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폐섬유증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2초

폐암을 동반한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에서 폐섬유증의 급성 악화: 폐암 비동반군과의 발병률, 생존율 및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의 비교 (Acute Exacerbation of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with Lung Cancer: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cidence, Survival Rate, and CT Findings with the Patients without Lung Cancer)

  • 조범상;강희;김제훈;박정구;박세경;윤종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688-700
    • /
    • 2020
  • 목적 폐암이 동반된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와 폐암 비동반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에서 폐섬유증 급성 악화의 발병률, 생존율 및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4년 6월부터 2018년 7월까지, 특발성 폐섬유증으로 진단받은 8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6명의 폐암 동반 특별 폐섬유증 환자군과 63명의 폐암 비동반 특발 폐섬유증 환자군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의 폐섬유증, 폐암, 급성 악화와 관련된 임상 검사 소견과 CT 소견을 검토하였다. 폐암 환자들은 1차 또는 2차 치료로 수술(n = 6), 항암치료(n = 23) 등을 받았다. 두 군 간에 생존율, 급성 악화의 CT 소견, 무병 기간과 급성 악화 발병 이후 사망까지의 시간을 비교하였다. 결과 급성 악화의 발병률은 폐암 동반군에서는 61.5%, 비동반군에서는 58.7%였다(p = 0.806). 폐암 동반군과 비동반군의 평균 생존 기간은 각각 16.8개월과 83.0개월이었다(p < 0.001). 치료 시작부터 급성 악화까지의 기간은 수술과 항암치료에서 각각 16.0개월과 4.6개월이었다. 급성 악화에 의한 사망을 비교하였을 때, 생존율은 폐암 동반군이 비동반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 = 0.008). 급성 악화의 CT 소견은 폐암 동반군에서 기관지 주위 분포(p < 0.001)와 비대칭 분포(p = 0.016)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결론 폐암을 동반한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에서, 급성 악화에 의한 사망률이 폐암 비동반 특발 폐섬유증 환자들보다 높았다. 또한, 기관지 주위 또는 비대칭 분포의 CT 소견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인체 특발성 폐섬유증에서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의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n Human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 박성수;신동호;김태화;이동후;이정희;이중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2호
    • /
    • pp.185-191
    • /
    • 1993
  • 연구배경 : ICAM-1은 90 kD의 당단백으로서 ${\beta}_2$ integrin과 관계를 가지며, 특발성 폐섬유증의 병인론에 있어서 ICAM-1의 발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발성 폐섬유종에 있어서 ICAM-1의 발현 정도는 상향조절된다. 특발성 폐섬유증에 있어서 ICAM-1의 발현 양상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방법 : 본 연구는 특발성 폐섬유증에 있어서 ICAM-1의 발현 양상을 연구하고자 개흉폐생검으로 채취된 특발성 간질성 폐섬유증 3예의 6절편과 폐절제시 채취한 3예의 정상조직을 연구재료로 하여 ICAM-1의 단세포군항체를 이용하여 연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실시하였다. 결과 : ICAM-1은 3예의 정상조직의 기관지 상피세포나 폐포 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3예의 특발성 폐섬유증 6절편 중 5절편에서 폐포벽의 간질성 섬유아 세포들에서 발현되었고, 1절편에서는 증식된 폐포내 폐포세포에서 발현되었다. 그 정도는 비균질적인 양상을 보였다. 3예의 6절편 중 5절편에서 강한 발현을 1절편에서는 약한 발현정도를 나타냈다. 결론 :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ICAM-1의 발현 증가는 특발성 폐섬유증의 병인과 상당한 관련이 있음을 암시해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Flavanone의 폐섬유증 치료물질로의 유용성 (Efficacy of flavanone as a treatment for pulmonary fibrosis)

  • 김희영;정혜린;김영미;조문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357-365
    • /
    • 2022
  • Flavonoid 골격 중 flavanone과 flavone 골격 화합들의 유용성과 가능성에 대해 여러 연구들이 되어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폐섬유화에 대한 치료물질로서 효능이 있는 flavanone 및 flavone 골격 유래 화합물들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Flavanone 및 flavone 골격 유래 화합물들이 폐섬유화 억제 효능이 있는지 탐색하기 위해 폐섬유화 유도 물질인 bleomycin과 TGF-β1으로 자극한 A549 세포에서 flavanone 및 flavone 골격 유래 화합물들에 의해 폐섬유증 마커들을 약화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를 종합해보면 7,2',3'-trimethoxyflavanone(ICC no. 3), 7,3'-dimethoxyflavone (ICC no. 5), 2'-hydroxyflavanone (ICC no. 6)은 폐섬유화 유도관련 단백질 마커들의 발현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flavanone과 flavone 골격 화합물 중 3가지가 폐섬유증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간질성 폐질환환자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의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Lung Diseases (ILD))

  • 박성수;이경상;양석철;윤호주;신동호;이동후;이중달;이정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2호
    • /
    • pp.164-172
    • /
    • 1996
  • 연구배경 : TGF-$\beta$는 25kD의 단백으로써, 폐섬유증의 병인에 있어 TGF-$\beta$의 발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TGF-$\beta$는 세포외 분자들의 합성 및 생산을 촉진할 뿐만아니라 세포간질의 붕괴를 감소시킨다. 특발성 폐섬유증을 포함한 다른원인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의 폐섬유증에 있어 TGF-$\beta$의 발현양상은 상향조절된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방법 : 본연구는 특발성 폐섬유증과, bleomycin, 유육종증, 및 폐의 호산구성 육아종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에 있어서 TGF-$\beta$의 발현 양상를 연구하고자 개흉 폐생검으로 채취된 특발성 간질성 폐섬유증 3예의 6절편과 폐절제시 채취한 5예의 정상조직을 연구재료로 하였고 bleomycin, 유육종증 및 폐의 호산구성 육아종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환자 각각 3예로부터 얻은 6절편에서 TGF-$\beta$의 단세포군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실시하였다 결과 : TGF-$\beta$은 5예의 정상조직의 기관지 상피세포나 폐포세포에서는 약하거나 중등도로 발현되었다. 3예의 특발성 폐섬유증 6절편 중 5절편에서 폐포벽의 간질성 섬유모세포들에서 발현되었고, 1절편에서는 증식된 폐포내 폐포세포에서 발현되었으며 그 정도는 비균질적인 양상을 보였다. 3예의 6절편 중 5절편에서 강한발현을 1절편에서는 중등도의 발현을 나타냈으며 bleomycin이 원인이 되는 간질성 폐질환 6절편중 2절편에서는 중등도의 발현을 4절편에서는 강한발현을 보였고, 유육종증이 원인이 되는 간질성 폐질환 6절편 중 3절편에서 중등도의 발현을, 3절편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다. 폐의 호산구성 육이종이 원인이 되는 간질성 폐질환 6절편중 2절편에서 중등도의 발현을, 4절편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다. 결론 : TGF-$\beta$의 발현 증가는 특발성 폐섬유증, bleomycin, 유육종증 및 폐의 호산구성 육아종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에 있어서 폐섬유증의 병인과 상당한 관련이 있음을 암시해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특발폐섬유증 진단의 최신 지견과 간질성폐이상 (Update in Diagnosis of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and Interstitial Lung Abnormality)

  • 남보다;황정화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770-790
    • /
    • 2021
  • 최신 국제 임상진료지침을 기반으로 한 특발폐섬유증의 진단은 부합하는 임상 소견과 함께 고해상 CT에서 전형적인 상용간질폐렴 소견을 보일 때 조직학적 폐 생검 없이 진단 가능하다. 영상 검사는 특발폐섬유증의 평가 및 진단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임상적, 영상의학적 및 병리학적 소견에 대한 다학제 검토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간질성폐이상(interstitial lung abnormality)은 우연히 발견된 영상의학적 이상 소견을 지칭하며, 간질성폐이상과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간질폐질환에 대한 구분은 적절한 임상 평가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저자들은 이번 종설을 통하여 특발폐섬유증 진단의 최신 지견 및 간질성폐이상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미만성 간질폐섬유증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및 예후 증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정량적 방법에 의한 미만성 폐질환 진단 (Diagnosis of Diffuse Lung Disease by Quantitative Analysis)

  • 원철호;김명남;이종민;최태진;강덕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45-557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호흡 연동 장치와 EBT로부터 획득한 폐실질 영상에 대하여 동적 윤곽선 모델 방법과 영역 성장법을 이용하여 폐실질 영역을 검출하였다. 그런 다음 , 검출된 폐실질 영역내에서의 각종 정량적 요소들을 도출하여 농도 분포 곡선에대한 분석을 하였다. 동적 윤곽선 모델방법에서 페실질 영역의 낮은 휘도 준위와 폐의 윤곽선 벡터 방향을 고려한 에너지 함수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폐실질 영역 성장법에서는 폐실질 영역내의 분포한 공기 성분에 대한 화소를 확장시켜 효과적으로 폐실질 영역을 검출하였다. 추출된 폐실질 영역내의 빈도 분포 곡선을 분석하여 정상군과 비교한 결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에서는 정상인에 비하여 평균 농도,최대 빈도 농도, 최대 상승 기울기 농도가 낮았으며, 농도 분포곡선은 더 낮은 쪽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에서는 평균 농도, 최대 빈도 농도, 최대 상승 기울기 농도가 모두 증가되었고 농도 분포 곡선은 더 높은쪽으로 이동하였다. 폐실질 영역을 추출하여 히스토그램 분포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함으로써 정상인으로부터 만성 폐쇄성 질환자의 폐섬유증 환자를 구분할 수 있었다.

  • PDF

폐섬유증에 동반된 기관거대증과 재발성 종격동기종 1예 (A Case of Tracheomegaly and Recurrent Pneumomediastinum Combined with Pulmonary Fibrosis)

  • 전성란;어수택;김기업;이영목;김양기;정은정;김지연;박의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2호
    • /
    • pp.144-148
    • /
    • 2008
  • 저자들은 류마티스 관절염에 동반된 폐섬유증을 진단받은 환자에서 기관거대증과 자발성 종격동기종이 재발되는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진폐증환자에서의 임파구 분획 및 싸이토카인의 역할 (The Role of Lymphocyte Compartment and Cytokine in Coal Workers Pneumoconiosis)

  • 이정연;유광하;안해련;김성렬;이해운;안철민;김형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3호
    • /
    • pp.241-250
    • /
    • 2002
  • 연구배경 : 진폐증은 주로 분진흡입에 의해 폐실질에 섬유화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만성염증에 의해 폐포내에 대식세포를 축적시키는 특정이 있으며, 크게 단순진폐증(SP)과 진행성 종괴성 폐섬유증(PMF)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진폐증 환자에서 질환의 심한 정도를 ILO 분류에 따라 SP, PMF로 구분한 후, 감염이나 기타 기저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혈중 임파구 분획 및 싸이토카인의 농도를 비교한 것이다. 방 법 : 태백 중앙 병원과 영동 병원의 진폐증 환자 중 정밀 검사를 시행하기 위해 병원을 방문한 단순진폐증 환자와 입원 중이거나 정밀검사를 시행한 진행성 종괴성 폐섬유증 환자,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C;10), 단순진폐증 (S;19), 진행성 종괴성 폐섬유증 (P;30명)에서 혈중 임파구 분획을, C(10), S(14), P(14명)에서 싸이토카인 (IFN-${\gamma}$, TNF-${\alpha}$, IL-6, IL-4))의 농도를 비교하고, 특히 흡연력이나 연령, 폐기능에 의해 변할 수 있는 싸이토카인의 변화를 동시에 고려하여 진폐증의 심한 정도와의 연관성을 관찰하였다. 결 과 : C, S, P 3 군간의 B-임파구, T, $T_H$, Ts, 및 NK-세포를 측정하였을 때 대조군과 단순진폐증환자 사이에서 T, $T_H$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며(P<.01) $T_H$는 두 군간에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나(P<.01), S, P 두 군 사이에는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세 군 사이의 싸이토카인 분비 양상은 통계학적인 의의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 론 : 혈청 임파구 분획은 C군과 비교하여 S군에서 T, $T_H$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며 Ts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진폐증의 진행 초기에 이들이 연관성이 있다고 추측되어진다.

미만성 간질성 폐섬유증의 경과 관찰에서의 고해상도 CT(HRCT)의 의의 (The Role of HRCT in the Follow-Up Evaluation of Diffuse Interstitial Pulmonary Fibrosis)

  • 김홍규;곽승민;송군식;임채만;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6호
    • /
    • pp.597-603
    • /
    • 1994
  • 연구배경 : 최근 HRCT의 개발로 폐실질의 미세한 변화까지 관찰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비침습적 방법으로 용이하게 여러번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HRCT가 다른 검사보다 병의 경과, 또는 스테로이드 등 치료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폐섬유증으로 진단받고 두번 이상 HRCT를 시행하였던 환자 13명에 대하여 치료 전후의 임상 증상(호흡 곤란 지수)의 변화, 폐기능 검사 소견의 변화와 영상 분석기로 측정한 HRCT상의 병변 범위의 변화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1) 영상 분석기를 이용한 HRCT에서의 병변 범위 변화와 호흡 곤란 지수의 변화는 r=0.716, p=0.0012로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2) 호흡 곤란 지수의 변화와 확산능 변화 사이에는 r=-0.707, p=0.0047로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HRCT의 변화와 폐확산능의 변화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FVC나 TLC는 뚜렷한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결론: HRCT의 변화는 임상 증상의 변화 및 폐확산능의 변화와 서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는 것을 알았고, 향후 환자의 경과 관찰에 임상 증상, 폐확산능 및 HRCT의 추적 검사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