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포텐셜 에너지

Search Result 15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omputer simulation of agglomeration in colloidal alumina powder suspension (콜로이드성 알루미나 분말 입자의 응집현상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 김종철;오근호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9 no.2
    • /
    • pp.224-230
    • /
    • 1999
  • Agglomeration of colloidal alumina particles in a suspension is simulated. Particles in a suspension have potential energies between them and move to decrease the summation of all the potential energies between particles. The effects of various types of potential curves on particle agglomeration were checked. Strong short range attractive energy without repulsive energy barrier makes small strong clusters with disordered network structure but weak short-range force with big repulsive energy barrier makes big agglomerates with a close packing structure. As particles are agglomerated the potential energy with strong repulsive energy barrier between agglomerates gradually decreases the importance of the repulsive energy barrier and induces a different type of agglomeration behavior.

  • PDF

BER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Method of Balancing Information Potentials for Blind Equalization (블라인드 등화를 위한 정보 포텐셜 분배 방법에 대한 BER 성능 분석)

  • Kim, Namyong;Kwon, Kihyu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2 no.1
    • /
    • pp.51-57
    • /
    • 2009
  • Blind equalization techniques have been widely us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information potentials in the criterion of minimizing Euclidian distance between two PDFs criterion for adaptive blind equalizers and evaluate BER performance of the method that has utilized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the two information potentials, one from output samples and ramdomly generated desired samples at the receiver and another from the interactions among output samples. The balanced information potential method has shown in the BER performance results that it can produce significantly enhanced BER performance in blind equalization applications.

  • PDF

Simulation of the Geometries and Energies of $C_{24} and C_{60}$based on a Semiempirical Potential (반경험적 포텐셜에 의한 $C_{24}와 C_{60}$의 구조 및 에너지에 관한 시뮬레이션)

  • 이종무
    • Korean Journal of Crystallography
    • /
    • v.2 no.1
    • /
    • pp.27-31
    • /
    • 1991
  • The geometries and energyies of C24 and C60 tullerenes have been calculated by the lattice statics simplation technique based on a semiempirical Tersoff Potential. The simulation results results agree well with ab initio calculations.

  • PDF

A Design of Linearized and Simplited Arm Dynamics for the Manipulator with a Paralled Drive Mechanism (평행사변형 구조를 갖는 매니퓰레이터 동역학의 선형화 및 단순화 설계)

  • 최진태;이병룡;정규원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3 no.5
    • /
    • pp.855-861
    • /
    • 1989
  • An inertia redistribution technique for liberalizing and reducing the complexity of manipulator dynamics with a parallel drive mechanism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dynamic design method is based on eliminating nonlinear terms, such as Coriolis, centrifugal and gravity torque in the kinetic and the potential energy of a manipulator. A set of design criteria regarding the inertia properties of links is derived. The resulting manipulator dynamics can be greatly simplified for each robot. This paper particularly presents that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linearize the manipulator dynamics with a parallel drive mechanism.

RF 플라즈마 아킹의 PM-tube를 이용한 광량 측정

  • Kim, Yong-Hun;Jang, Ho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125-126
    • /
    • 2010
  • 플라즈마 아킹은 PECVD, 플라즈마 식각 그리고 토카막과 같은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여러 공정과 연구 분야에서 문제점을 야기시켜왔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아킹 현상의 불규칙성과 과도적인 행동으로 인해 미비한 상태이다. 특히, RF 방전에서의 아킹 연구는 DC 방전에서의 아킹 연구에 비해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플라즈마 아킹은 집단전자방출(collective electron emission)에 의한 스파크 방전(spark discharge)현상이다. 집단전자방출은 전계방출(field emission)이나 플라즈마와 쉬스를 두고 인접한 표면위에서의 유전분극(dielec emission)에 의해 발생한다. 이렇게 방출된 집단 전자들은 쉬스에서 가속되어 에너지를 얻게 되고 원자와의 충돌로 전자 아발란체를 일으킨다. 이렇게 배가된 전자들은 아킹 스트리머(arcing streamer)를 형성하게 되고 아킹 발생 시 높은 전류와 공정 실패의 원인이 된다. 우리는 $30cm{\times}20cm$ 크기의 사각 전극을 위 아래로 가진 챔버에서 Ar 가스를 RF(13.56 MHz)파워를 이용해 방전시켰다. 방전 전압과 전류는 파워 전극 압단에서 High voltage probe (Tektronix P6015A)와 Current probe (TCPA300 + TCP312)를 이용해 측정했다. 플라즈마 아킹시 변하는 플라즈마 플로팅 포텐셜은 챔버 중앙에 위치한 랑뮈프 프로브에 의해 측정되고 챔버 옆의 뷰포트 앞에 위치한 PM-tube를 이용해 아킹시 변하는 광량을 측정한다. RF 방전에서의 플라즈마 아킹은 아킹시 플로팅 포텐셜의 변화에 의해 크게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아킹 발생과 동시에 급격히 감소하는 감소부분 (약 2us) 그리고 감소한 포텐셜이 유지되는 유지부분 (약 0~10ms) 그리고 감소했던 포텐셜이 서서히 원래 상태로 회복되는 회복부분(약 100 us)이다. 아킹 초기시 방출된 집단 전자들과 원자들간의 충돌에 의해 형성된 아킹 스트리머는 플라즈마 전체를 단락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플로팅 포텐셜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감소한 플로팅 포텐셜은 아킹 스트리머가 유지되는 한 계속 감소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플라즈마를 섭동했던 아킹 스트리머가 중단되면 플라즈마는 섭동전의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 하기 때문에 플로팅 포텐셜은 서서히 증가하면서 원래 상태로 회복된다. 플라즈마 아킹 발생시 생성되는 아킹 스트리머는 순간적으로 많은 전자들을 국소적으로 생성하게 되고 이 전자들에 의해 광량이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PM-tube (750.4 nm)에 의해 측정된 아킹시 광량은 정상방전 상태의 두배 가량이 된다. 그리고 이 순간적으로 증가된 광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게 되고 정상방전 일때의 광량이 된다. 광량이 증가한 후 정상방전 상태의 광량에 이르는 부분은 플로팅 포텐셜이 감소한 상태에서 유지되는 부분과 일치하고 이는 플로팅 포텐셜의 유지부분동안 아킹 스트리머가 발생하고 있다는 간접적인 증거가 된다. 그리고 정상 방전 상태 일때의 광량이 되면 아킹 스트리머가 중단되었다는 것이므로 그 시점부터 플로팅 포텐셜은 정산 방전상태 일 때의 포텐셜로 복구되기 시작한다. 이처럼 PM-tube를 이용한 아킹 광량 측정은 아킹 스트리머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게 하고 아킹 스트리머를 이용해 아킹시의 플로팅 포텐셜의 변화를 설명하게 해 준다. 응용적인 측면에서 아킹 광량 측정을 이용한 아킹 판독은 방전 전류와 방전 전압과 같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한 아킹 판독에 비해 여러가지 장점을 가진다. 우선, 전기적 신호를 이용한 아킹 판독처럼 매칭 회로나 플라즈마를 섭동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원하는 부분의 아킹만을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며 photo-diode를 이용할 경우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 PDF

Flow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Waterjet Duct (물분사추진기 관내 유동계측 및 유동해석)

  • 왕정용;최희종;전호환;차상명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5a
    • /
    • pp.240-243
    • /
    • 2001
  • 괘도차량에 부착된 물분사추진기의 유동해석을 실험과 포텐셜해석 그리고 점성해석을 사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예인수조에서 여러 차량 전진속도에 대해서 임펠러 회전수를 조정하여 제트속도를 변화시키면서 덕트표면에서의 정압을 계측하였다. 이는 제트시스템의 효율을 추정하기 위함이고 관로를 통한 에너지분포를 알 수 있다. 점성유동해석을 위해 지배방정식은 비압축성 Navier-Stokes 방정식을 유한체적법을 사용하여 이산화하고 해석하였으며 난류영향은 표준 ĸ-$\varepsilon$난류모형을 사용하여 유동을 해석하고 실험결과 및 포텐셜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A Liquid Theory. Nature of Liquid by Roulette Model (액체론. Roulette 모델로 설명되는 액체의 본질)

  • D. Chio;H. Park;M. Kim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22 no.1
    • /
    • pp.1-6
    • /
    • 1978
  • Feeling the potential field within a cell for various environments, every liquid molecule moves to minimize its potential energy. With this simple and fundamental concept, liquid molecules may be treated as a combination of three kinds of typical molecules characterized by Lennard-Jones and Devonshire's earlier work. We can get a partition function which has better functional from and less defects compared to the cell theory and the significant structure theory.

  • PDF

Determination of Tool Orientation in 5-Axis Milling Using Potential Energy Method (포텐셜 에너지를 이용한 5축 NC 밀링의 공구방향 결정)

  • Cho, Inhaeng;Lee, Kun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3 no.6
    • /
    • pp.161-167
    • /
    • 1996
  • In five-axis milling, optimal CL-data (cutter location data) should be generated to have advantages over three-axis milling in terms of accuracy and efficiency.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for generating collision-free CL-data for five-axis milling using potential energy method. By virtually charging the cutter and part surfaces with static electricity, global collision as wells as local interference is eliminated. Additionally, machin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minimizing the curvature difference between the part surface and tool swept surface at a CC-point (cutter contact point) simultaneously.

  • PDF

농도차발전

  • 일색상차
    • 전기의세계
    • /
    • v.27 no.5
    • /
    • pp.13-17
    • /
    • 1978
  • 물에 떨어진 한 방울의 짙은 잉크는 넓게 퍼져서 되돌아오지 않는 것과 같이 짙은 용질은 항상 기회만 있으면 엷게 될려고 한다. 이 기능은 물리학적인 포텐셜로 설명할 수 있으며 농도변화는 엔트러피의 변화와 더불어 발열, 흡열 및 기타 에너지의 출력을 동반하고 있다. 금번 동경공업대학의 일색상차박사는 농도변화에 따르는 에너지의 출입으로서 동력발생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특히 농도가 짙은 중성감수용액은 증기를 흡수, 발열하면서 엷게 될 때의 열에너지로서 동역을 발생시키는 간단한 엔진시스팀에 성공하였는데 이것을 감수엔진차라고 명명하였다. 또한 이것을 각종 에너지나 폐열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시스팀으로 제안하였다.

  • PDF

변형효과와 비포물선효과를 고려한 반도체 양자세선의 전하분포와 부띠천이

  • Kim, Dong-Hun;Yu, Ju-Tae;Yu, Ju-Hyeong;Yu, Geon-Ho;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383-383
    • /
    • 2012
  • 전자소자 및 광전소자의 최적화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반도체 나노양자구조의 물리적 현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반도체 양자세선은 일차원 구조의 기초 물리 특성 관찰과 소자로서의 응용 가치가 높다. 양자세선을 사용한 단전자 트랜지스터, 공명터널 다이오드, 발광다이오드, 광탐지기 및 레이저 소자 제작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나노양자구조들 중에서 양자우물과 양자점에 대한 실험적 및 이론적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나, 복잡한 공정 과정과 물리적 이론의 복잡함으로 양자세선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양자세선을 이용한 전자소자와 광전소자의 효율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양자세선의 전자적 성질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InAs/InP 양자세선에 대한 기저상태와 여기상태의 전하분포, 부띠천이 및 전자적 성질을 고찰하였다. 가변 메시 유한 차분법을 이용하여 양자세선의 이산적 모델을 확립하여 변형효과가 양자세선 구조에서 부띠에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변형효과와 비포물선효과를 고려한 슈뢰딩거 방정식을 사용하여 변형 포텐셜을 계산하였으며 양자세선의 포텐셜 변화를 관찰하였다. 양자세선의 포텐셜 변화에 따라 전하구속분포, 에너지 준위 및 파동 함수를 계산하였다. 기저상태의 부띠 간에 발생하는 천이와 여기상태의 부띠 간에 발생하는 부띠 간의 엑시톤 천이 에너지 값을 계산하였다. 계산한 부띠 에너지 천이 값이 광루미네센스로 측정한 엑시톤 천이와 잘 일치하였다. 이 결과는 양자세센의 이차원적인 전자적 구조를 이해하고 양자세선을 사용하여 제작된 전자소자 및 광전소자의 전자적 성질을 연구하는데 도움을 주며, 저전력 나노양자소자를 제작하는 기초지식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