 기후 조건과 동일 기후(2011-2013 평균) 조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기후 조건에서 SWAT 모형은 표면 유출, 토사 유출, E. coli 거동에 대해 2011년부터 2012년까지 감소,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증가로 모두 동일한 양상을 모의하였다. 이는 강수량의 양상과 동일한 것으로, 강수량이 표면 유출의 양을 결정하고, 달라진 표면 유출에 따라 토사 유출과 E. coli 거동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일 기후 조건에서는, E. coli 거동 동인인 표면 유출과 토사 유출이 비교적 일정해짐에 따라, 각 상태로 분할된 박테리아의 초기 부하량값이 E. coli 거동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초기 부하량 분할에 활용되는 엽면적 지수 (Leaf Area Index)와 분배계수 (BACTKDDB)의 정확도가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박테리아의 유입원인 비료 모델링과, LAI를 활용한 박테리아 초기 부하량 산정, 토양 특성 변수와 토지 이용 변수의 분리, 지하수를 통한 박테리아 거동 등을 중심으로 SWAT 모형의 한계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토지이용변화가 박테리아 거동에 주는 영향을 모형적으로 이해하고, 또한 추후 박테리아 모델링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Gravity flow and Surface-tension flow on Surface runoff (지표면 유출에서 중력흐름과 표면장력흐름)

  • Lee, Min-Ho;Won, Yoo-Seung;Yoo,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307-311
    • /
    • 2006
  • 일반적으로 도달시간은 지표면 유출의 흐름상태에 의존하며, 대개 중력흐름으로 가정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흐름상태를 중력흐름과 표면장력흐름으로 구분하고 각 흐름을 판단할 수 있는 임계치를 추정하였다. 도달시간 산정을 위해 유역경사와 지표면조고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무차원수를 도입하였으며, 이 임계치의 범위에 따라 중력흐름과 표면장력흐름을 구분하고 두 조건의 흐름상태에 따른 도달시간 산정식을 각각 개발하였다. 중력흐름에 의한 도달시간 산정식과 표면장력흐름에 의한 도달시간 산정식을 개발하고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 외국에서 실험한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이러한 흐름특성을 고려한 도달시간 산정식을 모형에 적용할 경우 유출모형을 통한 유출량산정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the road surface runoff at the continuous section (연속구간 도로의 표면흐름 분석)

  • Kim, Jung Soo;Jo, Jun Beom;Kim, Soo Youl;Lee, S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42-242
    • /
    • 2020
  •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유출환경의 변화로 인해 도심지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유출은 도로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도로변에 설치된 빗물받이에 의해 배수된다. 이 때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되지 않아 노면수가 정체되고, 이 노면수가 인근 주택지로 유입되어 침수 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유출량이 집중되는 도심지 저지대에서 주로 발생하며 설계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정상적인 강우 조건에서도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이는 최근의 기후 변화로 인한 집중 호우 등을 고려하여 설계 기준이 지속적으로 조정되어야 함과 동시에 도로 노면수의 배수 능력 평가를 위한 실제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로 빗물받이의 효율은 주로 종경사 및 횡경사 등의 도로 조건, 표면 유출 우수량, 빗물받이의 형상 등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상향된 설계빈도 및 도로 조건을 고려한 도로 표면 유출에 대한 흐름 분석과 빗물받이 특성을 고려한 실증연구의 분석 및 설계 해석 알고리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노면수의 배수 능력 증대를 위해 연속 설치된 빗물받이 조건 및 도로 경사조건을 고려하여 도로 배수시설의 표면 유출 모델 설계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표면 유출 유량은 도로의 차선(2~4차선), 경사(종경사 2~10% 및 횡경사 2~10%) 및 설계빈도(최대 30년)를 고려하였으며 유량이 노면 진행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부등류 흐름 해석 방법을 채택하였다. 또한, 빗물받이 설치간격(L)과 도로의 폭(W)의 곱으로 계산되는 단순 직사각형 형태의 노면 형상이 아닌 도로 종경사 및 횡경사에 따른 유달거리를 산정하여 평행사변형 형태의 노면 형상을 계산하고 이에 따른 면적(A), 도달시간(tc) 및 강우강도(I)를 산정하였다. 이와 같은 1차원 흐름분석을 통해 도로 표면흐름 및 빗물받이 설치 간격을 제시하고 기존의 제시된 빗물받이 설치 간격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설계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또한, 수리 실험을 통해 측정된 빗물받이 차집효율을 이용하여 연속 구간에서의 도로 표면 유출 모델의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빗물받이 유입구를 통해 모든 유량이 유출된다고 가정하고 단독 구간에서의 수리분석 결과만을 고려하여 이를 확장시켜 개발된 기존의 도로 표면 유출 모델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설계 알고리즘을 적용한다면 도로 전체 구간에서의 흐름 변화 분석과 배수효율의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므로 향후 도로 표면 침수 피해 저감 및 배수능력 증대를 위한 실증적이고 정량적인 분석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for Reducing Runoff Considering Surface Materials According to Housing Lot Developments (택지개발에 따른 표면재료를 고려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침투 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

  • Im, Janghyuk;Song, Jaiwoo;Park, Sungsik;Park, Hosa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8 no.5
    • /
    • pp.47-55
    • /
    • 2007
  • The increment of impermeable land area due to widespread land development caused the adverse impact on urban disaster prevention because it could decrease the peak rate of runoff as well as increase the runoff and peak flow during rainy period. To date,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and quantitative analysis because of their highly dependence on construction method, paving material, surface permeability, and field condition. Hen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runoff-reduc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paving material, which were examined using experimental apparatus with varying paving material and rainfall intensity, and thus to provide fundamental research data for runoff-reducing infiltration facilities. In this study, the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under the rainfall intensity of 20, 30, 50, 80, 100, 200 mm/hr for a variety type of paving materials such as concrete, asphalt, sand, grassland, and permeable paving material. The infiltration rate for permeable paving material was observed to be more than 93% under the condition of less than 200 mm/hr of rainfall intensity. For the compacted earth and grassland, the ultimate infiltration rate was estimated to be about 13% to 67%. The permeable paving material was conclud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one for the runoff-reducing infiltration facilities because it has more favorable advantages than others in the light of infiltration volume, disaster prevention, and river training.

  • PDF

Analysis of the Contribution of Baseflow to Streamflow on the Irregular Cross-section of Rivers (불규칙한 형상의 하천단면에서 기저유출수의 기여도 분석)

  • Kim, Tae 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1-71
    • /
    • 2016
  • 하천 공학에 있어서 제방 월류에 대한 분석과 예측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도 치수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 복단면 수로의 단면을 세분하여 유량과 수위의 관계를 분석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Lateral Distribution Method라 불리는 수치기법을 이용하여 주수로와 홍수터 사이에서의 난류특성이나 운동량 교환 등을 분석하기도 한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제방을 넘어 월류한 경우의 흐름 특성에만 치중하고 있으며, 주수로 내에서의 흐름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진하다. 하천은 표면 유출수와 지하로부터 제공되는 기저유출수로 구성되며, 주변 수리 수문 조건에 따라 그리고 물수지 변화에 따라 유출수와 기저유출수가 하천에 기여하는 바는 변화된다. 기저유출은 지표수의 양과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저유출 특성은 수자원 관리를 위한 저수량(low-flow) 특성 평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저유출수 분리기법을 적용하여 단면관측 유량곡선으로부터 기저유출량을 산정하고, 또한 해당단면에 LDM기법을 적용하여 복잡한 형상을 이루고 있는 자연하천의 횡단면에서의 수위-유량 곡선을 실제 측정치와 비교하여, 기저유출이 하천에 미치는 영향과 정량적인 양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 The Cases of Baebongsan Park and Ogeum Park in Seoul - (산지형 도시근린공원의 배수시설 특성 - 서울시 배봉산공원과 오금공원을 사례로 -)

  • Lee, Sang-S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5
    • /
    • pp.80-9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bborhood parks--Baebongsan Park and Ogeum Park--in Seoul. Based on an analysis of existing drainage facilities, the volume of storm water runoff (VSW), the runoff rate of open channels(ROC), and the detention capacity of open charmels(DCOC) by each drainage watershed, the coefficient of runoff rate(CROC) as evaluated to be relevant between VSW and ROC and the coefficient of the detention capacity of open channe1s(CDCOC) as evaluated with DCOC compared to VSW were estimated and analyzed by parks and by watershe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otal drainage area of Baebongsan Park was 34.13ha including surface runoff area(15.05ha; 44.09%), open channel area(l4.60ha; 42.78%), and natural waterway area(4.48ha; 13.13%). The total drainage area of Ogeum Park was 20.39ha including open channel area (10.14ha; 49.73%), ridge-side gutter area(7.17ha; 35.16%), surface runoff area (2.52ha; 12.36%), and natural waterway area (0.56ha; 2.75%). In Baebongsan Park, the portion of surface runoff was comparatively higher while the portion of artificial drainage area was higber in Ogeum Park. 2. In Baebongsan Park drainage districts were largely divided: VSW was $7.28m^3/s$ in total(average $0.23m^3/s$). Comparatively, tbe VSW in Ogeum Park, including smaller drainage districts, was $4.37m^3/s$ in total(average $0.12m^3/s$). 3. The ROC of Baebmgsan Park was $11.58m^3/s$ in total(average $0.77m^3/s$) and the CROC was 5.26, while in Ogeum Park, the ROC was $15.40m^3/s$(average $0.34m^3/s$) and tbe CROC was 8.87 higher than that of Baebongsan Because the size and slope of the open channel in Baebongsan Park was higher, the average ROC was larger, while tbe CROC of Ogeum Park was higher than that of Baebongsan Park, for the VSW in Ogeum Park was comparatively lower. 4. The DCOC in Baebongsan Park was $554.54m^3$ and the average of CDCOC was 179.83. That of Ogeum Park was $717.74m^3$ and the average of the CDCOC was 339.69, meaning that the DCOC of Ogeum Park was so much higber that drainage facilities in Ogeum Park were built intensively. This study was focused m the capacity of the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by using the CROC to evaluate relevance between VSW and ROC and the CDCOC to evaluate the DCOC as compared with VSW. The devised methodology and coefficient for evaluating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may he universally applicable through additional study. Further study m sustainable urban drainage systems for retaining rainwater in a reservoir and for enhancing ecological value is required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