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면건조

Search Result 73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urface control and durability evaluation of CNT and ITO coated PET transparent electrode with different dry conditions (건조 상태에 따른 CNT 및 ITO로 코팅된 PET 투명전극의 표면 조절 및 내구성 평가)

  • Kwon, Dong-Jun;Wang, Zuo-Jia;Gu, Ga-Young;Park, Joung-Man
    • Composites Research
    • /
    • v.24 no.5
    • /
    • pp.17-22
    • /
    • 2011
  • Recently transparent electrodes using carbon nanotube (CNT) have been studied actively to replace conventional ITO. In this work, CNT or ITO co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were prepared by controlling the surfaces since the cohesion degree depends upon drying conditions. As transparent electrode application, 3 drying temperatures were set as 20, 80, and $120^{\circ}C$ to produce the change of surface properties. Interfacial durability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repared transparent electrodes were evaluated by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 Surface change with changing drying temperature was observed by FE-SEM, whereas the transparency change was measured by UV-spectroscopy. The electronic properties of nanoparticle coated surface were evaluated using cyclic voltametry method upon the surface change with controlled drying temperature. Durability of CNT coated surfaces was better than ITO coated ease. As drying temperature increased, better coated surface was prepared due to improved cohesion among nanoparticles, which resulted in increased electrical properties.

Effects of NIR Conditions for Film Drying (도막건조시 NIR 건조조건에 따른 영향 검토)

  • Park, Chan-Seop;Han, Sang-Gwon;Jo, Ra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5a
    • /
    • pp.95-95
    • /
    • 2011
  • 도막의 건조는 용액의 조건, 설비특성, 제품의 요구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열풍에 의한 건조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나 Induction Heater, UV, EB 및 NIR방식 등 다양한 건조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는 건조방법중 NIR에 의한 건조방식을 이용하여 품질특성에 미치는 인자를 검토하였다.

  • PDF

Design of a Monitoring Control System for Microwave Dryer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용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설계)

  • Noh, Jin-ho;Park, Jae-hyeon;Choo, 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876-877
    • /
    • 2013
  • 기존 식품건조 공정방법인 냉동보관, 자연건조에 의한 건조방식은 상품의 품질을 저하시켜 경쟁력이 낮고, 열풍건조 등 자동화된 건조공정의 경우에도 열에 의한 건조대상물의 탈색 및 변형 등의 특성변화로 인하여 고부가가치 상품의 제조하기 어려움의 한계로 인한 보관 및 상품성 저하 문제점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술 도입을 통한 건조방식 개선이 필요하다.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술은 표면 가열방식의 기존 건조방식에 비해 가열대상 물질의 표면 손상이 적고 전력효율이 우수하다는 특징으로 인하여 건조분야에서 점차 해당 건조기술이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에서 공정관리 요소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숙련자의 작업공정 환경을 습득하여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자동화된 작업공정을 제공하기 위한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Far Infrared Heater for Grain Drying (곡물 건조용 원적외선 방사체의 특성)

  • 이호필;김유호;한충수;연광석;조성찬;이재석;조영길;최태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349-354
    • /
    • 2002
  • 쌀 소비량은 생활 수준 향상과 외식 및 식품 산업의 발달로 감소하고, 고품질 쌀을 요구하는 성향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고품질 쌀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과 제반 요건은 구비되어 있으나, 수확 후 건조·저장 중에 쌀의 품질이 저하된다. 특히 건조 중 품질 저하는 고온건조에 의한 동할 발생 및 과건조가 주요 원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원적외선 건조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율이 높고, 접착성 및 내열성 등이 강한 곡물 건조기용 방사체 코팅원료를 개발하고, 이 원료를 원적외선 방사체에 코팅한 후 방사체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표면 온도 분포 및 연료 소비량 등을 측정 분석하여 방사체의 특성과 적정 조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세라믹 코팅 원료의 배합비는 세라믹분말 40%와 결합재 60%가 접착력과 가열경화 후 표면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노즐의 유량 및 분무각에 따른 버너의 화염길이 및 폭은 노즐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방사체 위치별 표면온도편차는 방사체 길이가 1350mm인 것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 열풍유동관 직경이 Rounding type의 경우 76.3mm, Right angle type의 경우 89.1mm일 때 표면 온도편차가 적었다. (4) 연료소비량은 열 풍유동관 직경이 클수록, 방사체 길이가 길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Right angle type이 Rounding type에 비하여 연료소비량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온압착 건조 처리시 표면처리를 통한 고강도 라이너지 개발

  • 최병수;윤혜정;류정용;신종호;송봉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0.11a
    • /
    • pp.63-63
    • /
    • 2000
  • 저급의 고지 원료를 두께 방향으로 고온 압착을 가하여 건조함으로써 전반적인 종이 물성 을 향상시키는 콘디벨트 건조 방식은 70년대 중반부터 80년대에 이르는 10여년에 걸친 개발 과정을 거쳤으며 90년대에 들어서 핀랜드의 Inkeroinen에 위치한 V alemt- Tarnpella의 연구 소에 최초의 파일로트 설비가 설치되었으며 그 후 1996년에는 핀랜드 ENSO사의 P Pank밟oski 판지공장에 설치됨으로써 세계 최초의 상업생산설비를 이루게 되었다. 기존의 실린더 건조 기술과 비교할 때 콘디벨트 건조방식은 건조속도를 약 5-15배 향상시킬 수 있 으며, 건조 에너지 절감에 큰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실린더 건조시 종이가 폭방 향으로 수축되 어 인장 stiffness와 압축 강도 동의 종이 물성 이 저 하되 는 반면 습윤상태 의 섬유를 120도씨이상에서 가열에 의해 리그닌을 연화시킴과 동시에 섬유의 유연성을 증가시켜 준다. 그리고 높은 압력을 가해줌으로써 섬유간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키고 건조시 종이의 폭방향의 수축을 감소시켜 인장강도, 내부결합강도, 밀도, 표면평활성, 투기저항성 등 종이의 물성을 대폭 향상시켜주는 혁신적인 제지기술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현재 1998년 부터 상업생산을 이루어짐으로써 그 공헌도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골판지의 주원료가 되는 국산 골판지 고지 (Korean old corrugated container, K KOCC)의 거듭된 재생처리로 인하여 미세분의 함량이 전체 지료의 절반 이상에 달할 뿐만 아니라, 섬유가 각질화와 단섬유화로 인하여 고온압착 건조처리 만으로는 골판지 고지로 생 산된 원지의 강도를 버진펄프로 생산된 원지가 가지는 강도에 준하는 강도로 향상시키는데 한계점을 가지게 된다. 유럽의 제지선진국들은 골판지 원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편으로 표변에 전분 사이즈 프레스 처리를 도입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고온 압착 건조 처리 설비를 활용한 전분 표면처리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골판지 원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처리조건을 탐색하였다.

  • PDF

Plastic and Drying Shrinkage Cracking Reduction by the Bubble Sheet Curing (버블시트 피복양생법에 의한 소성 및 건조수축 균열저감)

  • Lee, Joung-Gyo;Han, Cheon-G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6 no.3
    • /
    • pp.211-217
    • /
    • 2016
  • In this research, the performance of surface covering technique using a white-colored bubble sheet on reducing the cracking due to the plastic, and drying shrinkages for high rise building construction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exposed surface without any surface treatment.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conducted during fall season, desired results of decreased numbers, length, maximum width, and area of cracking were obtained without a significant difference on heat of hydration and cumulative temperatur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surface covering technique using bubble sheet is an appropriate method for preventing plastic and drying shrinkage cracking at fall season concrete construction.

동결건조를 이용한 그래핀 에어로겔의 기공제어 및 약물방출

  • Yun, Min-Gyu;Im, Ha-Na;Kim, Hyeon-Jong;Park, Yeong-Min;Bae, Yu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93.1-93.1
    • /
    • 2018
  • 그래핀 에어로겔은 우수한 전기 열 전도도, 기계적 특성, 넓은 표면적으로 베터리, 약물방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그래핀 에어로겔은 친수성, 생체안전성, 삼차원구조의 특성으로 우수한 약물방출형 임플란트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핀 산화물의 수열처리를 통해 그래핀 하이드로겔 형성 후, 저온건조와 동결건조를 이용하여 그래핀 에어로겔을 제조하였다. 그래핀 산화물과 그래핀 에어로겔의 특징들을 XRD, SEM, XPS, Raman등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래핀 에어로겔에서 건조방법과 건조시간에 따른 기계적 강도, 기공구조의 제어가능성을 BET, SEM등의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기공구조 제어를 통해 약물방출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인체 삽입형 임플란트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stimations of Moisture Profiles During Wood Drying Using an Unsteady-State Diffusion Model (II) - Experimental Verification for Red Oak - (비정상(非正常) 상태(狀態)의 확산(擴散)모델을 이용한 수분(水分) 경사(傾斜)의 예측(豫測) (II) - 실험적(實驗的) 검증(檢證) -)

  • Park, Jung-Hwan;Smith, William B.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4 no.3
    • /
    • pp.37-44
    • /
    • 1996
  • 포수상태(包水狀態)의 루부라참나무(Quercus rubra) 시험편을 3가지 등온조건(等溫條件)에서 건조한 결과를 비정상상태(非正常狀態)의 확산(擴散)모델로 추정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표면이 충분히 젖은 상태인 건조초기에는 불안정(不安定)한 확산현상(擴散現象)이 관찰되었으나, 함수율(含水率)별 건조속도의 변이를 Fick's의 확산법칙과 비교할 때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실험에서 얻은 건조조건별 건조곡선은 확산모델의 수치해석(數値解析)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같은 평위함수율(平衛含水率) 조건에서 건조온도의 증가는 목재표면 보다 내부의 함수율 변화에 더 크게 영향하여 결과적으로 낮은 온도에서의 건조조건이 목재 내의 수분경사(水分傾斜)를 급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목재 건조 중의 내부에 발생하는 수분경사를 추정하는데 비정상상태의 확산모델이 모든 함수율 범위에 걸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

The Effect of the Hydrophobicity of Silicon Surface on the Formation of the Water Marks during HF-last Wet Chemical Processing (반도체 습식 HF 최종 공정 중 실리콘 표면의 소수성이 Water Mark형성에 미치는 영향)

  • Han, Jeong-Hun;Kim, Sung-Hwan;Park, Jin-Gu;Park, Jong-Ji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10
    • /
    • pp.832-837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소자의 수율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반도체 습식 세정 시 건조 후 웨이퍼 표면에 형성된 water mark의생성 원인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초순수수의 물방울을 다른 접촉각의 시편 위에 고의로 잔류시킨 후 질소 및 산소 분위기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분위기와 상관없이 HF 처리된 소수성의시편 뿐만 아니라 친수성의 시편에서도 water mark이 관찰되었다. 생성된 water mark의 크기는 분위기에 무관하게 접촉각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러나 산소 분위기에서 HF처리된 시편은 건조 후 질소 분위기에서 생성된 water mark의 크기보다 2배이상 크게 형성되었다. 이들 산소 및 질소 분위기에서 HF 처리된 실리콘 시편 위에 생성된 water mark의 성분을 AES(Auger Electron Spectroscopy)로 분석한 결과 water mark는 실리콘과 산소의 화합물 형태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AAS(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분석 결과 건조 분위기에 상관 없이 HF처리된 실리콘 시편 위에 물방울을 30분 잔류시 물방울 내의 실리콘 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물방울내 ozone을 첨가하여 실리콘 표면을 산화 시켰을 때 물방울과 표면의 접촉각 감소와 water mark의크기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urface detection model for dried semi-finished product of Kimbukak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 기반 김부각 건조 반제품 표면 검출 모델 개발)

  • Tae Hyong Kim;Ki Hyun Kwon;Ah-Na Kim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7 no.4
    • /
    • pp.205-212
    • /
    • 2024
  • This study developed a deep learning model that distinguishes the front (with garnish) and the back (without garnish) surface of the dried semi-finished product (dried bukak) for screening operation before transfter the dried bukak to oil heater using robot's vacuum gripper. For deep learning model training and verification, RGB images for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400 dry bukak that treated by data preproccessing were obtained. YOLO-v5 was used as a base structure of deep learning model. The area, surface information labeling, and data augmentation techniques were applied from the acquired image. Parameters including mAP, mIoU, accumulation, recall, decision, and F1-score were sele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YOLO-v5 deep learning model-based surface detection model. The mAP and mIoU on the front surface were 0.98 and 0.96, respectively, and on the back surface, they were 1.00 and 0.9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binary classification for the two front and back classes were average 98.5%, recall 98.3%, decision 98.6%, and F1-score 98.4%. As a result, the developed model can classify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dried bukak using RGB images, and it can be used to develop a robot-automated system for the surface detection process of the dried bukak before deep fry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