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스포리파제 A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8초

교세포에서 Epigallocatechin Gallate에 의한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화 (Epigallocatechin Gallate Activates Phospholipase D in Glioma Cells)

  • Kim, Shi-Yeon;Kim, Joonmo;Min, Do-Sik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24-932
    • /
    • 2003
  • 녹차의 주성분인 에피갈로 갈레이트 (EGCG)는 건강에 이로운 효과로 나타내고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EGCG가, U87사람의 교세포에서 포스포리파제 D의 효소활성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EGCG에 의한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화는 포스포리파제 C효소의 특이적인 억제제와 지질분해효소 활성이 억제제 포스포리파제 \gama1$의 변이체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세포내 칼슘에 의존적인 양상을 보였주었다. 이러한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화는 아마도 칼슘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 II (CaM kinase II)를 통하여 일어나는것으로 여겨진다. 흥미롭게도, EGCG는 포스포리파제 \gama1$를 세포질에서 세포막으로의 이동을 유도하였으며, 포스포리파제 \gama1$와 PLD1의 결합을 유도하였음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EGCG가 사람의 교세포에서 포스포리파제 \gama1$-칼슘-CaM kinase II의 신호전달 경로를 통하여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아실 시아노포스포레인과 아민 유도체로 부터 γ-아미노부틸산에서 유도된 포스포리파제 A2 저해제의 효과적인 합성 (An Efficient Synthesis of γ-Aminobutyric Acid-Derived Phospholipase A2 Inhibitors from Acyl Cyanophosphoranes and Amine Derivatives)

  • 이기승;김대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1-170
    • /
    • 2004
  • 일련의 유효한 ${\gamma}$-아미노부틸산에서 유도된 인간 시토솔릭 포스포리파제 A$_2$ 저해제를 아실 시아노포스포레인과 아민 유도체로 부터 수렴적으로 합성하였다. 저해제 내의 친전자적인 단편인 알파-케토 아미드 작용기는 불안정한 ${\alpha},{\beta}$-디케토 니트릴과 ${\gamma}$-아미노부틸산 삼차-부틸에스테르 유도체와의 직접 융합반응에 의하여 -78 $^{\circ}C$에서 양호한 수율로 합성하였다.

폴리아민에 의한 양배추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화 (Activation of Cabbage Phospholipase D by Polyamines)

  • 고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66-471
    • /
    • 2003
  • 양배추 포스포리파제 D(PLD)에 대한 포리아민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PLD 활성도는 phosphatidylcholine small unilamellar 베시클을 기질로 하여 pH- stat 방법으로 생성물질 phosphatidic acid를 적정하여 결정하였다. 양배추 PLD는 스퍼민 1 mM 농도에서 약 4배 활성화되었다. 이 스퍼민 효과는 전에 보고된 쥐 뇌 미토콘드리아 분획의 PLD 활성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양이온성 polypeptide인 polylysine과 polyhistidine에 의해서도 양배추 PLD가 상당히 활성화되는 것을 알았다. 특히 polyhistidine은 0.062 mM 농도에서 약 5.5배의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 이 포리아민 효과는 phosphatidylcholine/sodium dodecyl sulfate 혼합미셀계에서도 재확인하였다. 포리아민에 대한 PLD 활성화의 의미를 PLD 활성부위와 관계 지워 고찰하였다.

Taurodeoxycholate에 의한 뇌 포스포리파제 D의 용해: 몇 금속이온의 활성화 효과 (Solubilization of Brain Phospholipase D by Taurodeoxycholate: Activational Effect of Some Matal Ions)

  • 최석우;최명언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672-676
    • /
    • 1997
  • 쥐의 미크로좀 포스포리파제 D(PLD)를 센 이온세기 상태에서 0.2% taurodeoxycholate를 사용하여 용해시켰다.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은 기질로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 된 dipalmitoylphophatidylcholine을 사용하여 생성된 phosphatidic acid(PA)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용해된 PLD의 초적 pH와 온도는 각각 6.5와 30$^{\circ}C$로서 용해되기 전 미크로좀 상태의 PLD와 비슷하였다. 올레산의 활성화 효과는 4 mM 농도에서 관찰되었다. PLD 활성도에 미치는 금속이온 영향을 조사한 결과 $Mg^{2+},\; Ca^{2+},\; Sr^{2+}, \;Ba^{2+}$와 같은 알칼리 토금속은 모두 PA 생성을 촉진시킨 반면, $Cu^{2+},\; Cd^{2+},\; Al^{3+},\; Ni^{2+},\; V^{5+}$는 억제하였다.

  • PDF

포스포리파제 D 촉매반응에서 포스파티딜 전달반응 활성에 미치는 알코올의 영향 (Effect of Alcohols Toward the Transphosphatidylation Activity in Phospholipase D Catalyzed Reaction)

  • 고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08-214
    • /
    • 2010
  • 포스포리파제 D(PLD)는 알코올 존재 하에서 포스파티딜 전달반응이 일어나며 동시에 PLD의 전체 반응속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포스파티딜 전달반응을 자세히 구명하기위해 본 실험에서는 양배추에서 정제한 ${\alpha}$-type PLD를 가지고 여러 종류의 알코올 존재 하에서 포스파티딜 전달반응의 반응속도를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검토한 1차 알코올들에 의해 PLD의 포스파티딜 전달반응 속도는 기대했던 대로 크게 증가하였다. 부탄올의 경우 2차 반응속도는 $33.33{\pm}1.33M^{-1}sec^{-1}$로 얻어졌으며, 이 전달반응 속도를 물의 농도를 고려한 가수분해 속도($0.078M^{-1}sec^{-1}$)와 비교하면 무려 400배 이상의 격차를 보여주었다. 알코올의 $pK_a$과 포스파티딜 전달반응 속도와의 자유에너지 선형 관계로부터 브뢴스테드 ${\beta}_{nu}$$0.12{\pm}0.03$을 얻었다. 비교적 적은 ${\beta}_{nu}$ 값으로 미루어보아 끊어지는 포스파티딜-효소 중간체(E-P)의 전이상태는 상당히 해리된 상태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결과와 양배추 PLD의 활성부위의 히스티딘 잔기를 참작하여 양배추 PLD의 반응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방선균 분리주 No. 2511-5로부터 포스포리파제 C 저해물질 스코파훈진의 분리 (Isolation of Scopafungin, a Potent Inhibitor of Phospholipase C from Actinomycetes isolate No. 2511-5)

  • 오원근;이현선;안순철;김보연;박문수;민태익;안종석
    • 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54-559
    • /
    • 1995
  • MT 2511-5 was purified as a inhibitor of phospholipase C(PLC) from culture broth of a Streptmyces sp. NO. 2511-5. It was identified as scopafungin, 36-membered marcrolide by physico-chemical and spectroscopic data. Its $IC_{50}$ was 30.mu.M against phospholipase C and it also show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some fungi.

  • PDF

길이가 틀린 아실사슬을 갖는 콜린 인지질에 대한 포스포리파제 D의 반응성 (Reactivity of Phospholipase D toward Phosphatidylcholines with Different Length of Acyl Chains)

  • 고은희;박인숙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630-634
    • /
    • 1996
  • 양배추 포스포리파제 D의 기질특이성을 조사하기 위해 아실 사슬길이가 틀린 코린 인지질을 사용하여 그 반응성을 검토하였다. 선택한 아실 사슬은 포화지방산 $C_8:0,\;C_{12}:0,\;C_{16}:0,\;C_{20}:0$이었다. 이들 인지질들의 반응성은 계면활성제 Sodium dodecyl sulfate의 농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았으며, 아실 사슬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최적 PC : SDS의 농도비는 1:1.4, 1:2.2, 1:2.5, 1:3.6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효소의 최적활성을 나타내는 온도도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20$^{\circ}C$, 30$^{\circ}C$, 35$^{\circ}C$, 45$^{\circ}C$로 크게 변화하였다. 이와는 달리 최적 pH와 $Ca^{2+}$농도는 사슬길이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V_{max}$ 값은 아실 사슬의 기질이 가장 커 가수분해가 잘 일어남을 보여주었으며 사슬길이가 길어질수록 반응속도는 감소하였다.

  • PDF

HepG2 세포의 포스포리파제 D 활성과 자유 지방산 방출에 대한 디프테리아 독소의 영향 (Effect of Diphtheria Toxin on the Phospholipase D activity and Free Fatty Acid Release in HepG2 Cells)

  • 고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22-3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디프테리아 독소가 세포막의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epG2 세포에서 포스포리파제 D와 유리된 지방산(Free fatty acid)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지질변화는 pH 5.1에서 최고 값을 나타냈으며, 이 pH에서 포스포리파아제 D의 활성을 3.5배 가량, 유리된 지방산의 방출은 5배 정도 증가되었다. 이는 디프테리아 독소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세포막이 교란되어 재배열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세포막을 무작위로 교란시키는 디지토닌의 영향이 디프테리아 독소의 그것보다 중성 pH에서 4배 이상 상당히 높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디프테리아 독소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선택적인 교란 현상인 것으로 보여진다. 이런 세포막 교란의 연유를 밝히고자 세포막 구멍 형성 저해제인 cibacron blue와 세포막 융합 펩티드를 갖고 있는 hemagglutinin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Cibacron blue는 디프테리아 독소에 의한 지질 변화를 50% 정도 저해시켰으며, hemagglutinin에 의한 지질변화는 디프테리아 독소의 그것과 유사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들 결과들은 디프테리아 독소에 의한 세포막 교란이 구멍형성과 독소의 소수성 펩티드가 세포막에 삽입되는 과정이 서로 연계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그 외 일련의 실험으로 디프테리아 독소가 세포막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HepG2 세포의 투과성은 상승시켰으나, 세포의 생존능력은 상당히 높게 유지되었고 DNA 토막내기 같은 세포의 괴사는 일어나지 않았다. 이런 조건하에서 디프테리아 독소는 산성 pH에서 HepG2 세포의 지질의 변화를 가져 온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