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폴리락타이드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8초

약물방출시스템 적용을 위한 락타이드/히아루론산 고분자 막의 제조 (Synthesis of Lactide/Hyaluronic Acid Polymer Membrane for the Application of Drug Delivery System)

  • 김민수;권지영;정성일
    • 멤브레인
    • /
    • 제15권4호
    • /
    • pp.281-288
    • /
    • 2005
  •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히아루론산과 생분해성이 우수한 폴리 락타이드의 이량체를 결합하여 약물 방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생체 재료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냉동 건조법을 이용하여 히아루론산과 락타이드를 가교제 1-ethyl-3-(3-dimethyl aminopropyl) carbodiimide (EDC)로 가교시켰다. 생성된 막을 핵자기 공명 분광법으로 분석하여 락타이드 반응도와 EDC 반응도를 결정하였다. 히아루론산에 대한 락타이드 몰비, 가교제 농도가 증가할수록 혹은 가교 온도가 감소할수록, 락타이드 반응도가 증가하였으며 팽윤도는 감소하였다. 서로 다른 락타이드 반응도를 가진 막으로 약물 방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락타이드 반응도가 증가하면 약물 방출 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친수성이 다른 여러 가지 약물로 약물 방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친수성이 우수한 약물일수록 서서히 방출되었다.

락타이드로 가교시킨 히아루론산 막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Hyaluronic Acid Membrane Cross-linked with Lactide)

  • 권지영;정성일
    • 폴리머
    • /
    • 제29권6호
    • /
    • pp.599-604
    • /
    • 2005
  •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히아루론산과 생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락타이드의 이량체인 락타이드를 결합하여 인체내에서 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생체재료를 제조하였다. 냉동 건조법을 이용하여 히아루론산과 락타이드를 가교제 1-ethyl-3-(3-dimethyl aminopnpyl) carbodiimide(EDC)로 가교시켰다. 생성된 막을 핵자기 공명분광법으로 분석하여 젖산기 반응도와 EDC 반응도를 결정하였다. 히아루론산에 대한 락타이드의 몰비가 5부터 13까지 증가함에 따라 젖산기 반응도와 EDC 반응도는 증가하였다. 몰비가 커서 젖산기가 많이 첨가되면 팽윤도는 감소하고 취성이 강해졌다. 또 가교제 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가교 온도를 감소시키면 젖산기가 더욱 첨가되어 팽윤도는 감소하고 탄성률은 증가하였다. 서로 다른 가교도를 가진 막에 대해 약물 방출 실험을 한 결과 막의 가교도가 증가함에 따라 약물의 투과도는 감소하였다. 몰비가 커 젖산기가 많이 첨가된 고분자일수록 늦게 분해되었다. 몰비, 온도, 가교제 농도 등의 운전 변수를 조절하여 막의 기계적 물성과 분해 속도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었다.

PLGA계 나노섬유의 형태에 따른 생분해거동 (Biodegradation behaviors of PLGA nanofibers with different morphology)

  • 유용;박원호;민병무;이승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51
    • /
    • 2003
  •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고분자인 폴리락타이드 (polylaccde, PLA), 폴리글리콜라이드 (polyglycolide, PCA) 및 이들의 공중합체인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 (PLCA)는 생체친화성이고 생분해성이며 물리적 강도가 우수하고 쉽게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방사는 수 마이크로에서 수십 나노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초극세 섬유인 나노섬유의 제조기술로서 기존의 섬유 방사방식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새로운 방사기술로 산업적인 웅용 가능성이 무한한 미래지향적 기술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중략)

  • PDF

알부민을 함유한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L-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 웨이퍼의 제조 및 방출거동 (Preparation and Release Behavior of Methoxy poly(ethylene glycol)- poly(L-lactide-co-glycolide) Wafer Containing Albumin)

  • 서광수;김문석;김경자;조선행;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4호
    • /
    • pp.328-334
    • /
    • 2004
  • 단백질 전달체로 이용하기 위한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는 카비톨 (134 g/mole)과 550, 2000 및 5000g/mole의 각기 다른 분자량을 가진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개시제로 하여 촉매인 Sn(Oct)$_2$를 사용하여 L-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었다. $^1$H-NMR, GPC, 그리고 XRD를 이용하여 합성된 블록 공증합체의 특성을 결정하였다. 이식형 웨이퍼를 준비하기 위하여 동결분쇄기를 이용하여 형광이 결합된 1% 소 혈청 알부민과 고분자를 균일 혼합 후에 3mm${\times}$1mm의 크기로 웨이퍼를 제조하였다. 형광 알부민의 방출 거동과 pH 변화는 pH 7.4의 인산염완충용액을 이용하여 37$^{\circ}C$, 100rpm의 항온조에서 30일 동안 관찰하였다. 알부민의 방출양은 형광분광기를 통하여 FITC의 강도에 의해 결정되었다. 알부민의 방출 거동은 블록 공중합체내에서 MPEG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빠른 초기방출을 보였고, PLGA의 분자량을 조절함으로서 약물의 방출기간을 결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생분해성 PLGA에 친수성인 MPEG의 도입을 통해 약물의 방출거동을 조절할 수 있었다.

PLGA 나노섬유의 구조에 미치는 첨가제의 영향 (Effect of salt additives on structure of biodegradable PLGA nanofibers)

  • 유용;박원호;민병무;이승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8-220
    • /
    • 2003
  •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고분자인 폴리락타이드 (polylactide, PLA), 폴리글리콜라이드 (polyglycolide, PGA) 및 이들의 공중합체인 락타이드-글라이콜라이드 공중합체 (PLGA)는 생체 친화성이고 생분해성이며 물리적 강도가 우수하고 쉽게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방사는 수 마이크로에서 수십 나노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초극세 섬유인 나노섬유의 제조 기술로서 기존의 섬유 방사방식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새로운 방사기술로 산업적인 융용 가능성이 무한한 미래지향적 기술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중략)

  • PDF

광학이성질체를 이용한 폴리락타이드 혼합물의 가수분해성 조절 (Control of Hydrolytic Degradation of Polylactide Mixtures Using Optical Isomers)

  • 이원기
    • 폴리머
    • /
    • 제36권3호
    • /
    • pp.309-314
    • /
    • 2012
  • 생분해성 폴리락타이드의 분해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d$-lactide와 $l$-lactide의 함량을 달리하여 다양한 stereochemical PLAs를 개환중합으로 합성하고 Langmuir 단분자막 장치를 이용하여 알칼리 분해속도를 측정하였다. 알칼리 수용액상에서 혼합 단분자막의 분해속도를 각 혼합고분자의 광학적 순도(100, 99, 97, 95%)의 항으로 측정하였다. 스테레오 콤플렉스에 기인하는 혼합물의 용융온도는 혼합물 성분의 광학적 순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분해거동은 100% 광학적 순도를 가진 혼합물은 각 단일중합체보다 느린 분해속도를 나타내는 반면 다른 혼합물들은 2단계의 분해거동을 나타내었는데 1단계에서는 콤플렉스를 형성하지 않은 부분에서의 분해로 단일중합체에 비해 빠른 분해속도를 나타내었고 2단계에서는 100% 광학적 순도를 가진 혼합물과 유사하게 느린 분해속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폴리락타이드의 stereochemistry와 스테레오 콤플렉스를 이용하여 알칼리 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건축자재용 폴리락타이드의 난연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lame Retardancy of Polylactide for Construction Materials)

  • 차상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3-119
    • /
    • 2021
  • 고분자는 고유의 경량성 및 강성으로 인해 건축 자재에 두루 적용되는 소재이다. 그러나 건축 산업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화재 사고에서 대형 화재로의 확산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가 가연 특성을 지니는 고분자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분자 소재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 특성을 부여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에서도 유기 인계 난연제는 고분자와의 혼화성이 우수하며, 독성이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축자재용으로 사용되는 친환경 고분자인 폴리락타이드의 난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알콕시아민 기반의 유기 인계 난연제 구조를 설계 및 합성하여 이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둔다.

락타이드로 가교시킨 히아루론산 막의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Hyaluronic Acid Membrane Cross-linked with Lactide)

  • 김원중;권지영;정성일;김인섭
    • KSBB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255-259
    • /
    • 2006
  •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히아루론산과 생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락타이드의 이량체인 락타이드의 혼합 몰비, 가교제 EDC 농도, 가교 온도 등의 반응 조건을 변화시켜 생체적합성 고분자막을 제조하였다. 히아루론산에 대한 락타이드의 혼합 몰비가 증가할수록 수용액상에서의 분해속도는 감소하였다. 합성된 고분자막을 ethylene oxide gas로 멸균 한 후 세포배양배지를 첨가하여 $37^{\circ}C$에서 200 rpm으로 24 시간동안 교반하면서 침출물을 추출한 다음 NIH/3T3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EDC 농도 10% 조건에서 히아루론산에 대한 락타이드의 혼합 몰비가 5 또는 10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몰비 13에서는 11% 정도의 성장저해를 나타내었다. 혼합 몰비를 10으로 고정하고 가교 온도 $15^{\circ}C$에서 EDC의 농도를 5%, 10%, 20%로 변화시켜을 때, EDC 농도가 20%인 경우에서만 12% 정도의 성장저해를 나타내었다. 혼합 몰비 10, EDC 농도 10% 조건에서 가교 온도를 $15^{\circ}C,\;25^{\circ}C,\;28^{\circ}C$로 변화시켰을 때, 가교 온도에 따른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락타이드와 히아루론산의 몰비와 EDC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인체 내에서 분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생체적합성 고분자막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폴리디메틸실록산계 안정화제를 이용한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의 ʟ-Lactide의 개환중합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ʟ-Lactide with Polydimethylsiloxane Based Stabilizer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황하수;임권택
    • 청정기술
    • /
    • 제12권2호
    • /
    • pp.62-66
    • /
    • 2006
  • 다양한 폴리디메틸실록산계 공중합체를 안정화제로 이용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 내에서의 개환중합을 통해 PLLA를 제조하였다. 초임계 개환중합에 사용된 폴리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는 폴리디메틸실록산 거대개시제를 사용하여 그룹전이중합법(GTP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small{L}$-락타이드의 초임계 현탁중합을 통해 수미크론크기의 입자가 형성되었음을 전자 주사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고, 또한 겔 투과 크로마토 그라피 분석을 통해 상당히 좁은 분자량 분포의 PLLA가 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