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면마찰계수

Search Result 295,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Friction and Wear of Foam Rubbers (발포고무의 마찰 및 마모특성에 관한연구)

  • 범석훈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7 no.1
    • /
    • pp.50-59
    • /
    • 1995
  • 겨울용 타이어인 '발포고무 타이어'의 트레드에 적용되는 발포고무의 물성과 마찰 및 마모특성을 조사하였다. 천연고무인 SMR-CV60과 합성고무인 BR-01(Cis-1, 4 Polybutadiene)을 70:30 비율로 혼합하였고 발포제로는 개질화된 azodicarbonamide (상품 명:UNICELL AD#2)을 변량 첨가하여 다양한 발포도의 발포고무를 준비하였다. 발포도의 증 가로 발포고무의 Young's modulus와 파괴에너지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나 Tan $\delta$ 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매끄러운 유리표면위에서 높은 마찰계수를 보인 발포고무는 발포 도의 증가로 크게 감소하였고 거친 표면일수록 마찰계수는 상승하였다. 이같은 마찰계수의 증감경향이 교차되는 발포도는 30~40%이었다. $0^{\circ}C$에서의 마찰계수도 유리 표면에서감소하 고 거친표면에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증감경향이 교차하는 발포도는 20%로 낮아졌 다. 마찰표면을 마그네시아 분말로 처리하면 전반적으로 마찰계수는 감소하였고 발포도의 크기에 관계없이 마찰표면이 거칠수록 큰 마찰계수를 나타내었다. 발포고무의 발포도가 커 지면 마모손실량도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발포도가 낮은 고무에서는 비교적 규칙적인 융기 간격이 보였으나 발포도가 30%이상으로 되면 불규칙적인 마모표면과 더불어 많은 마모 부 스러기가 관찰되었다.

  • PDF

Friction Behavior of Resin-bonded Carbon by Acid Treatment (산처리에 의해 수지결합질 탄소재의 마찰거동)

  • 김경자;조광연;박윤창;임연수;정윤중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6
    • /
    • pp.509-514
    • /
    • 2001
  • 흑연과 수지의 결합력 증진을 위해 산세척을 통해 표면에 활성을 도입하였다. 흑연표면의 FTIR 관찰결과, 초산의 농도에 비례하여 탄소표면에 -O-C=O와 -OH 흡수 띠의 강도가 증가되었다. 시편의 마찰계수는 높은 밀도와 경도 및 강도를 나타내는 조성의 시편에서 낮고 안정된 마찰계수를 보였다. 거리에 따른 마찰계수를 측정한 결과, 흑연블럭은 마찰초기에 낮은 마찰계수 값을 가지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안정되지 못한 마모가동을 나타내었다. 반면 수지결합질 탄소재는 마찰초기에는 높은 마찰계수를 나타내었지만 마모가 진행되면서 윤활층 형성으로 인해 안정된 마찰거동을 나타내었다.

  • PDF

The Effect of Surface Friction-Factor Characteristics on the Rotordynamics of Seal (표면마찰 특성이 씨일의 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 하태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10a
    • /
    • pp.312-317
    • /
    • 1995
  • 씨일의 표면마찰계수 특성이 씨일의 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씨일내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서 마찰계수가 급상승하는 허니콤 씨일을 대상으로 이론적 해석을 하였다. 그 결과 마찰계수의 급상승 현상은 마찰계수의 급상승 현상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강성계수의 감소를 야기하고 회전축-베어링계의 불안정성과 관계가 있는 연성 강성계수의 큰 감소를 보였다. 또한 회전축-베어링계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감쇠 계수의 증가를 야기함으로써 회전기계의 운전점이 마찰계수의 급상승 범위에 있다면 시스템의 안정성면에서 매우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찰계수의 급상승 현상을 보이는 허니콤 씨일의 동특성에 대한 이론적 해석 결과, 강성계수는 매우 작게 예측되었으나 연성강성계수와 감쇠계수는 비교적 실험결과와 근사함을 보였다.

  • PDF

저마찰 표면 텍스쳐링 기술의 연구개발 동향

  • Jo, Mi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124-124
    • /
    • 2012
  • 접촉운동기구 계면에서의 마찰력은 요소 혹은 시스템의 효율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으며 이로 해 마찰계수를 낮추기 위한 저마찰 표면처리는 Tribology 연구에 있어 기초적이면서도 동시에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오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습동기구 표면이 경화 처리되어 마모에 강한 특성을 보이나 이는 마찰계수가 일정 이하로 낮게 유지될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으로 마찰계수의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과거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 표면에 가공된 사선 형태의 패턴들이 저마찰 기능을 하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며 최근에는 이러한 패턴 혹은 형상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저마찰 기능과 성능을 더욱 높이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미세한 패턴은 다양한 가공기술의 발전에 의해 가능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마찰계수는 패턴의 형상과 분포 등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표면 텍스쳐링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동향과 미래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The Effects of Eiastomer Layer on Minimum Friction Coefficient (최소마찰계수에 대한 Elastomer층의 영향)

  • Cho, Kyu-Sik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12 no.3
    • /
    • pp.26-32
    • /
    • 1996
  • 오랜 역사에 걸쳐 연구자들은, 마찰력은 주로 접착에 의한 것으로 믿어 왔으며, 이러한 주장은 실험적으로 증명되지 못했다. 한편, 미끄럼 두 표면 사이의 건식 마찰력은 두 표면 사이의 기계적인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두 표면 사이의 기계적 상호작용을 제거함으로써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매끄러운 경한 표면에 얇은 elastomer층을 입힌 비윤활 최소 마찰계수에 대한 본 실험결과는 앞으로 정밀기계부품의 충격을 받는 부위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Variation of Friction Coefficient of Airport Runway Surface by Rubber Deposits (고무 퇴적물에 의한 공항 활주로 표면 마찰계수 변화)

  • Cheon, Sung-Han;Lim, Jin-Sun;Park, Joo-Young;Jeong, Jin-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2 no.3
    • /
    • pp.131-137
    • /
    • 2010
  • In this paper, overseas criteria and research results were reviewed to develop a rational criterion proper to domestic airport runways on measurement of friction coefficient and removal of rubber deposit. The friction coefficients of the runways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ere measured by the ASFT(Airport Surface Friction Tester) from August 2007 to July 2009 and the data at intensively landed points were analyzed. Variation of the friction coefficient due to accumulation and removal of tire rubber was analyzed and seasonal influence on the variation were investigated by pavement types. The friction coefficient steadily decreased over a long term despite periodical removal of the rubber deposits. The variation of the friction coefficient in summer was larger than other seasons and asphalt pavement was more sensitive to the seasonal influence than concrete pavement.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asphalt pavement with macro texture was even larger than that of early age concrete pavement with micro texture. The variation of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asphalt pavement due to the deposit and removal of the tire rubber was also larger than that of the concrete pavement.

The lifespan improvement of printed electronics roll by hardened Si-DLC coating materials (인쇄전자 롤 수명 향상을 위한 고경도 Si-DLC 코팅 기술)

  • Sin, Ui-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05a
    • /
    • pp.28-28
    • /
    • 2015
  • 현재 인쇄전자 소자 생산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그라비아 롤러는 미세 패턴의 보호와 인쇄 중 마찰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질 크롬 도금 막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경질 크롬 도금 막의 경우 구현할 수 있는 경도(~1000 HV)와 이형성, 내마찰(마찰계수: ~ 0.6) 특성 등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경질 크롬 도금이 적용된 그라비아 롤은 그 수명과 내구성, 구현할 수 있는 인쇄 품질 및 신뢰성 그리고 인쇄처리 속도 등에 있어 여러 문제가 있다. DLC(Diamond Like amorphous Carbon)는 낮은 마찰계수 값인 0.2 이하와 뛰어난 내마모성, 상대재료에 대한 이형성 등을 겸비한 표면강화 기술로 경질 크롬 도금막 대비 우수한 표면 경도(>1,800 HV) 특성을 갖으며, 합성된 DLC 코팅 막의 경우 정밀 인쇄 제판이 요구하는 표면거칠기를 구현할 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실리콘이 첨가 된 Si-DLC의 경우 표면의 마찰계수를 0.1 이하까지 낮출 수 있는데 닥터블레이드 및 잉크, 인쇄 기재와의 마찰 훼손을 최소화시켜 그라비아 인쇄 롤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ECVD 공정을 이용하여 합성한 Si-DLC는 표면거칠기를 10nm 이하의 경면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높은 접촉각에 의한 우수한 이형성을 통해 미세 패턴 내부에 전자잉크/페이스트가 잔류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는 기존 경질 크롬 도금이 적용된 그라비아 롤에서 발생하는 패턴 내 잉크 잔류-고형화와 그에 의한 사용수명 단축현상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다.

  • PDF

Synthesis and evaluation of DLC thin film with low friction coefficient prepared b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PCVD) (PCVD법에 의한 저마찰 DLC 코팅막 제조 및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 Lee, Gyeong-Hwang;Park, Jong-Won;Jeong, Jae-In;Yang, Ji-Hun;Park, Yeong-Hui;Heo, Gyu-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10a
    • /
    • pp.177-178
    • /
    • 2009
  • DLC (Diamond-like Carbon) 코팅막은 저마찰, 고경도, 낮은 표면조도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갖는 박막 물질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그 코팅막의 활용을 목적으로 응용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CVD) 공정을 이용하여 바이어스, 진공도, 공정 온도 등의 코팅 조건 변수를 이용하여 DLC 코팅막을 제작하였다. 또한, 코팅막은 공정 조건에 따라 증착속도, 표면 및 단면 조직, 밀착력, 경도, 마찰계수 등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DLC 코팅막 제조는 상온과 $175^{\circ}C$에서 이루어졌으며, 저온 중 DLC 코팅막 제조가 가능해짐에 따라 고분자 와 같은 저융점을 갖는 피처리물의 코팅처리가 가능하여 산업적 응용의 확대가 기대된다. SEM 표면 조직 관찰에 따른 DLC 코팅막의 표면조직과 조도는 공정조건에 따라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밀착력에 있어서는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스크래치 시험 결과 가장 높은 밀착력은 100 N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이 때의 마찰계수는 약 0.02를 나타내었다. 가장 낮은 마찰계수는 약 0.01을 보였으며, 이때의 밀착력은 25 N을 나타내었다. 증착속도는 바이어스 전압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온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the Weaving Tension Characteristics on the Surface Properties of PET Fabrics for the Sensitive Garment (I) (직기장력특성이 감성 의류용 PET 직물의 표면특성에 미치는 영향 (I))

  • Kim Seung-Jin;Kang Ji-Ma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7 no.4
    • /
    • pp.25-33
    • /
    • 2004
  • This study surveys the fabric surface properties such as mean value of the friction coefficient(MIU), mean deviation of the friction coefficient(MMD) and mean deviation of surface roughness(SMD) due to warp and weft tension differences using KES-FB system. For this purpose, fabric is designed as 5 harness Satin weave using 75d/36f warp and 100d/192f weft polyester filaments, and is woven by OmegaR rapier loom by Textec Co.Ltd and Picanol-GTXR rapier loom by Picanol Co.Ltd respectively. These grey fabrics are processed on the same dyeing and finishing processes. The fabric surfac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weaving looms are analysed with warp and weft weaving tensions. And also surveyed the difference of fabric surfac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fabric positions such as center and each edge of fabrics for the sensitive garment.

  • PDF

Surface Friction Learning for Virtual Objects Using Neural Networks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가상물체의 표면 마찰력 학습)

  • Kang, Ji-Min;Jang, Tae-Je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753-759
    • /
    • 2006
  • 햅틱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하면 가상물체의 형태를 만져보고 느껴볼 수 있다. 물체마다 다른 수학적 마찰력 모델을 적용하여 실감있는 마찰력 표현도 가능하다. 그러나 각 물체에 해당하는 마찰력 모델을 선정하는 것과 적절한 마찰계수 등을 반복적 실험을 통하여 알아내는 것은 쉽지 않다. 실제 물체의 마찰력이 알려진 마찰력 모델과 다르다면 수학적 모델로 표현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회로망 학습을 이용하여 마찰력 모델의 선택이나 마찰계수 등을 정하는 과정 없이 실제 물체의 마찰력을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용 햅틱인터페이스 장치인 PHANToM 2 대를 이용하여 마찰력 획득 시스템을 구성하고 고무판, 종이 등의 물체 표면에서의 속도와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획득하여 가공한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으로 갖는 신경회로망을 통해 학습시킨 후 OpenGL로 구현한 가상물체에 적용하여 보았다. Force/Torque 센서를 사용하지 못한 일부 문제가 있었으나 예상보다 사실적인 마찰력을 표현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