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비돈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투관침 부위에 적용하는 포비돈 아이오딘과 클로르헥시딘-에탄올의 소독제 효과 연구 (Clinical Study Comparing the Skin Antiseptics of Povidone-iodine and Chlorhexidine-ethanol on Port Site)

  • 강민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80-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투관침 부위를 중심으로 복강경하 담낭절제술에 적용하는 소독제인 포비돈 아이오딘과 클로르헥시딘-에탄올에 따른 소독효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1개의 대학병원 외과에 입원한 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난수표를 이용하여 무작위 할당하였으며, 균의 배양과 동정, 균 수(CFU/ml) 측정, 수술부위감염 발생 유무를 통해 소독제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포비돈 아이오딘과 클로르헥시딘-에탄올은 소독 3분 후와 투관침 제거 전의 균 발생률, 균수 변화의 차이와 수술부위감염발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소독효과에 대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절한 소독제 선택시 소독효과 뿐만 아니라 비용적 측면과 사용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소독제의 효능과 사용방법에 대한 기초자료 및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소독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의의가 있다.

신생아에서 알코올 솜 및 포비돈 솜의 피부 소독효과 비교 (Effects of Cotton Balls of Alcohol and Povidone for Disinfectoin of Skin in Newborns)

  • 박규창;김창렬;김은아;오재원;염명걸;오성희;문수지;강정옥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6권1호
    • /
    • pp.116-122
    • /
    • 1999
  • 목 적 : 신생아 중환자에 대한 치료법이 급속도로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신생아 감염은 여전히 큰 문제이다. 특히 정맥천자나 여러 침습적 처치가 많은 신생아 중환자에서 이를 통해 피부 상주균에 의한 패혈증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시술상의 문제로 야기될 수 있지만 처치 전 소독제의 소독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병원에서 희석하여 사용하고 있는 알코올 솜은 공기중에 자주 노출되어 알코올 성분이 증발되기 쉬워 소독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포비돈 소독제가 알코올 소독제보다 소독력이 좋은 것이라는 가정하에 이 연구를 시행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및 신생아중 정맥 수액요법이 필요하였던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정맥 천자가 주로 시행되는 부위의 피부에서 멸균된 면봉으로 멸균 생리 식염수를 묻혀 피부를 문질러 배양 검사를 시행하였고 피부가 마른 후 무작위로 알코올군은 병원에서 희석하여 만든 70% 알코올 솜으로 닦고 마른 후 같은 방법으로 피부를 닦아 배양검사를 하였고(20례), 포비돈군은 10% 포비돈(1% iodine) 솜으로 닦고 마른 후 70% 알코올 솜으로 다시 닦아 마른 후 피부 배양검사를 하였다(20례). 대조군은 생리 식염수 솜으로 닦은 후 배양검사를 하였다(10례). 결 과 : 소독 전 알코올 군과 포비돈군 각각 20례중 9례에서 균이 자랐고, 대조군은 10례중 8례에서 균이 검출되었다. 소독후 알코올 군은 3례, 포비돈군 2례, 대조군은 8례에서 균이 계속 자라 세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87). 포비돈군의 소독효과는 알코올군과 비슷하였고, 대조군보다는 높았지만(p=0.0156), 알코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포비돈 솜의 소독효과는 알코올 솜과 비슷하였지만, 생리식염수 솜보다는 높았다. 그러나 알코올 솜의 소독효과는 생리식염수 솜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병원에서 사용되는 알코올의 순도, 알코올 솜의 정도관리, 소독방법 등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두 가지 알코올제제 손마찰과 포비돈 아이오다인의 외과적 손소독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Antimicrobial Effect of Two Waterless Alcohol-based Hand Rubs with a Povidone-Iodine Hand Scrub for Surgical Hand Antisepsis)

  • 주형례;정재심;김미나;박광옥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1호
    • /
    • pp.55-65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1% chlorhexidine gluconate/61% ethanol (CHG/ethanol), 45% ethanol/18% 1-propanol (ethanol/propanol) and 7.5% povidone-iodine (PVI) scrub with brush to evaluate their antimicrobial effect. Method: Utilizing repeated measures design, 9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Glove juice sampling procedure was used to evaluate microbial hand counts before the surgical hand antisepsis, one minute after hand wash, and after the surgery. Results: Waterless rub using CHG and ethanol combination resulted in a 3.94 log reduction at 1 min and 2.78 log reduction at 3 hrs. Ethanol/propanol resulted in a 2.42 at 1 min and 2.22 at 3 hrs. The traditional scrub using PVI with brush resulted in a 0.94 at 1 min and 0.95 at 3 hrs (p=.003) and 3 hrs (p=.026) after the surgical hand antisepsis.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 (p=.002). Duncan post hoc test result showed that the PVI was less effective (p<.05) in sterilizing microbials on hands than CHG/ethanol or ethanol/propanol. Conclusion: Both of the two alcohol-based antiseptic rubs are acceptable alternatives to the PVI with brush for surgical hand antisepsis.

지혈대 내측의 포비돈-요오드 용액에 의한 화학 화상 (1예 보고) (Povidone-Iodine related Chemical Burn under the Tourniquet (A Case Report))

  • 원종경;이강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0-192
    • /
    • 2012
  • In the extremity surgery, pneumatic tourniquet and povidone-iodine solution are commonly used to provide an aseptic, bloodless field, and their complication rate has remained low. However, chemical burn under tourniquet has been rarely reported. Patients sustained burn injuries over the dependent, weight-bearing regions such as posterior neck, back, buttocks and posterior thighs. This rare adverse complication occurred in a 22-year-old man who underwent modified Brostrom operation with arthroscopic os trigonum excision. 10% povidone-iodine was used as topical antiseptic, and full thickness burn occurred underneath the area of tourniquet application. Main causes of povidone-iodine related chemical burn are considered maceration, irritation of the skin, long term use of the tourniquet and pressure. To reduce the complications like chemical burn, awareness of the risk and the possible pathogenesis as well as the preventive measures is important in surgical practice.

난용성 약물의 용출 증가(제5보)-포비돈과의 혼합분쇄 또는 공침에 의한 푸로세미드의 용출 증대- (Enhancement of Dissolution Properties of Poorly Soluble Drugs (V)-Enhanced Dissolution of Furosemide by Cogrinding or Coprecipitating with Povidone-)

  • 신상철;오인준;고익배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0권4호
    • /
    • pp.193-198
    • /
    • 1990
  • To increase the dissolution rate of furosemide, cogrinding or coprecipitating of furosemide with povidone was carried out. The ground mixture of furosemide with povidone was prepared by cogrinding in a ceramic ball mill and the coprecipitate was prepared by solvent method using methanol. The povidone ground mixture and the coprecipitate showed a faster and more enhanced dissolution rate than the physical mixture or intact furosemide. The IR, DTA and TGA studies showed the physicochemical modifications of furosemide from the ground mixture and the coprecipitate. An interaction, in the ground mixture and in the coprecipitate, such as association between the functional groups of furosemide and povidone might occur in the molecular level. The coprecipitating and cogrinding techniques with povidone provided a promising way to increase the dissolution rate of poorly soluble drugs.

  • PDF

병원 간호사의 주요 피부소독제 인지도와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알코올, 클로르헥시딘, 베타딘을 중심으로 - (Affecting Factors on Hospital Nurses' Practice of Disinfection: Focused on Alcohol, Chlorhexidine Gulconate, and Povidone Iodine)

  • 최정실;안경주;박승미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125-133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on hospital nurses' practice of disinfection focused on alcohol, chlorhexidine gluconate (CHG), and povidone iodine (PVI).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6 nurses of 3 general hospitals and 2 upgrade general hospitals in 5 citie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 January, 201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18.0. Results: The subjects used alcohol and PVI daily for intravenous site care and surgical wound dressing respectively. The mean percentage of awareness in practicing main disinfectants were 80.0% and 72.5% respectively. The awareness and practice were highest in alcohol, but lowest in CHG. The mean percentage of practice of disinfectants was 72.5%.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awareness and practice of main disinfectants. The awareness and nurses' salary explained 34.6% of variance in practice of disinfectants. Conclusion: An educational program focusing on strategy to enhance hospital nurses' awareness w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practice of disinfectants.

피부 부착성 메칠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포비돈 필름으로부터의 질산에코나졸의 제어 방출 (Controlled Release of Econazole Nitrate from Skin Adhesive Methyl Methacrylate-Butyl Methacrylate Copolymer-Povidone Films)

  • 전인구;이지은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9권3호
    • /
    • pp.145-154
    • /
    • 1989
  • Methyl methacrylate-butyl methacrylate copolymer (MMBM)-povidone (PVP) films were investigated as a potential topical drug delivery system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econazole nitrate as a model drug. The effect of changes in film composition, drug concentration, film thickness, pH and temperature of release medium on the in vitro release of econazole nitrate were studied. The release rate constant was found to be increased with increasing povidone content in dry films. Drug release followed zero-order kinetics in the initial stage and then release rate increased gradually with time, espicially in the films having larger proportions of PVP. The release rate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drug content, film thickness, the pH and temperature of release medium. Antimicrobial test showed that microbial growth was inhibited markedly with increasing proportions of PVP in films. Also drug content and film thickness affec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 PDF

염소, 요오드, 일광, 건조 및 담수처리에 의한 White Spot Baculovirus(WSBV)의 불활성화 (Inactivation of White Spot Baculovirus(WSBV) by Chlorine, Iodine, Sunlight Exposure, Drying and Fresh Water)

  • 허문수;손상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7-102
    • /
    • 2000
  • WSBV를 염소소독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유효농도 5, 10, 30 ppm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처리한 결과 전혀 폐사가 일어나지 않았으나, 대조구에서는 전량 폐사되었다. 포비돈 요오드 10, 20, 30 ppm에서는 불활성화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유기물의 다량함유나 요오드 독성에 의해 시험새우가 폐사할 가능성이 있다. 일광소독에서는 2, 4시간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폐사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WSBV를 불활성화 시키는 것 같다. 건조처리에서는 1, 2, 3시간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WSBV가 불활성화가 되었다. 담수처리에서는 담수 60% 첨가한 시험구(비중 1.015)에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 PDF

배뇨 장애 치료를 위한 실로도신과 솔리페나신 숙신산염 함유한 새로운 복합 정제 개발 (Development of a novel combination tablet containing silodosin and solifenacin succinate for the treatment of urination disorder)

  • 최형주;이정균;김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23-33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배뇨장애 치료를 위한 실로도신과 솔리페나신 숙신산염을 함유한 새로운 복합 정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실로도신과 솔리페나신 숙신산염의 동시 정량법을 확립하였다. 두 약물은 다양한 완충액에서 1 mg/ml 이상의 수용해도 값을 나타내었으며, 실로도신과 솔리페나신 숙신산염이 함유된 시판제품의 용출은 다양한 용출조건에서 30분 이내에 완료되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부형제와 약물 간 상호 반응성을 확인하여 선정된, 약물과 반응성이 없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습식 과립화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제와 붕해제의 사용에 따른 다양한 처방을 제조한 후 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제조한 정제의 처방 중 실로도신, 솔리페나신 숙신산염, 유당, 미결정셀룰로오스 PH10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포비돈 K-30, 크로스포비돈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이 8/10/56/112/2/6/6/2(w/w)의 비율로 제조된 정제는 트루패스정(실로도신 시판 제품) 및 베시케어정(솔리페나신 숙신산염 시판 제품)과의 비교용출 시험시 동등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복합 정제는 각 약물의 시판 제품과 동등한 생체이용률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배뇨 장애 치료에 복약순응도가 우수한 의약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