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폭식행동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학생의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Self-Compassion on Binge Eating in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ffect and Negative Urgency)

  • 이슬기;이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412-425
    • /
    • 2022
  • 본 연구는 자기자비와 폭식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 441명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부정정서, 부정 긴급성, 폭식행동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분석 및 Pearson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자기자비, 부정정서, 부정 긴급성, 폭식행동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기자비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자기자비 증진이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폭식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폭식행동의 치료에 있어 자기자비의 실제적 활용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여자 청소년의 거절민감성, 충동성 및 죄책감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male Adolescents' Rejection Sensitivity, Impulsivity and Guilt on Binge Eating Behavior)

  • 윤채림;신주영;김정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3호
    • /
    • pp.31-4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emale adolescents' rejection sensitivity, impulsivity and guilt on their binge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s on rejection sensitivity, impulsivity, guilt and binge eating behavior were administered to 607 female adolescents in Changwon and Ulsan. Of 572 collected copies, 402 were deemed vali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School type was found to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jection sensitivity, overall impulsivity, guilt and binge eating behavior; however, its influence was not significant on the sub-factors of impulsivity: motor impulsivity, unplanned impulsivity and cognitive impulsivity. 2)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rejection anger sensitivity, rejection depression sensitivity and motor impulsiv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binge eating behavior for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girls. Guilt, however, was found to be influential for female high school students only. 3) Impulsivit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adolescents' rejection sensitivity and binge eating behavior.

외모 관련 강박행동(外貌 關聯 强迫行動)이 바디이미지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Compulsive Behavior related to Appearance on Body Image)

  • 이승희;심지윤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2호
    • /
    • pp.181-19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ich factors among addiction buying behavior had been affected by body image. 235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As the results, generally ther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mong body image, diet addiction, binge eating, cosmetic surgery addiction, compulsive behavior and shoplift tendencies. Multiple regression results revealed that diet addiction, cosmetic surgery addiction, binge eating accounted for 34.8% of the explained variance in weight obsession. Also,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cosmetic surgery addiction, self-esteem, and diet addiction, and cosmetic surgery obession accounted for 20.4% of the explained variance in appearance orientation. Finally, regression results pointed out that self-esteem and diet obession accounted 22.3% of the explained variance in appearance evaluation. Based on these results, fashion marketing strategies would be suggested.

대학생 영양교육 전 후의 식행동, 체중조절방법 및 식이섭취에 관한 연구

  • 정선희;장경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31-432
    • /
    • 2004
  • 대학생의 식행동, 체중조절방법 및 영양소 섭취실태에 대한 영양교육 효과를 평가하고자 인터넷 영양교육 강의를 수강하는 대학생(남학생 122명, 여학생 103명) 총 225명을 대상으로 자가기록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양교육은 비만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정의, 원인, 비만으로 생기는 질병, 치료방법 등), 간식, 폭식 등의 문제점, 영양소의 체내 작용 등을 실시하였으며, 조사항목으로는 신체계측, 식행동, 체중조절방법 및 식이섭취조사를 영양교육 전과 8주간의 영양교육 후 2회에 걸쳐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하였다.(중략)

  • PDF

음식 심리학에 대한 탐색적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Food Psychology)

  • 김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93-40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음식 심리학과 관련한 문헌을 분석하여 음식이 가지는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영향력을 이해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음식 심리학에 대해 탐색적으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맛의 지각은 감각적 정보 뿐 아니라 개인의 내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개인의 마음 상태와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식 섭취의 심리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에는 섭식억제이론, 정서 조절 이론, 자기주의이론에 근거한 폭식에 관한 도피모형 등이 확인되었다. 셋째, 음식 관련 진단도구에는 부모의 식사 중 행동척도, 까다로운 섭식 척도, 섭식억제 척도, 부정적 정서에 따른 섭식동기 척도, 보상적 섭식 욕구척도, 음식 갈망-특질 척도, 음식중독 척도, 적응적 섭식 척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폭식과 관련한 증상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 관련 심리장애에 대한 연구는 음식갈망, 폭식장애, 신경성 폭식증, 섭식억제, 건강음식집착증과 관련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다섯째, 음식 관련 심리장애의 치료와 관련한 연구는 단기 심리교육, 억제통제훈련, 심상처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인지행동치료적 접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음식이 가지는 정서적인 영향력과 음식과 관련한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개입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활용한 PTSD 증상과 외상 후 성장 수준의 양상: 폭식, 비자살적 자해, 문제성 음주행동에서의 차이 (Latent Profile Analysis of PTSD symptoms and PTG among Adults in South Korea: the Differences in Binge Eating, Non-Suicidal Self-Injury, and Problem Drinking Behaviors)

  • 이덕희;이동훈;정하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5권4호
    • /
    • pp.325-351
    • /
    • 2019
  • 본 연구는 외상 사건을 경험한 국내 성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증상과 외상 후 성장(Post Traumatic Growth) 양상을 토대로 잠재계층(latent class)을 도출하고, 각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탐색하며, 집단에 따른 자기파괴적 행동의 차이를 탐색함으로써, 외상 사건을 경험한 개인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DSM-5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외상 사건을 경험한 국내성인 860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과 R-3STEP 방식을 이용하였다. 집단 예측 변인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 최종 학력, 종교유무, 종교활동 정도, 월 평균 소득)과 사회적 고립, 외상 경험 빈도가 포함되었으며, 종속변인으로 자기파괴적 행동(폭식 정도, 비자살적 자해 유무, 음주의 양, 음주 형태, 음주로 인한 정신 사회적 문제)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집단은 '저PTSD/중 PTG집단', '저 PTSD/고 PTG집단', '고 PTSD/고 PTG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성별, 최종학력, 사회적 고립, 외상 노출 빈도가 집단 예측 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폭식 정도, 비자살적 자해 유무, 음주 형태, 음주로 인한 정신사회적인 문제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여자청소년의 신체관련변인, 자존감, 내적통제력이 섭식장애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male Adolescent Body-Related Variables, Self-Esteem and Internal Control on Eating Disorder Behavior)

  • 김갑숙;강연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3호
    • /
    • pp.77-87
    • /
    • 2007
  • This study purports to underst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eating disorder behavior of female adolescents and their body-related variables(concerning the degree of diet regime, weight control, body satisfaction, and obesity), self-esteem and internal control, by checking three sub-categorized behavior of eating disorders of diet behavior, bulimia behavior, and eating control behavior. The sample group used for the study consisted of 19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292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asurement devices used for the study were those of body-related variables, self esteem and internal control, and eating disorder behavior;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hi}2$, t-test, Pearson's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ir body satisfaction, weight control experience, and self esteem. University stu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body, have higher self esteem, and control their weight better than high school students. Second, diet behavior shows a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iet interest, weight control experience, and body satisfaction. Body satisfaction and internal control proved to be correlated with bulimia behavior, while weight control experience, obesity, and self esteem were correlated with eating control behavior. Third, the variables that showed a direct influence on diet behavior as an eating disorder are diet interest, weight control experience, body satisfaction and obesity, in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is 60.7% with the highest mark on obesity. The variables that showed effects on bulimia are body satisfaction and internal control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8%. Indirect variables effecting bulimia include objects, diet interest, body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The variable with a direct influence on eating control behavior was self esteem with and explanatory power of 4%, whereas the variables of objects, diet interest, body satisfaction, weight control experience, and internal control were all indirectly correlated with eating control behavior.

폭식을 주소로 한 화병(火病)환자 치험(治驗)1예(例) (A Case Report on a Hwabyung Patient with Binge Eating)

  • 안태한;장정아;박은영;정성식;김진원;서호석;김진이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39-146
    • /
    • 2011
  • 수년간 지속되어 오던 폭식과 불면을 주소로 하고 매핵기(梅核氣), 흉민(胸悶), 복부불편감, 상열감(上熱感)등의 증상을 동반한 화병 환자에 대해 한의학적으로 기기울체(氣機鬱滯) 기울화화(氣鬱化火) 간화상염(肝火上炎)과 간울극비(肝鬱克脾)로 인한 비기손상(脾氣損傷) 비허생담(脾虛生痰) 변증(辨證)하고 한약복용과 침치료(針治療), 구치료(灸治療), 부항치료(附缸治療), 사혈요법(瀉血療法)의 치료(治療)로 폭식행동과 부수증상은 소실되고 수면상태도 유의하게 호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전 지역 여대생의 유제품 섭취와 관련된 사회심리적 요인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dairy product consumption among university female students in Daejeon City)

  • 신은미;김경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비만ㆍ다이어트 박람회
    • /
    • pp.113-113
    • /
    • 2003
  • 대학생은 신체 발달이 완성되는 시기로 올바른 식생활을 통한 영양관리가 중요하나, 에너지, 칼슘, 철분의 섭취 부족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인스턴트 음식이나 패스트푸드를 선호하고 잦은 외식, 폭식, 결식등 식생활이 불량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칼슘 섭취의 지표가 될 수 있는 유제품 섭취 행동을 중심으로 이와 관련된 사회 심리적 요인을 파악하여 영양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