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크소노미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웹2.0의 참여형 아키텍쳐 환경에서 그래픽 기반 포크소노미 태그 연관 검색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Graphical Relational Searching for Folksonomy Tags in the Participational Architecture of Web 2.0)

  • 김운용;박석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10
    • /
    • 2007
  • 최근 인터넷의 급격한 확장을 통해 대두되는 웹2.0 기술은 웹의 구조적 진화인 질적 변화와 사용자 증가라는 양적인 변화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구조는 사용자 참여형 아키텍쳐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블로그, UCC,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매쉬 업, 롱테일 등으로 대표되는 웹2.0기술은 웹의 구조화에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곳에 포함된 사용자 참여형 자료의 분류와 검색은 포크소노미(Folksonomy)방식을 통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포크소노미는 웹 페이지에 공개되고 있는 정보나 관련 주제를 고전적 분류학 기술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꼬리표(태그)에 따라 구분하는 새로운 분류방식으로 사용자 참여로 구성된다. 현재 이러한 분류를 통한 검색은 단순 텍스트 태그검색이나 태그클라우드 방식 등을 통해 특정 태그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태그들 간의 관계를 표현하고, 이들 관계를 고려한 검색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등록되는 태그들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태그들 간의 연관 그래프를 동적으로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관 검색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태그 검색의 신뢰성을 높이고 검색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사회적 소프트웨어 (Social Software) 와 지식관리 프로세스 (Social Software and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 김학래;최재화;김홍기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16-323
    • /
    • 2006
  • 정보근로자는 지식 중심의 사회에서 지식을 창출하고 소비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지식관리 과정은 정보근로자의 업무패턴을 반영해야 한다. 또한 지식관리 도구는 수;q고 효과적으로 지식을 생성, 통합, 전파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식관리 시스템은 정보근로자를 시스템의 기능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정보근로자의 업무패턴과 요구사항을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근로자의 지식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협업 정보교환, 정보접근의 중요성을 설명하며, 사회적 소프트웨어 기반의 지식관리 프로세스와 지식 변환 과정을 살펴본다.

  • PDF

디지털 도서관을 위한 소셜 태깅의 의미: 이용자 협력을 활용한 디지털 지식 생성 (Implications of Social Tagging for Digital Libraries: Benefiting from User Collaboration in the Creation of Digital Knowledge)

  • 최윤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5-239
    • /
    • 2010
  • 본 연구는 이용자 협력에 의한 소셜 태깅(social tagging)이 웹 자원을 위한 디지털 지식 생성에 활용될 수 있으며, 태깅의 양질성(quality)과 효율성이 실증적으로 증명될 수 있는가를 다루었다. 이 논고는 특별히 소셜 태깅의 색인 일관성(indexing consistency)을 평가하고 전문가들의 색인 일관성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많은 수의 색인자들 간의 색인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벡터 공간 모델(Vector Space Model)에 기반한 두 가지의 유사성 측정 공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웹자원 관리에 있어서 소셜 태깅의 활용성 증진에 공헌하며,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 새롭게 생성되는 자료들에 대한 보다 적합한 어휘를 개발하는 데에 있어 소셜 지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두 가지 공식에 의한 비교분석은 두 공식에서의 비슷한 색인 경향을 보여주면서 보다 신뢰적인 결과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