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폴리머 필름

Search Result 32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Fabrication of nano texturing on the polymer surface for transmittance property (폴리머 기판상 나노 구조 형성을 통한 광특성 제어 연구)

  • Byeon, Eun-Yeon;Lee, Seung-Hun;Kim, Do-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87.2-87.2
    • /
    • 2017
  • 폴리머 필름에 표면처리 및 코팅, 필름의 다층화, 원료 소재의 하이브리드화 등을 통해서 기능성을 부여한 기능성 고분자 필름은 디스플레이, 반도체, 자동차, 에너지, 포장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기능성 고분자 필름의 산업화를 위해 대면적 연속 공정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roll to roll 시스템을 이용하여 폴리머 기판상 나노 구조 형성을 위한 공정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료연구소 자체 개발 선형이온소스는 0.25 keV에서 1 keV까지 에너지 조절이 용이하며, 이온빔 조사를 통해서 PET, PMMA, PDMS 등 다양한 폴리머 기판의 표면에 나노 구조화 공정을 개발하였다. 표면 나노 구조 형성을 통해서 폴리머 필름의 투과도와 Haze 제어가 가능하며, 공정 기술을 통해 저반사 및 고굴절 특성의 기능성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나노 구조화 필름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광추출효율 향상을 위한 광추출층, 저반사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 등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 PDF

Bon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of Polymer-Modified Mortar Using Styrene and Butyl Acrylate (St/BA를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강도 및 인장강도 특성)

  • You, Kipyo;Hyung, Wongil
    • Polymer(Korea)
    • /
    • v.38 no.6
    • /
    • pp.820-826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polymer film and the bon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of the polymer-modified mortar using styrene (St) and butyl acrylate (BA), and porosity. In the test results, the bon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of the polymer-modified mortar in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tensile strength of polymer film and the fine pore volume.

Moth-eye 패턴이 형성된 고 투과성 전도성 폴리머 필름 제작

  • Min, Byeong-Hak;Jo, Jung-Yeon;Lee, Seong-Hwan;Han, Gang-Su;Lee, -Heo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63.1-63.1
    • /
    • 2011
  • 현재 상용 중인 터치패널의 전도성 필름으로는 ITO가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기기의 수요 증가와 Indium의 고갈로 인한 ITO의 수요 공급 불균형으로 인한 원가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 때문에, Carbon nanotube (CNT), Graphene 등의 대체 투명 전도성 물질들이 연구 중에 있지만 투과율 및 저항 문제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투명 전도성 필름의 광 투과도 향상을 위하여, 자외선 경화 레진을 이용하여, 전도성 필름 상에 모스 아이 레진 패턴을 형성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는 Scanning Electro Microscope를 통하여 패턴의 형성 유무를 관찰하였고, UV-vis와 4-point probe를 이용하여 투과도 및 저항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모스아이패턴을 필름에 패터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투과도가 증가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투과도의 증가폭은 단면 패터닝보다는 양면 패터닝을 한 경우가 높았다. 그리고 저항 변화에 있어서는 패턴이 있는 부분의 경우 표면 잔여층으로 인하여 급격하게 증가하였지만, 전도면 반대편에 패터닝을 진행한 경우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를 통해 전도성 폴리머 필름 상부에 모스아이나노 구조물을 제작하였고, 이를 통해 기존의 전도성 폴리머 필름의 낮은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Surfac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Polymer Film by Ion Beam Irradiation (이온빔 조사에 의한 기능성 고분자 필름의 표면 특성)

  • Kim, Young Jun;Hong, Seong Min;Noh, Yong Oh
    • Polymer(Korea)
    • /
    • v.37 no.4
    • /
    • pp.431-436
    • /
    • 2013
  • Polycarbonate (PC) films have been irradiated with various kinds of ions according to energy and dose. Change of the optical transmittance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by UV-VIS and FTIR (ATR) spectroscopy respectively. These UV-A block in 400 nm was variable from 10 to 100% according to energy and doses.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of PC film irradiated by ion beam was $10^6-10^{13}{\Omega}/cm^2$, which reveal variation of conduction. Contact angle of film irradiated by ion beam was decreased than the pristine film. Polymer surface morphology was examined by means of atomic force microscopy (AFM). As expected, degradation of polymer film was higher after irradiation with heavier Xe ions but the roughness in the polymer surface morphology were more pronounced for Ar ions. This observed effect can be explained by stronger compaction of polymer surface layer in the case of Xe irradiation, connected with a reduction of free volume available.

Durability of Polymers for Cement Modifier in Autoclave Cure (오토클래이브양생에 의한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의 내구성)

  • Joo, Myung-Ki;Lee, Youn-Su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5 no.6
    • /
    • pp.888-89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durability of the polymer films formed in the autoclaved polymer-modified mortars and concretes. The polymer films prepared with polymer dispersions such as a styrene-butadiene rubber (SBR) latex, a poly (ethylene-vinyl acetate)(EVA) emulsion and a polyacrylic ester (PAE) emulsion for polymeric admixtures are exposed to autoclaving at 18$0^{\circ}C$ in temperature and 1.01 MPa in vapor pressure, and subjected to tensile test and infrared spectroscopy. The durability of the polymer films is evaluated from the application of autoclaving to the polymer films under saturated Ca(OH)$_2$ solution immersion causes no degradation for SBR films and a significant degradation due to the saponification of the polymers for EVA and PAE films. Accordingly, in the application of autoclaving to polymer-modified mortars and concretes, it is suggested that SBR-modified mortars and concretes are hardly degraded but EVA- and PAE-modified mortars and concretes are markedly degraded by the saponification of the polymers.

Photo-induced dichroism in DR1/PMMA polymer (DR1/PMMA 폴리머의 광유도이색성)

  • ;Mark G. Kuzyk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172-173
    • /
    • 2003
  • 아조색소를 함유하는 폴리머필름은 Photonics분야에서 그 응용가능성 때문에 집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부피폴리머필름에서의 아조벤젠유도체의 trans-cis isomerization은 편광홀로그램, optical channel waveguide, reversable optical memory에서 이용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DRl/PMMA의 비공명영역에서 부피홀로그램에서 고회절효율과 Degenerate Four Wave Mixing에서 높은 반사율을 얻어내는 보고가 있었다. (중략)

  • PDF

The electro-optic properites measurement of the side-chain polymer flim (측쇄결합 폴리머 필름의 전기광학 특성 측정)

  • 김광택;이소영;이남권;송재원;박이순;금창대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9 no.4
    • /
    • pp.215-220
    • /
    • 1998
  • We proposed an in situ measurement set-up and technique to measure the various electro-optic(E-O) properties of the E-O polymer. Using the proposed measurement set-up, the electro-optic effect and birefringence of unpoled side-chain E-O polymer induced by the strong dc and ac electric field were observed. The dependence of the E-O coefficients on the various poling conditions were measured with real time. To evaluat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poled polymer the relaxation of the E-O effect was measured and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well known polymer materials. The proposed measurement reduces the number of experimental steps and saves measurement time.

  • PDF

In-situ EQCM Study on Growth of Polypyrrole Films Using Gold Electrodes Modified with Self-Assembled Monolayers in an Aqueous Solution (자기 집합 단분자막 개질 금 전극을 이용한 수용액 중 폴리피를 성장에 관한 In-situ EQCM 연구)

  • Seo, Kyoung--Ja;Jeon, Il-Cheol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5 no.3
    • /
    • pp.143-152
    • /
    • 2002
  • The growth of Polypyrrole film has been investigated during electropolymerization in an aqueous solution on bare and SAM modified gold electrodes by in-situ EQCM and ex-situ AFM. According to the result of cyclic voltammetry measurements, in the case of a bare gold electrode, the electrochemical deposition of polypyrrole were dependent on the limiting oxidative potential, but not on scan numbers. When the limiting potential higher than 0.8 V was applied on the electrode, the amount of polypyrrole deposited on a gold electrode was rapidly increased and the abnormal mass change attributed to the rearrangement of polypyrrole films was observed as the scan number increased. The polypyrrole film Prepared on electrodes modified with 1-dodecanethiol SAM or thiophene SAM grew 3-dimensionally with the rearrangement of film. However, in the case of BPUS SAM, 2-dimensional layer-by-layer growth of film was observed without the rearrangement of film. AFM images showed films with chain-shaped and/ or donut-shaped polymers when grown rapidly and a wrinkled film at the steady state condition.

Development of a process for the implementation of fine electronic circuits on the surface of nonconductive polymer film (비전도성 폴리머 필름 표면상에 미세 전자회로 구현을 위한 공정개발)

  • Jeon, Jun-Mi;Gu, Seok-Bon;Heo, Jin-Yeong;Lee, Chang-Myeon;Lee, H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21-121
    • /
    • 2017
  • 본 연구는 비전도성 폴리머 표면을 개질하여 감광성 금속을 유전체 표면에 흡착시키고, 감광성 금속의 광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귀금속 촉매를 비전도성 폴리머 표면에 선택적으로 흡착시켜 무전해 Cu 도금을 수행하여 금속패턴을 형성하였다. 기능성 유연 필름은 일반적으로 투명한 플라스틱 고분자 기판을 기반으로 전기 전자, 에너지, 자동차, 포장,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 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습식 도금 공정을 이용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상에 $10{\mu}m$ 이하의 미세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비전도성 폴리머 표면에 무전해 도금을 위해서 우선 폴리머 필름의 표면을 개질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에 KOH 또는 NaOH 알카리 용액을 이용하여 표면을 개질하였으며 개질된 표면에 감광성 금속이온의 흡착시키기 위한 감광성 금속이온은 주석을 사용하였으며, 주석 용액의 안정성 및 퍼짐성 향상을 위해 감광성 금속 용액의 제조 및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감광성 금속화합물이 흡착된 비전도성 유전체 표면을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특정 부위, 즉 표면에 금속패턴 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곳은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광원을 차단하고 그 외 부분은 주 파장이 365nm와 405nm 광원을 조사하여 선택적으로 감광성 금속화합물의 산화반응을 유도하는 광조사 공정을 수행하였다. 광원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에 귀금속 등의 촉매 입자를 치환 흡착시켜 금속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 표면을 형성하였다. 위의 활성화 공정이후에 활성화 처리된 표면을 세척하는 수세 공정을 거친 후 무전해 도금공정에 바로 적용할 경우 미세한 귀금속 입자가 패턴이 아닌 부분 즉 자외선(UV) 조사된 부분에도 남아있어 도금시 번짐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활성화 처리 후 약 알칼리 용액에 카르복실산을 혼합하여 잔존하는 귀금속 입자를 제거한 후 무전해 Cu 도금액을 이용하여 $10{\mu}m$ 이하의 Cu 금속 패턴을 형성하였다.

  • PDF

DENA FILTER Series (특집 - 광학필름용 폴리머 필터 'DENA FILTER' 시리즈)

  • Byeon, Won-Seop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06
    • /
    • pp.45-50
    • /
    • 2010
  • 나가세산업(주)은 염료 화학품 합성수지 등의 원재료를 취급하는 기존 비니지스에 머물지 않고 고객들과 보다 더 많은 시너지효과 및 부가가치를 창조하고자 폴리머 필터 DENA FILTER를 개발했다. 본 고에서는 이중 폴리머 필터인 DENA FILTER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