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폼롤러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8초

필라테스 동작시 폼롤러의 적용과 움직임에 따른 몸통근과 하지근의 근전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am Roller Application and Movement on EMG responses of Trunk and Lower Limb muscles in Pilates)

  • 정서현;조상우;정상훈;김기홍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905-913
    • /
    • 2018
  • 본 연구는 필라테스 동작 시 폼롤러의 적용과 움직임에 따른 몸통과 하지의 근활성도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피험자로 남자 8명을 선정하여 필라테스 네발자세, 교각자세, 코어컨트롤 동작을 매트위에서 정적동작, 폼롤러 위에서 정적동작, 폼롤러 위에서 동적동작으로 무선배정하여 1주 간격으로 수행하였다. 각 동작의 수행 시 척추세움근,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중간볼기근, 넙다리두갈래근과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alpha}=.05$로 설정하였다. 첫째, 네발기기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동작에서는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중간볼기근,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p<.05), 폼롤러 정적동작에서는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둘째, 교각자세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동작에서는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셋째, 코어컨트롤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 동작에서는 배곧은근, 척추세움근, 중간볼기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p<.01), 정적 동작에서는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5). 필라테스 운동시 근활성도를 고려하여 방법과 난이도를 적용하면 더욱더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모바일 기기의 보안 키패드 연구 (Research on Secure Keypads for Mobile Devices with Stretchable Displays)

  • 최동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885-890
    • /
    • 2024
  • 본 연구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된 모바일 기기의 화면 변화에 대응 가능한 보안 키패드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는 현재의 리지드 폼 팩터 기반 스마트폰에 적용된 인증기법들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기술의 전 단계에 해당하는 롤러블 및 벤더블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폰에 적용된 인증기법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모바일 응용제품 규격인 스마트 월렛, 멀티태스킹, 스크린 확장 및 미디어 시청,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용 폼팩터 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 문제와 보안 안전성 문제를 도출하였고 이에 대응하는 보안 키패드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보안 키패드 구조는 기존의 리지드 디스플레이 기반 폼 팩터 및 롤러블, 벤더블 디스플레이 기반 폼 팩터의 스마트폰 환경에 적용된 구조에 비해 더욱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 및 보안 안전성을 제공한다.

모션 콘트롤러 매핑을 이용해 캐릭터 양팔 제어를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액션 게임 개발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action game using motion controller mapping for controlling arms of a character)

  • 윤태진;신재욱;박준우;고병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439-44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1인칭 시점 VR 게임 콘텐츠를 개발하였고, 멀티플레이를 구현할 때, 가상현실 세계에서 플레이어들끼리 대면했을 때 서로의 캐릭터가 폰 콘트롤러라는 이름의 팔만 보이는 외형을 띠고 있다. 게임에서 시각적인 부분을 간과할 수 없기에 멀티플레이 시 서로의 캐릭터가 보일 수 있도록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3인칭 캐릭터를 이용해서 만든 캐릭터는 인간과 같은 외형의 스켈레톤을 사용하면 원하는 캐릭터를 사용할 수 있다. 3인칭 캐릭터의 양팔의 트랜스폼 값을 언리얼엔진4의 라이브러리인 패브릭 노드를 이용하여 모션 콘트롤러와 매핑을 시키는 방식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통해 좀더 플레이시 실감이 가능한 게임 제어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 PDF

자가근막이완 운동이 비만 여자대학생의 신체조성과 혈관 및 대사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lf-Myofascial Release on Body Composition, Vascular and Metabolic Functions in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 이재훈;김지선;오유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769-777
    • /
    • 2020
  • 본 연구는 비만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8주간의 자가근막이완 운동이 신체조성, 혈관, 대사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만 여자대학생 19명을 대상으로 포기자 1명을 제외하고 자가근막이완 운동집단(n=9)과 통제집단(n=9)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운동집단은 폼롤러를 이용하여 8주간 주 2회, 1회에 40분간 자가근막이완 운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동일한 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측정 변인으로 신체조성은 체중과 체지방률을 측정하였고, 혈관기능은 혈압, 심박수, 맥파전파속도, 대동맥증폭지수, 상완동맥 혈관내피세포 의존성 이완능을 측정하였으며, 대사기능은 공복 혈당과 중성지방 수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근막이완 운동 후 체중과 체지방률은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근막이완 운동 후 심박수, 혈관내피세포의존성 이완능, 맥파전파속도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완동맥과 중심동맥 수축기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1), 대동맥 증폭지수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대사기능의 변인인 혈당과 중성지방은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만 여자대학생에게 8주간의 자가근막이완 운동은 신체조성 변인인 체중과 체지방률, 대사기능의 변인인 혈당과 중성지방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혈관기능의 변인인 상완동맥과 중심동맥 수축기 혈압, 대동맥 증폭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8주간의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근막이완 운동은 비만 여자대학생의 혈관기능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롤러블 및 벤더블 디스플레이 환경에 적합한 가변행렬 기반 보안 키패드 (An Adaptive matrix-based Secure Keypad designed for Rollable and Bendable Display Environments)

  • 최동민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2호
    • /
    • pp.63-71
    • /
    • 2024
  • 기존 스마트폰에서 사용된 PIN과 같은 인증기법은 디스플레이 구조의 변형 또는 화면 크기의 가변성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아 최근의 가변 디스플레이 기반 스마트폰에 적용될 경우 비밀정보 입력부의 축소나 확대로 발생 가능한 취약점과 같은 디스플레이 면적의 변형에 따른 사회공학 공격에 대한 취약점이 있다. 본 연구는 롤러블 및 벤더블 스마트폰과 같이 디스플레이 크기 변화에 대응하는 보안 키패드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우선 각 기존 인증기법에서 새로운 폼팩터에 적용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응하는 보안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제안하는 보안 키패드는 롤러블 및 벤더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라 입력에 적합한 간격과 크기로 키의 배열 및 배치가 변형 가능하므로 화면 크기가 작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키 입력 오류 문제를 고려하였다. 또한, 키 입력 좌표를 불규칙적으로 분산하여 사회공학 공격에 대한 입력 정보 유출 문제도 고려하였다. 제안 기법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어 기존 기법보다 더 나은 사용자 경험과 보안성을 제공한다.

안정된 면과 폼 롤러 위에서 한 발 들기 자세 시 초음파를 이용한 복근들의 두께 양상 비교 (Comparisons of Abdominal Muscles Thickness During Single Leg Holding Exercise on Stable Surface and on a Foam Roller Using Ultrasound Imaging)

  • 정도영;고은경;김수정;권오윤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15-42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hickness of the abdominal muscles during single leg holding exercise (SLH) in a hooked lying position on stable surface and on a foam roller. Healthy twenty subjects who had no medical history of lower extremity or lower back pai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Muscle thickness of transverse abdominis (TrA), internal oblique (IO), and external oblique (EO) was recorded using real-time ultrasonography during SLH. Paired t-test with Bonferroni adjustment was used to compare the muscles thickness during SLH on stable surface and on a foam roller. The result showed that TrA and IO muscle demonstrated greater thickness during SLH on foam roller than those on the stable surface. This finding suggests that SLH on an unstable foam roller is more effective to increase thicknesses of TrA and IO muscles than stable surface.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소도구와 발의 불안정성 차이에 따른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ody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Prop and Different Foot Stability during Pilates Bridge Motion)

  • 김유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720-72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소도구의 적용과 발의 불안정성 차이에 따른 신체근육의 근전도를 비교·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대 남성 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연령, 22.3±2.1세; 신장, 173.89±4.51cm; 체중, 72.61±4.13kg; 신체질량지수, 24.03±1.31kg/m2), 필라테스 브릿지는 소도구 적용(도구 없음, 링, 짐볼)과 발의 불안정성(기본 바닥, 폼롤러, 보수볼) 차이에 따른 9가지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표면전극 부착 부위는 신체 우측의 상복직근, 하복직근, 외복사근, 장내전근, 대퇴직근, 외측광근, 전경골근, 및 대퇴이두근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짐볼의 적용이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에 효과적인 소도구로 검증되었고, 보수볼의 적용이 신체근육의 근활성도에 가장 높은 발의 불안정성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짐볼과 보수볼의 적용이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신체 근력 강화를 위한 효율적인 필라테스 브릿지 운동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가 등 가동운동이 어깨 통증 및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lf Thoracic Mobilization Exercise on Shoulder Pain and Function)

  • 이은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96-403
    • /
    • 2020
  • 본 연구는 자가등 가동운동(STME, Self Thoracic Mobilization Exercise)이 어깨 기능장애 환자에게 어깨통증과 장애정도, 어깨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어깨 기능장애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STME와 대조군으로 할당하였으며, 시각 상사척도와 어깨기능장애, 어깨의 가동범위 평가를 중재 전-후 실시하였다. 16명의 STME 중재 그룹은 폼롤러를 활용하는 방법과 네발자세에서 이용하여 굽힘, 폄을 자가로 실시하였고, 16명의 대조군은 전기치료 패드를 이용한 플라세보 효과를 활용하였다. 두 집단은 20분 동안 주당 3회를 4주간 실시하였다. STME군이 대조군 보다 통증과 기능장애에서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p<0.05), 어깨의 가동범위는 STME을 이용한 그룹이 플라세보 그룹 보다 굽힘, 벌림, 가쪽 돌림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05), 하지만 폄과 안쪽돌림에는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못했다(p>0.05). 따라서 STME은 어깨통증과 기능장애 해결에 효과적이며, 향후 어깨 통증 환자에게 보다 쉬운 접근방법의 중재방법을 교육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사회적 치료비용 또한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폼-롤러를 이용한 가슴폄근의 선택적 강화 운동이 가슴폄근과 허리폄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ective Thoracic Extensor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a Foam-Roller on Thoracic and Lumbar Extensor Muscle Activity)

  • 김범준;원종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01-108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lective thoracic extensor strengthening exercises in the sitting position using a foam-roller by investigating the electromyographic(EMG) activities of the thoracic and lumbar extensors. Methods : Eighteen healthy subjects with no medical history of back pain were recruited. EMG activity was recorded from thoracic extensor(TE) and lumbar extensor(LE) while subjects performed three thoracic extension exercises: prone thoracic extension(PTE), prone thoracic extension with abdominal draw-in maneuver(PTE-ADIM), and sitting thoracic extension using a foam-roller(STE). TE and LE EMG activity, and TE/LE EMG activity ratio were analyzed by one-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ANOVA). W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identified, a Bonferroni correction was performed(p<.017, .05/3). Results : TE and LE EMG activity, and TE/LE EMG activity ratio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three exercises(p<.05). Post hoc pair-wise comparison with Bonferroni correction showed that TE muscle activity in the STE exerci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TE and PTE-ADIM exercises(p<.01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 muscle activity for PTE and PTE-ADIM exercises(p>.017). LE muscle activity and TE/LE ratio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exercises p<.017). Conclusion : TE/LE ratio showed superior selective thoracic extensor strengthening for the STE exercise than PTE and PTE-ADIM exercises. Therefore, we recommend STE exercise for selective thoracic extensor strengthening.

도수근막이완기법과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근막이완기법이 만성 긴장성 두통 환자의 통증문턱값 및 신체 도식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irison of Effect of Manual Myofascial Release and Self Myofascial Release Technique Using a Foam Roller on Pain Thresholds and Body Schema in Subjects with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 엄주리;김강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47-155
    • /
    • 2023
  • Purpose: Headache is a very common disease experienced at least once in daily life, and tension-type headaches have a high and increasing prevalence. Chronic headaches can cause functional damage and huge socioeconomic impact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myofascial release technique with manual therapy and self-myofascial release technique using a foam roller on the pain threshold and body schema in patients with chronic tension-type headache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0 patients living in Busan with chronic tension headaches. Myofascial release technique with manual therapy was performed on the suboccipital, sternocleidomastoid, scalene, and upper trapezius muscles. The self -myofascial release technique using a foam roller was applied to the cervical and thoracic muscles. A laterality test was performed using a recognized neck application developed to evaluate body schema ability. A pressure-pain threshold test was performed using an electronic pressure algometer to compare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myofascial release technique. Results: After applying myofascial release with manual therapy and a foam roller, the pressure-pain threshold value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both groups (p<.05). As a result of the laterality test, myofascial release with manual therapy and a foam roller were applied to the painful area. The value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both groups (p<.05), but only the group using the foam rolle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painless areas. Conclusion: The myofascial release technique with manual therapy can be the primary treatment technique for pain control in painful areas. The self-muscle release technique using a foam roller can be an effective method when there is no pain or when maintenance is needed after pain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