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포장수력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 seconds

조역발전을 위한 국가적 과제

  • 이덕선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6 s.2
    • /
    • pp.33-38
    • /
    • 1974
  • 우리나라 남${\codt}$서해안선의 총 연장은 5,000천에 달하며 크고 작은 섬들만도 2,000여개가 산재하고 있다. 여기에 밀려드는 조석 및 파력에너지의 포장량은 전력으로 환산하여 줄잡아 $10^{8}KW$ Order의 ''이론적 포장에너지량''이 부존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수력의 경우 구주각국이나 일본에 있어서는 ''기술적 포장수력''의 $25{\~}50{\%}$가 ''기술적 포장수력''으로, 그리고 $10{\~}20{\%}$가 ''경제적 포장수력''이라는 통계치가 나와 있다. 조력의 경우 이와같은 수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겠지만, 수천만kw Order의 기술적 또는 경제적 포장능력이 우리나라 남서해안에 부존할 수 있음에 수긍이 간다. 이론적으로 포장량을 기술적 포장량으로 바꾸고 이를 다시 실현성있는 경제적 포장량화하는 원동력은 인간의 지혜 곧 ''기술''과 역사의 흐름 곧 ''시운''에 좌우된다고 하겠다. 정부는 국내 부존에너지자원의 활용 극대화를 위하여 ‘74년도 우리나라 서해안의 조력발전기초조사를 과학기술처 산하 ${\ulcorner}$한국해양개발연구소${\lrcorner}$를 중심으로 하여 실시하게 된다. 국내 관계기관 및 전문가들의 적극적 참여와 협조를 바란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otential Hydro-electric Power in North Korea (북한의 수력발전가능량 산정 및 평가에 대한 연구)

  • Park, Miri;Ahn, Jaehy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1
    • /
    • pp.41-49
    • /
    • 2018
  •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water resource development potential in North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elected potential hydropower as an indicator to evaluate water resource development potential. Potential hydropower means theoretical value about the potential capacity of river. It is used to evaluate the amount of development through the hydropower generation. For calculating potential hydropower, monthly average and annual average of rainfall for each river basin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data of 27 rainfall stations in North Korea.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oretical potential hydropower by rainfall in the seven major basins in North Korea, the Aprok River basin was analyzed to be the largest with $7,562.2{\times}10^3kW$. The efficiency and utilization rate of theoretical potential hydraulic power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as 42.3% and 36.2%, respectively. The Daedong River basin's potential hydropower utilization rate is 12.3%, which is the lowest in North Korea. In the case of Daedong River basin, more than 40% of the total population is inhabited, so demand for water and electricity is expected to be the largest. Therefore, the Daedong River basin is considered as a priority area for water resourc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water resource development projects and research activities in North Korea.

수력 ENERGY의 분석 연구

  • Choe, In-Gyu;An, Won-Sik;Choe, Yeong-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3.07a
    • /
    • pp.457-464
    • /
    • 1993
  • 본 연구는 수력을 분석하고 그 포장력을 바르게 이해함으로 합리적인 ENERGY의 연구 개발에 도움이 되게 하기 위하여 모든 ENERGY를 분석, 비교, 검토하여 이전에 알지 못했던 분야를 효과적으로 정의 규명함으로 ENERGY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우리 인류를 발전시켜 나가기에 편리하도록 분명한 이론을 정립한 것이 그 특징이다.

  • PDF

해외전력 - 미얀마의 수력개발 현황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386
    • /
    • pp.56-57
    • /
    • 2009
  • 인도차이나의 서쪽, 태국 라오스 중국 방글라데시 인도에 둘러싸인 미얀마는 비옥한 토양과 천연자원의 혜택을 입고 있는 나라이다. 에너지자원으로서는 풍부한 포장 수력이 있는 외에 천연가스의 혜택도 입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네 윈 정권 하에서의 쇄국경제체제 이후 해외로부터의 경제원조가 중지되고, ASEAN 가맹을 달성한 현재에도 민주화운동의 탄압에 대한 유럽 미국 등의 엄한 대응에 의하여 서방 여러 국가로부터의 경제원조는 제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는 ASEAN 여러 국가 중에서 뒤처지고 있다. 1인당 국민총생산(GDP)을 보더라도 237 미달러(2007년 IMF 추정)로 ASEAN 여러 국가 중에서도 가장 낮은 실정이다. 전력부문에 있어서는, 설비의 신설 갱신이 충분히 시행되지 못하여 공급력이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미얀마 정부는 영해 내에서 산출되는 천연가스를 태국에 수출하여 귀중한 외화 수입원으로 하는 한편, 전원으로서는 수력을 선택하여 중국에서의 경제원조도 받아 대규모의 수력 개발을 위해 매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미얀마의 수력개발의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 소개한다.

  • PDF

수면위치변동에 의한 수력 변환에 관한 연구

  • 최인규;안원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2.07a
    • /
    • pp.383-396
    • /
    • 1992
  • 본 연구는 조력을 검토하고 그 포장력을 Energy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 고안함에 있어 각종 Energy의 추출방법을 분석, 비교, 검토하여 새로운 방법의 연구와 실질적 이론과 위치변동에 의한 수력을 분석하고 과거에 전연사용하지 않았던 새로운 Energy를 연구개발하여 우리 인류가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분명한 이론을 정립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증명이 되었다. 1. 조력발전의 방법은 여러 조건의 방향이 있을 수 있다. 2. 현재까지의 방법중에는 중력 및 부력을 이용한 방법이 가장 유능한 방법이었다. 3. 조력발전의 중력 및 부력발전에 있어 Energy를 투입함으로 생성되는 신 Energy의 강력한 결과를 증명하였다. 4. 그러한 Energy는 해면 1m2당 1일 300ton/m 이상의 Energy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 5. 이러한 Energy는 우리나라 조력해면 60,000km2에서 평균 7억KWH 이상의 상시출력발전을 할 수가 있고 70만 KWH원자력발전소 1,000기와 같은 대용량의 Energy가 개발이 될 수가 있다. 본 연구는 수문학에 있어 위치변동에 의한 수면운돌을 중력과 부력에 의하여 많은 힘을 얻게하고 자연 Energy를 투입하여 더욱 증대된 강력한 Energy를 획득하는 연구분야의 문을 열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PDF

A Fundamental Study for Design of Electric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PZT on the Road (도로용 압전발전체 시험모듈 설계를 위한 기초 실험 연구)

  • Lee, Jae-Jun;Ryu, Seung-Ki;Moon, Hak-Yong;Kwon, Soo-Ah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3 no.4
    • /
    • pp.159-166
    • /
    • 2011
  • Green house gas emissions are increasing as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econom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endeavoring to reduce green house gas emissions under severe climate change. In order to protect grobal warming, government is trying to reduce green gas emissions under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and investing climiate-firendly industries such as renewable energy harvesting. Renewable energy has been rapidly developing as a result of investment for development technology of using natural energy such as solar, wind, tidal, etc. There are lots of waste energy in the road space. However, nobody is not interested in waste energy from the road space. This paper present a fundamentally experimental study of energy harvesting technique to use waste energy in the road. The waste energy in the road is covered a pressure and impact of vehicles on the road, the radiant heat from asphalt pavement, road noise and vibration etc. In this study, an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piezoelectric element is proposed and various tests are conducted to investigate a characteristic of this device as function of impact loading based on piezoelectric effect behavior. This paper shows the energy harvesting results of the device using domestic piezoelectirc element as a function of impact load size and pavement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