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포집율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SF_6$ gas decomposition using gliding arc plasma (글라이딩 아크 플라즈마를 이용한 $SF_6$ 가스의 분해)

  • No, I.J.;Shin, P.K.;Jeong, Y.S.;Lim, H.C.;Park, G.B.;Park, J.K.;Yuk, J.H.;Cho, K.S.;Lee, D.C.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356-1357
    • /
    • 2008
  • 교류 펄스전압을 이용하여 글라이딩 아크 플라즈마 반응기에서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PFCs(Perfluoro compounds) 가스의 일종인 $SF_6$에 관한 분해 연구를 하였다. 가스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압축공기를 사용하였고 각각의 유량을 MFC를 통하여 조절하였다. 반응기 내의 양전극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을 아크가 발생하는 7kV$\sim$10kV 사이를 1kV 단위로 가변하였고 유량을 변화시켜가며 실험한 결과 높은 전압과 낮은 유량일 때 높은 분해율 특성을 보였다. 기본 방전 특성을 오실로 스코프를 통하여 관찰 분석하였다. 각 가스들의 분해율과 분해후 가스 성분분석은 글라이딩 아크 플라즈마와의 반응후 가스를 포집하여 FT-IR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 PDF

Effects of PM10 collected from the subway station on the micronucleus frequencies in Tradescantia (지하철 실내 공기 중 PM10에 포함된 돌연변이원이 자주달개비의 미세핵 생성율에 미치는 영향)

  • 신해식;김진규;이진홍;이정주;강동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71-372
    • /
    • 2003
  • 서울의 지하철은 하루 450만 명 정도를 수송하는 중요한 대중교통 수단이다. 지하철 역사 내의 실내 환경에 대한 실내공기질 관리는 실내공기 오염의 대상물질에 대한 특정유해물질과 같은 단일 물질에 대한 지표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공기중 입자상 물질의 특성은 복합적이기 때문에 공기질에 대한 관리는 여러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역구내의 먼지에 대한 단순 측정ㆍ분석만이 이뤄지고 있을 뿐 그 먼지의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역 구내에서 포집한 미세먼지가 돌연변이원을 함유하고 있는 지를 여름과 겨울철에 대한 비교 평가하였다. (중략)

  • PDF

Preprocessing for Automatic Detection of Scirotothrips Dorsalis (볼록총채벌레 자동판정을 위한 전처리)

  • Moon, Chang-Bae;Kim, Byeong-Man;Yi, Jong-Yeol;Suk, Min-Woong;Hyun, Jae-Wook;Yi, P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12.05a
    • /
    • pp.215-218
    • /
    • 2012
  • 농업에 있어 해충 방제는 중요한 일이다. 특히, 볼록총채벌레는 최근 감귤원 해충 피해의 주요 해충으로 인식되어 주기적인 예찰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성충의 크기가 0.8mm 정도로 작아 육안 식별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예찰 트랩에 포집된 볼록총채벌레를 자동으로 판별하기 위한 전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광학 현미경의 배율을 30, 40, 50배로 조정하여 영상을 획득하였고,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판별 성능을 측정한 결과, 50배율에서 가장 높은 판별율을 보였으나 더 많은 볼록총채벌레 영상을 대상으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

  • PDF

Study on the Fine Particle Charging Characteristics with the Electrohydrodynamic Atomization (전기 수력학적 방법을 이용한 미세 입자의 하전 특성에 관한연구)

  • 안진홍;김광영;윤진욱;안강호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3 no.4
    • /
    • pp.289-294
    • /
    • 2001
  • A well defined electro-spraying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ESP) experiment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ging characteristics of the submicron particles and the monodisperse particles. The basic idea is that the highly charged electro-sprayed droplets will be produced into the gas when the Coulombic repulsive force on the surface is higher than the surface tension of the spraying liquid. During this process many highly charged smaller droplets or ions, if the droplets are completely dried out, will be produced in the space. These charged species will be attached ion the particles and then eventually charge the particles. These charged particles will be easily collected with ESP.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tomizer generated particles with geometric mean diameter (GMD) of 62nm are charged more than 90% even at the mean face velocity of 2.5m/s at the charging zone.

  • PDF

Assessment of Stabilization of An Open-dumping Landfill - A Case Study of Noeun Landfill - (비위생매립지의 안정화 평가 - 노은 매립지 사례연구 -)

  • Hong, Sang-Pyo;Kim, Kwang-Yu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4 no.2
    • /
    • pp.47-53
    • /
    • 2005
  • 노은 매립지는 사용종료된지 5년이 경과된 비위생매립지로 최종복토는 되어 있으나 침출수 차집시설 및 매립가스 포집설비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환경부의 사용종료 매립 지 정비지침에 의하면 침출수의 BOD/CODcr 비율이 1/10 수준임으로 침출수의 안정화 과정이 거의 완결상태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매립지 가스의 안정화 측면에서는 CH4의 비 율이 5%정도이기 때문에 안정화가 거의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매립된 쓰레기 중에서 플 라스틱을 제외한 가연물 함량이 3.97 - 9.34%이기 때문에 매립폐기물은 안정화 기준에 미흡한 상태이다. 그리고 지하수는 대장균 항목이 지하수 수질기준 생활용수 기준에 미흡하여 안정화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노은매립지는 매립지 안정화의 속도가 평가 대상별로 상이하 게 진행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A study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oaming glass by recycling waste glass (폐유리 재활용을 위한 발포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Cho Hea-Yong;Choi Chang-Ha;Lee Soo-Wohn;Kim Hyung-Ju;Chang Pil-Ky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5.05a
    • /
    • pp.309-31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폐유리를 별도의 전처리 과정 없이 최적조건에서 발포된 발포유리의 pH, 밀도, 열전도율, 압축강도 그리고 흡음율을 측정하였다. 최적조건에서의 온도변화에 따른 물성특성을 측정한 결과,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밀도는 감소하였는데 이는 융용상 형성이 증가하고 표면에 형성된 응용상의 발포된 기체를 내부에 포집하여 큰 기공을 형성하여 밀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pore size가 커지고,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 PDF

Manufacturing technique of dustproof mask filter using meltblown(M/B) non-woven with activated carbon (활성탄 부착 Meltblown(M/B) 부직포를 이용한 방진마스크용 여과재 제조기술개발)

  • 홍영기;전재완;이재달;송인희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05a
    • /
    • pp.84-8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고성능 활성탄의 악취 및 유해가스 흡착효율과 멜트브로운(M/B)부직포의 여과성능에 의한 복합적인 고기능 방진특성을 갖는 활성탄 부착 M/B 국산화 여과재를 제조개발하였다. 고성능 활성탄은 고순도의 일반활성탄에 금속염, 유기물 등을 담지시켜 활성화시킨 활성탄이고, M/B여과재의 웹(web)제조조건은 M/B 방사기에서 방사온도 250℃, 방사속도 150m/sec, 고온공기온도 250℃ 그리고 DCD(die to collector distance) 20cm가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B 여과재에 활성탄 부착은 열롤러시스템에 의한 열적결합방법을 이용하여 균일한 분포의 점접착결합구조를 갖도록 하였고, 개발된 복합기능 여과재가 방진마스크용 여과재로의 이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분진포집효율, 투과율, 흡기저항 등 여과재 성능기준실험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Discharge model of gliding arc plasma for benzene decomposition process (벤젠 분해처리를 위한 글라이딩 아크 플라즈마의 방전 모델)

  • Ko, K.;Kim, C.J.;Shin, P.K.;Hwang, M.H.;Kim, J.S.;Nam, K.Y.;Lee, Y.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383-1384
    • /
    • 2007
  • 직류 고전압을 사용한 글라이딩 아크 플라즈마 반응기에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일종인 기상의 벤젠 분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실험에는 압축공기와 벤젠(500ppm)으로 이루어진 혼합가스와 그 농도를 조절하기위한 압축공기가 사용되었다. 기본 방전 특성을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벤젠가스의 분해율은 글라이딩 아크 플라즈마와의 반응 전후의 가스를 포집하여 GC(Gas Chromatography)를 통해 정량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 PDF

Effect of Coagulants on the Behavior of Ultra Fine Dust in a Coal Firing Boiler (석탄 화력 보일러에서의 응집제 이용에 따른 초미세먼지 거동)

  • Ryu, Hwanwoo;Song, Byungho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31 no.1
    • /
    • pp.84-89
    • /
    • 2020
  • Particulate matters of PM2.5, particularly focusing on 0.1~1 ㎛ decrease the efficiency of dust-collector due to the brownian-motion.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coagulant 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f potassium and PM2.5. The activated coagulant was spayed to the coal fired fluidized bed combustion boiler by the weight ratio of 1,200 : 1 = coal : coagulant, and the size distributions of captured particles at both the cyclone (FP)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EP) were measured. As the result of XRP analysis, the potassium content of FP increased to 13.33% (averagely from 1.65% to 1.87%) and, in EP at 17.68% (averagely from 1.65% to 2.03%). And it was confirmed by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zer and SEM image analysis that the distribution rates of PM2.5 decreased at 89.53% on average in FP, and at 88.57% in EP. The total dust concentration (mg/㎥) confirmed by tele-monitering system (TMS) decreased during the primary test from 2.6 to 1.7~1.9 and also the secondary test from 2.9 to 1.7~1.9.

Electrospraying of Micro/Nano Particles for Protein Drug Delivery (단백질 약물 전달을 위한 마이크로/나노 입자의 전기분무 제조법)

  • Yoo, Ji-Youn;Kim, Min-Young;Lee, Jong-Hwi
    • Polymer(Korea)
    • /
    • v.31 no.3
    • /
    • pp.215-220
    • /
    • 2007
  • The control of the surface energy by electrohydrodynamic force provides electrospraying with various potential advantages such as simple particle size control, mono-dispersity, high recovery, and mild processing conditions. The advantages are quite helpful to improve the stability of protein drug and control its release. Herein, the nano-encapsulation of protein drugs using electrospraying was investigated. Albumin as a model protein was processed using uniaxial and co-axial electrospraying, and chitosan, polycaporlactone (PCL), and poly (ethylene glycol) (PEG) were used as encapsulation materials. The major processing parameters such as the conductivity of spraying liquids, flow rate, the distance of electrical potential gradient, etc were measured to obtain the maximum efficiency. In the chitosan systems, mean particles size decreases as flow rate and the distance between nozzle and the collecting part decreases. In the uniaxial technique of the PCL systems, mean particles size decreases as flow rate decreases. In the coaxial technique of the PCL systems, it was found that the particles size gets larger under the application of the higher ratio of inner-to-outer liquid flow rates. The primary particles formed out of an electrospraying nozzle showed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but once they arrived to the collecting part, aggregation behavior was observed obviously. Efficient nano-encapsulation of albumin with PCL, PEG, and chitosan was conveniently achieved using electrospraying at above 12 k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