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화의댐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valuation of the current and potential flood storage effect (평화의댐의 현재 및 잠재 홍수저류효과 평가)

  • Shin, Hyunsun;Lee, Jinwook;Cho, Eunsae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89-389
    • /
    • 2019
  • 평화의댐은 발전 기능이나 수문 조작 등 인위적인 기능이 전혀 없기 때문에 단순히 홍수조절용댐으로 분류된다. 평화의댐의 여수로는 일반적인 댐과는 달리 임남댐에 대응하기 위한 단계별 건설계획을 고려하여 댐 우안부에 배수터널 형식으로 건설되었다. 현재 평화의댐은 4련의 배수터널(직경 10 m)을 통해서 상류의 유입량을 하류로 방류하고 있다. 방류 능력을 초과하는 홍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일시적인 저류를 통한 제한적인 홍수조절을 수행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크지 않다. 향후 남북한 관계 개선으로 임남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평화의댐을 보통의 다목적댐과 같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화의댐을 일반 다목적댐처럼 활용할 수 있는 상황을 가정하고, 일련의 운영방식을 적용하여 운영 방식 변경 전후의 댐의 홍수저류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댐의 설계빈도인 200년 빈도의 강우에 대해 모의하고, 여러 가지 시나리오별 저류량-방류량 관계를 구축하였다. 최종적으로 비선형 저수지 모형에 적용하여 댐 저류효과를 정량화하고, 현재 및 잠재 홍수저류효과에 대해 비교하고 토의하였다.

  • PDF

Utilization of Peace Dam for Conservation Purpose (이수측면에서 평화의댐 활용방안 연구)

  • Yi, Jae-Eung;Lim, Dong-Sun;Lee, Jong-T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8
    • /
    • pp.653-662
    • /
    • 2004
  • In this study,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flood control as well as conservation effects is studied by joint operation of Hwacheon and Peace Dam. After completing the second pha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 Dam, the dam crest height will be increased from 225m and the storage capacity will also be increased. If storage capacity is increased and gates are installed, it will assist not only flood control but also conservation of the entire Han river basin. Considering the change of conservation levels, the change of the restricted water level of the Hwacheon Dam in flood season, and the inflow change into the Peace Dam through the simulated reservoir operation, the annual average power of Hwacheon Dam with 95% reliability, annual firm power, the volume of water supply is calculated. As a result, when the conservation level of the Peace Dam and the restricted water level of the Hwacheon Dam are increased, the generation capacity will be improved. However, even though the inflow decrease, the generation capacity will not be affected. If the inflow decrease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water supply capability will be reduced to the range from 35% to 40%.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onservation level to keep the same water supply capability.

Application of the GSSHA model for the long-term simulation of discharge and water quality at the Peace dam (평화의댐 장기 유출과 수질 모의를 위한 GSSHA 모형의 적용)

  • Jang, Suk Hwan;Oh, Kyoung Doo;Lee, Jae-kyoung;Jo, Jun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33-333
    • /
    • 2020
  • 미계측 유역의 수문순환이나 수질을 모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특히 장기간에 걸쳐 모의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인 평화의댐 유역을 대상으로 물리적인 과정 기반의 분포형 수문 모형 GSSHA의 장기 유출과 수질 모의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분포형 유역 모형 GSSHA를 평화의댐 유역에 적용하여 유량과 수질 모의치를 실측치와 비교한 결과 소규모 호우로부터의 첨두유량을 과대하게 모의하거나 실측된 수질 자료와 일부 구간에서 다른 경향성을 보이는 등 일부 불일치하는 사항들이 나타났으나 모의된 주요 호우의 첨두유량과 기저유출의 전반적인 수문곡선 형태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실무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the GSSHA model for the long-term simulation of discharge and water quality at the Peace dam (평화의댐 장기 유출과 수질 모의를 위한 GSSHA 모형의 적용)

  • Jang, Suk Hwan;Oh, Kyoung Doo;Jo, Jun 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5
    • /
    • pp.357-367
    • /
    • 2020
  • It is usually not easy to simulate the hydrologic cycle or water quality for ungaged watersheds, especially for long-term simulation. In this paper we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GSSHA, a process-base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for the long-term discharge and water quality simulation for the ungaged Peace dam watershed.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imulated discharge and water quality series with measured ones, we concluded that with its overall fair performance on simulating hydrograph patterns of the peak discharges and base flows for major storms the GSSHA model showed some possibility to be used as a watershed model even with its overestimation of peak discharges for small storms and different trends of simulated water quality from measured ones for some periods.

The Decision of Pyeunghwa Dam's Discharge Rate Considering Hwachun Dam Stage (화천댐수위를 고려한 평화의 댐 방류량 산정방법)

  • Lee, Eul-Rae;Yoo, Yang-Soo;Park, Myung-Ky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001-1005
    • /
    • 2005
  • 현재 평화의 댐 배수터널은 직경 10m 원형 x 4 련의 콘크리트 라이닝 터널로 구성되어 있다. 배수터널내의 흐름특성은 터널직경, 모양, 터널결사, 조도계수 및 입구부와 출구부의 기하학적 성질, 터널의 상류수위와 하류수위 등에 따라 개수로 혹은 관수로의 흐름특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터널내의 흐름은 각각의 경우에 따른 수리학적 해석이 달리 적용되어진다. 화천댐의 수위와 연계하여 평화의 댐 방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상$\cdot$하류 수위에 따른 관로내의 흐름특성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바 이에 따른 수리학적 검토가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터널의 흐름별로 계산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상$\cdot$하류의 수위와 단면형태를 고려하여 먼저 배수터널내의 흐름특성을 규명한 다음 그에 합당한 유량산정공식으로 배수터널 내에서 유하하는 흐름의 유량값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검토에서 구축된 계산절차에 의해서 평화의 댐 수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점인 2002년 1월, 6월 그리고 2004년 8월 시점의 평화의 댐, 화천댐의 수위를 검토하여 방류량을 산정하였다. 평화의 댐에서는 방류량을 결정하기 위한 계측시설이 없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하류부의 화천댐 유입량과 비교를 수행하게 된다. 강우가 지속되면서 화천댐의 유입량이 증가를 하게 되는데 화천댐 유역의 국지적인 호우에 따른 유입량으로 판단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화천댐 유입량과 계산된 평화의 댐 방류량에서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산정법을 바탕으로 하여 강우에 따른 평화의 댐 방류량을 정확히 산정함으로서 댐유역의 비상사태 발생 또는 임남댐의 방류 등을 추정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2$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도가 $100\%$일 때가 밸브를 $60\%$$80\%$ 개폐시켰을 때보다 $0.3kg/cm^2,\;0.29kg/cm^2$ 낮게 나타나 밸브를 전체 개방 했을 때 관로내의 수압이 상수설계기준에 적합한 수압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

  • PDF

Fish Community Analysis in the Peace Dam (평화의 댐 어류군집 분석)

  • Lee, Kwang-Yeol;Jang, Young-Su;Choi, Eui-Yong;Seo, Jin-Won;Choi, Jae-Seo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8 no.3 s.113
    • /
    • pp.297-303
    • /
    • 2005
  • The analysis of fish community structure in the Peace Dam, Korea, was investigated from April 2003 to September 2004. Eight families and 31 species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surveyed. Korean endemic species were 13 and the relative abundance was 41.9% of the total, along with Hemibarbus mylodon, Acheilognathus yamatsutae and Coreoleuciscus splendidus. Dominant was Hemibarbus labeo (14.1%) and subdominant species was Zacco temmincki (13.7%). Also, Z. platypus (11.9%), H. longirostris (9.3%), and Siniperca scherzeri (8.1%), were numerous. The biomass of collected fishes were H. labeo (24,278 g), S. scherzeri (19,487 g), Anguilla japonica (10,400 g), Cyprinus carpio (8,418 g), and Carassius auratus (4,020 g), According to the community analyses, the artificial reservoir with in the Bukhan River system were divided into 2 groups by unweighted pair-group method analysis (UPGMA), and it revealed that the community structure in Peace Dam was similar to those in Soyang and Paro Reservoirs.

Domestic Application Plan Research of Basin Share Flood Detention Dam (유역분담 홍수저류지 국내적용 방안 연구)

  • Choi, Eun-Tack;Kim, Yong-Myung;Kim, Man-G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13-2018
    • /
    • 2007
  • 최근에 발생하는 홍수특성은 단기간의 국지성 집중호우로 본류 대하천보다는 상류지역 지류하천이 특히 취약하여 이에 대해 하류보다는 상류, 본류보다는 지류위주로 과거와 다른 치수정책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과거 치수대책이 제방위주의 선적인 개념에서 면적인 개념의 유역치수 중심의 방어형태로 추진하고 있으나, 상류지류 하천에 대한 홍수방어 계획은 부족한 실정이다. 지류하천에 홍수가 발생하면 홍수도달시간이 짧아 첨단홍수예보시스템으로도 대처가 곤란한 문제가 있으며, 이외에도 홍수와 함께 산사태가 빈번히 발생되고 토석류, 유목류가 한꺼번에 동반 유입되어 인명과 재산피해가 크게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작년 7월 강원지역 집중호우에서도 인제군, 평창군 등 지류에 인명과 재산피해가 크게 발생한 것도 이와는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은 기상적 측면이 아니더라도 우리나라는 하천경사가 급하고 산지가 국토의 약 70%로 구성되어 있어 지형적 측면에서 평화의댐(지체댐), 군남홍수조절지, 한탄강 홍수조절댐 등 대규모 홍수방어댐 도입시 홍수조절 효과가 우수하나, 대규모 댐건설에 따른 지역민의 불신, 환경단체 반발, 사회적 미합의 등 현실적인 제약조건이 많으므로 현실적이고 상류지역 지류하천에 효과적인 홍수조절을 위해서는 보호하고자 하는 도시 및 주요시설물시설에 대하여 소규모 홍수저류지(Detention Dam)를 상류 지류하천에 단일 또는 군(群)으로 도입하여 설치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소규모의 홍수저류지는 평상시에는 자연상태와 같이 전량 방류하고 갑작스런 홍수발생시 첨두홍수량을 지체하거나 감소시켜 하류지역에 홍수피해를 줄이는 시설로 기존의 댐보다는 규모가 적고 평상시에는 자연하천과 같이 물을 담지 않아 환경변화에 의한 영향이 적어 사회적 합의가 유리하고 친환경적이며, 홍수기에는 비어 있는 저류용량을 전량 활용이 가능하여 저수규모에 비해 홍수조절효과는 큰 장점이 있다. 특히 홍수조절의 본래 목적 외에도 초목류, 토석류 및 각종 부유쓰레기를 차단하는 사방댐 역할과 하류하천의 퇴사량 감소 등 다방면으로 효과가 있어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 외국에 도입된 홍수저류지 사례를 조사 및 검토하여 국내에 적용 가능한 유역분담형 홍수저류지 규모 및 방식, 홍수저류지 도입방안과 향후 연구방향 제시하였다.

  • PDF

Evaluation of instream flow in Han river according to the Imnam dam operation in North Korea (북한 임남댐 운영에 따른 북한강 하천유지유량 평가)

  • Lee, Jae-Kyoung;Jang, Suk Hwan;Ihm, Nam-J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1
    • /
    • pp.71-82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stream flow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Imnam Dam in North Korea. The water budget and instream flow satisfaction were analyzed using hourly, daily and monthly data of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from Jan. 1991 to Dec. 2018. As a analysis result of water budget using hourly data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although inflows compared with dam release in the upstream basin of Peace Dam-Hwacheon Dam and Chuncheon Dam-Soyanggang Dam-Uiam Dam were calculated as negative values, the reasonable results using daily and monthly average data were estimated. It showed that the results of water budget analysis of dam inflow and total release may be different by time units of data. The monthly average inflow of Hwacheon Dam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construction in 2003 of Imnam Dam, which confirmed that the operation of Imnam D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ams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The operation of Imnam Dam i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lack of instream flow and total shortage amounts and shortage period increased up to +330% due to the decrease in inflow and total release of dams in the North Han River water after the operation of Imnam Dam.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plans to secure instream flow including transboundary river management

Assessment of Radar AWS Rainrate for Streamflow Simulation on Ungauged Basin (미계측 유역의 유출모의를 위한 RAR 자료의 적용성 평가 연구)

  • Lee, Byong-Ju;Ko, Hye-Young;Chang, Ki-Ho;Choi, Young-Je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9
    • /
    • pp.721-730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vailability of streamflow simulation using Radar-AWS Rain rate (RAR) data which is produced by KMA on real-time. Chuncheon dam upstream basin is selected as study area and total area is 4859.73 $km^2$. Mean Areal Precipitation (MAP) using AWS and RAR are calculated on 5 subbasin. The correlationship of hourly MAPs between AWS and RAR is weak on ungauged subbasins but that is relatively high on gauged ones. We evaluated the simulated discharge using the MAPs derived from two data types during flood season from 2006 to 2009. The simulated discharges using AWS on Chuncheon dam (gauged basin) are well fitted with measured ones. In some cases, however, discharges using AWS on Hwacheon dam and Pyeonghwa dam with some ungauged subbasins are overestimated on the other hand, ones using RAR in the same case are well fitted with measured ones. The hourly RAR data is useful for the real-time river forecast on the ungauged basin in view of th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