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폴리염화비페닐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45초

Gram-positive bacteria 에 의한 방향족 화합물의 분해

  • 송은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 심포지엄
    • /
    • pp.75-75
    • /
    • 2003
  • 방향족 화합물인 폴리염화비페닐(PCB)은 비페닐 기본골격의 10개소의 탄소에 1개에서부터 10개까지의 염소가 치환되어 있는 물질로써 그 독성과 잔류성으로 인해 중대한 환경오염물질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폴리염화비페닐에 의한 환경오염은 수질오염으로 이어지며, 식물연쇄에 의해 어류의 경우 그 농축계수가 10만 정도까지 이른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육상에서도 일어나며 생물농축과 식물연쇄에 의해 결국 식품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난분해성 오염물질의 정화에는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분해능력이 큰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1970년대 토양으로부터 비페닐을 분해ㆍ이용할 수 있는 비페닐 자화성균이 단리된 이후, 호기적으로 폴리염화비페닐을 분해하는 균을 중심으로 연구가 행해져 왔으며 방향족 화합물에 있어서의 대사 경로 등이 밝혀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염화비페닐을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는 분해균을 모델로 하여 다양한 환경하에서 폴리염화비페닐을 분해ㆍ대사 할 수 있는 미생물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클로로비페닐 분해능을 가진 Gram 양성균을 단리하는데 성공하였고, 이 균이 Bacillus속의 미생물인 것을 확인하였다.

  • PDF

Ceriporia sp. ZLY-2010에 의한 폴리염화비페닐류의 생분해 : 균체 외 효소활성 및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 영향 (Ceriporia sp. ZLY-2010 in Biodegrad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 Extracellular Enzymes Production and Effects of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

  • 홍창영;곽기섭;이수연;김선홍;정한섭;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6호
    • /
    • pp.469-48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Ceriporia sp. ZLY-2010을 이용하여 폴리염화비페닐류의 생분해와 효소 시스템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폴리염화비페닐 동족체 첨가에 따라 단백질 정량 및 manganese peroxidase (MnP)와 laccase의 활성을 비교하였으며,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의 저해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균체 내 효소가 폴리염화비페닐의 생분해에 끼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단백질 정량 및 균체 외 효소 활성을 측정해 본 결과, 대조구에 비해 폴리염화비페닐 동족체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단백질 농도 및 효소활성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단백질 농도의 경우, 2,2',4,4',5,5'-hexachlorobiphenyl을 첨가했을 때, 가장 높은 단백질 농도가 측정되었다. 하지만 MnP와 laccase 활성에서는 상대적으로 염소원자가 적게 치환된 2,3',4',5-tetrachlorobiphenyl을 첨가한 실험구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의 저해 정도를 평가한 결과, 2,3',4',5-tetrachlorobiphenyl을 첨가한 실험구의 경우, 배양 1일째, 저해제 1-aminobenzotriazole 0.1 mM에서 2.73%의 분해율을 나타냈으며, 저해제 첨가 시 생분해율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4,4',5,5'-hexachlorobiphenyl 역시, 저해제의 존재 하에 20% 내외의 분해율을 보였으며, 이는 대조구에 비해 약 40% 감소한 비율이다.

폴리염화비페닐류 함유 액상폐기물 시험방법별 분석결과 비교 (Comparison of three analytical methods for PCBs-containing liquid wastes)

  • 김교근;윤성규;배우근
    • 분석과학
    • /
    • 제23권3호
    • /
    • pp.278-28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폴리염화비페닐류 함유 액상폐기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L2000DX을 이용한 스크리닝, 신속 GC/ECD 및 기존 GC/ECD 분석방법을 절연유 15건에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L2000DX을 이용한 경우에는 4.4~182.8 mg/L의 농도 범위로 Aroclor 1242 환산농도가 검출된 반면, 기존 GC/ECD 및 신속 GC/ECD를 이용한 분석 결과 각각 불검출~14.63 mg/L 및 불검출~13.03 mg/L로 나타났다. GC/ECD 분석방법들 간에는 약 4 mg/L이하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국내의 규제농도인 2 mg/L부근의 검출농도에서는 일부 시료의 경우 기존 GC/ECD 분석결과(2.71 mg/L)에 비해 신속 GC/ECD 방법이 다소 낮은(2.49 mg/L) 측정치를 보여 국내 규제기준 2 mg/L부근에서 저평가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