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폭우재난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sponse System through the Case of Heavy Rain Disaster Response (폭우재난 대응 사례를 통한 대응체계 개선방안 연구)

  • Woo Sub Shim;Sang Beam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3
    • /
    • pp.597-607
    • /
    • 2023
  • Purpos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as been working hard to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due to heavy rain during natural disasters as the responsible ministry in charge of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and health problems for workers. Accordingl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tends to analyze actual cases of responding to heavy rain disaster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response system. Method: An emergency response system implemented to respond to heavy rain disasters with an internal expert group composed of those in charge of disaster work at headquarters,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and an external expert group composed of professors, consulting representatives, and disaster managers from other ministries. Contents on self-inspection by industry, workplace inspection, use of serious siren, safety management and restoration work guidance were reviewed. Result: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regular contact system from time to time, and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and distribute detailed self-checklists for each indust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implementation of self-inspection when inspecting workplaces, and it seems necessary to have measures to increase the readability of information notified through serious disaster sirens. In addition, since safety work is done in the form of a contract, it seems necessary to prepare specific safety guidelines. Conclusion: In order to protect the lives of workers due to seasonal harm and risk factors, unlike the passive coping methods of the past, abnormal weather should not be regarded as an unexpected situation, and it should be actively and preemptively responding beyond the conventional framework.

Measures to Strengthen Disaster Response Capacity to Minimize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heavy rain, etc.) (자연재해(폭우 등) 피해 최소화를 위한 재난대응역량 강화 방안)

  • Choi, Suk-Chan;Choi, Jong-Youb;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73-274
    • /
    • 2022
  • 최근 불안정한 기후로 대규모 재해재난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인적·물적피해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단적인 예로 경북 포항 지하주차장 침수 피해 및 포항제철소 고로 3기 가동 중단은 기록적인 폭우와 만조와 겹친 냉천의 범람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하지만 사전에 충분한 예방, 대비를 했더라면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재난이나 그 밖의 각종 사고로부터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할 책무를 지고, 각종 사고를 예방하고 줄이기 위하여 노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재해경감을 위해 예방, 대비, 대응, 복구에 대한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경북 포항 침수피해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예방, 대비, 대응, 복구 차원에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재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개선하는데 있다.

  • PDF

기획특집_2 - 긍정의 눈으로 본 4대강 살리기

  • Park, Seok-Su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388
    • /
    • pp.10-13
    • /
    • 2010
  • 불행하게도 우리 국토는 기후 재난을 막을 수 있는 물 관리 여건이 매우 취약하다. 장마철에는 폭우로 인해 물난리를 겪고, 가뭄에는 물 한 방울이 아쉽다. 여기에 대형 자연호가 전무하여 장마에 집중되는 비를 모아둘 물그릇이 크게 부족하다. 한반도에 도래하는 기후변화는 이처럼 취약한 우리의 물 관리 여건을 더욱 심각한 상태로 몰아가고 있다. 폭우와 가뭄은 점점 강해지고 있으며, 그 피해는 연간 수조원에 달하고 있다. 역사와 전통을 가진 가뭄과 홍수의 나라이자 태생적 물그릇 부족국가에서 다가오는 기후 변화는 결코 방치될 수 없는 시급한 현안이다. 물그릇을 키우고 국토의 혈관이나 다름없는 강의 기능을 살려 기후재난을 최소화하는 물관리의 대변화가 절실하다. 이 글에서 4대강 살리기의 필요성과 찬반 논란의 핵심 쟁점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Strategy for Disaster Local DMB broadcasting (국지적 DMB재난방송을 위한 전략 개발)

  • Lee, Seung-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26-28
    • /
    • 2014
  • 현재 소방방재청에서 2009년에 설치 운영중인 DMB재난방송시스템은 지역단위의 재난방송으로 활용을 하지 못하고 광역단위의 재난방송에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릴라성 폭우등 지구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국지적 재난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광역적인 재난방송 보다는 국지적 재난 상황을 일반 국민에게 신속히 전파하며, 지역에 맞는 대피 방법등을 지역맞춤 재난방송을 전달함으로 재난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국민들이 가지고 있는 DMB 수신기를 최대한 활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 전달체계를 구축하려면 많은 예산과 인력이 필요하다. 이런 문제점을 R&D를 통해 지역에 적합한 정보를 수집하고 방송하면서 중앙재난상황실에 설치된 DMB재난방송시스템을 활용한 지역 재난방송이 가능하도록 전략을 연구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DMB Broadcast network based Local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DMB 재난 경보망을 활용한 국지적 재난방송 개발)

  • Lee, Seung-Hyung;Koh, Woo-Jong;Kwak, Chunsub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06a
    • /
    • pp.240-242
    • /
    • 2014
  • 최근 게릴라성 폭우등 지구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국지적 재난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지적 재난 상황을 일반 국민에게 신속히 전파하는 방법으로 방송매체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방송과 같은 매체는 이동중이나 정전 그리고 데이터망이 유실된 상태에서도, 방송망을 활용한 재난방송 시스템이 필요한 상태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DMB가 재난 방송에 적합한 매체로 인식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DMB재난방송시스템은 광역 단위의 재난 상황시에만 DMB를 이용하여 상황전파가 이루어 지고 있으므로 국지적 재난상황과 같이 지역 맞춤형 재난방송을 통하여 재난방송의 신뢰성을 높이고 광범위한 정보가 아니라 지역단위의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는데 국지적 DMB 방송망이 적극 활용 되도록 재난경보방송시스템을 연구하였다.

  • PDF

Utilization of local disaster studies using the DMB broadcasting (DMB방송을 이용한 국지적 재난방송 활용방안 연구)

  • Lee, Seung-Hyung;Ahn, Byung-Du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49-5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2009년도에 설치 운영중인 중앙재난상황실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난경보방송시스템을 이용하여 국지적 재난방송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로 광역단위의 재난방송이 아닌 지자체 중심의 국지적 재난방송이 가능하도록 활용방안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게릴라성 폭우등 지구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국지적 재난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지적 재난 상황을 일반 국민에게 신속히 상황 전파하고 대피 방법등 지역 맞춤형 재난방송을 전달함으로 재난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를 높힐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IoT-based disaster safety monitoring system (IoT 기반 재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 Seo, Hyungyoon;Kim, Tae-eon;Kim, Hyeun-d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265-26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IoT 기술을 이용한 재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 통신 기기에도 IoT가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재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과의 접목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IoT 기술 기반 재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인 통신 기기에 접목 시키기 위해 카카오톡 플랫폼을 이용한다. 재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평시에 IoT 센서로 온도, 강우량, 진동 및 미세먼지를 모니터링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만약 화재, 폭우, 지진 등의 자연 재난 등이 발생하면 메신저 플랫폼인 카카오톡을 통하여 재난정보를 재난 초기에 제공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T-DMB system with SS transmission system (SS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T-DMB 부가서비스의 성능 평가)

  • Seo, Kangwoon;Lim, Bo-Mi;Lee, Yong-Tae;Yoon, Se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165-168
    • /
    • 2011
  • 최근 지진, 폭우, 해일 등의 갑작스런 재난으로 인하여 세계 많은 곳에서 피해를 받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각종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한 시스템이 존재 하지 않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갑작스런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한 시스템으로 추가적인 주파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Water-marking 기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T-DMB 대역폭에 재난 안전 방송을 추가하여 필요시 재난 상황을 알리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Water-marking 기법의 경우 추가적인 대역폭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기존 시스템의 성능 열화를 최소화 하는 방법으로 추가적인 통신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 주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SS 송수신기 설계와 기존 시스템의 성능열화 범위를 계측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T-DMB 시스템에 SS 송신기를 추가함으로써 T-DMB의 성능열화는 최소화 하는 동시에 재난안전 방송을 위한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에 대한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 PDF

Design of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ATSC 3.0 transmission method (AT SC 3.0 전송 방식에 기반한 재난방송 송수신 시스템 설계)

  • Ra, Sangjung;Hyun, Eunhee;Cho, Yong seong;Bae, By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206-207
    • /
    • 2019
  • 최근 들어 지진이나 국지적 폭우 등 자연재해로부터 발생하는 재난뿐만 아니라 미세먼지나 화재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사회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재난경보서비스에 대한 많은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TSC 3.0 전송방식에 기반한 지상파 UHD 방송망을 통하여 신속하게 재난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송시스템의 구조에 대하여 설계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사항을 제안한다. 제안한 내용은 이미 서비스되고 있는 지상파 UHD 방송망을 통하여 국가 재난경보를 위한 중요한 매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Intelligent Emergency Alerting Broadcast Service based on Terrestrial UHDTV (지상파 UHDTV 기반 지능형 재난경보 방송서비스에 관한 연구)

  • Bae, Byungjun;Kim, Nayeon;Cho, Yong Seong;Kim, Heung 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171-172
    • /
    • 2017
  • 최근 들어 지진, 해일, 국지적 폭우 등이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서 재난경보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UHDTV 방송망을 통하여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재난경보 방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구성도와 각 구성 모듈에서 요구되는 주요 기술들을 제안한다. 제안한 내용은 지상파 UHDTV 방송서비스 도입기에 적용되어 주요 국가 재난경보시스템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