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야부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Flood Runoff Analysis using TOPMODEL Linked with Muskingum Method - Anseong-cheon Watershed - (TOPMODEL과 Muskingum 기법을 연계한 안성천 유역의 홍수유출 분석)

  • Kwon, Hyung-Joong;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1
    • /
    • pp.1-11
    • /
    • 2003
  • In this study, TOPMODEL(TOPography based hydrologic MODEL) was tested linked with Muskingum river routing technique for $581.7km^2$ Anseong-cheon watershed. Linear trend surface interpolation was used to give flow direction for flat areas located in downstream watershed. MDF (multiple flow direction) algorithm was adopted to derive the distribution of ln(a/$tan{\beta}$) values of the model. Because the coarser DEM resolution, the greater information loss, the watershed was divided into subwaterhseds to keep DEM resolution, and the simulation result of the upstream watershed was transferred to downstream watershed by Muskingum techniques. Relative error of the simulated result by 500 m DEM resolution showed 27.2 %. On the other hand, the relative error of the simulated result of 300 m DEM resolution by linked 2 subwatersheds with Muskingum method showed 15.8 %.

  • PDF

Approach to intergrative rural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통합 농업용수관리 정보시스템 구축방안)

  • Lee, Sung-Hee;Oh, Chang-Jo;Choi, Hyu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1-231
    • /
    • 2011
  • 우리나라 수자원이용량의 47%를 차지하고 있는 농업용수는 공사관리지역(64%)와 지자체관리 지역(36%)으로 이원화 되어 있고, 공사관리지역은 2000년 이전 103개 농지개량조합이 개별적으로 관리하다가, 2000년 이후 농업용수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2000년에 3개기관(농지개량조합, 농지 개량조합연합회, 농어촌진흥공사)이 통합하여 현재 한국농어촌공사가 되었다. 2000년 이전 103개 조합에서 저수지, 양배수장 등 수리시설물과 용배수로 등 평야부 시설물에 대한 각종 정보가 통합적으로 관리가 되지 못하였고, 매년 발간되는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통계연보를 통해서 체계적인 관리가 되어왔다. 2000년 이후 통합 공사가 출범하면서 전국단위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관리가 가능해졌으나, 농업용수 정보(자료)가 개별 조합별로 산재되어 있고 전산화 되어 있지 못하였으며, 시설물의 설치년도가 오래된 경우 자료자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고, 소규모 시설의 경우 정보(자료)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효용성에 대한 인식이 낮으므로 하여 농업용수관리 정보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초적인 정보(자료)관리 구축이 되지 못한 상황에서 개별 시설물 또는 수계별로 이 치수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구축에도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이는 공사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의 우려와 비판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우선 지난 10년 동안 농업용수관리의 기초적인 정보(자료) 관리 구축을 실시하여 수원공과 평야부 시설에 대한 정보구축을 실시하였고, 각 사업별로 RIMS, RAWRIS, TIMS, 지하수넷, UIRRI, 4대강상황실 등의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Post 4대강, 유역통합관리 등 수자원환경의 내외적인 여건변화에 맞춰, 2010년 부터 개별 시스템에 대한 통합 농업용수관리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있고, 금번 마스터 플랜수립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게 되면 명실상부한 농업용수분야의 최상위 시스템으로 자리매김 될 것이다.

  • PDF

Irrigation efficiency on agricultural water supply of pumping station using SWMM (SWMM 모델을 이용한 양수장 농업용수 공급시나리오별 관개효율 분석)

  • Shin, Ji-Hyeon;Nam, Won-Ho;Hwang, Su-Jung;Jeon, Min-Gi;Bang, Na-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86-186
    • /
    • 2021
  • 농업가뭄은 관측과 예측이 용이하지 않고 정량적으로 나타내기도 어려운 자연현상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농업용수 이용량이 많고, 농업용 저수지, 양수장 등 이용형태가 다양하므로 강수 부족으로 농업가뭄이 발생한다고 해도 실제로 농업현장에서 느끼는 가뭄은 시·공간적으로 다를 수 있다. 농업용수 공급은 수문관리원이 경험을 통한 수문관리를 해오고 있으며, 그 방법 또한 정확한 계측이 아닌 경험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공급량 관리가 정성적이고 제한적인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수원공에서 수로조직 및 포장에 이르기까지의 용수공급 모의를 통해 농업용수 공급의 합리적인 분배, 말단 수로 및 포장까지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한 물공급 및 분배 효율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 농업용 수리시설물의 물 공급 능력 평가 및 들녘단위의 평야부 물 부족지역과 과잉공급된 지역의 정확한 파악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농업용 저수지 및 양수장의 주목적인 관할 수혜구역에 대한 농업용수공급 안정성 및 관개효율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주지역의 덕가 저수지를 대상으로 양수장 위치에 따라 가상의 3가지 용수공급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각 시나리오별 수로 네트워크 모의를 통해 평야부의 공급량 및 관개효율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농업기반시설관리시스템 (Rural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RIMS) 저수율 데이터를 구축하였고, 유체의 흐름에 대한 수리적 특성을 모의할 수 있는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통해 관개기 동안의 농업용수 분배 모의와 공급효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The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s of Coastal Alluvial Plain: Sand Dune Area and Allurial Plain in Bulgap River Catchment in South Jeolla Province (소규모 임해충적평야의 수리체계 -불갑천 하류의 충적지와 해안사구를 중심으로-)

  • Kahng Taygyo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6 s.105
    • /
    • pp.863-872
    • /
    • 2004
  • The coastal alluvial plain, sand dune, tidal nat might be the most prominent coastal landscape in western coast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s of the alluvial plain in the tidal coast. This study is concerned on the geomorphological and cultural landscapes of the alluvial plain in the western coast of the South Jeolla Province. The alluvial deposits have developed mainly by the actions of tidal currents, rather than transporting sediments by stream. The transformation of plain has been affected by human agency since 1920's. Dwellers have constructed the reservoir, banks, dammed pools, lock gates, and tide-dykes for the reclamation, irrigation, and drainage on the alluvial plain, coastal sanddune, and tidal flats.

Sedimentary Facies and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Alluvial Plain at Neungsan-ri, Buyeo, Korea (부여 능산리 충적평야 퇴적상과 지형발달)

  • Yoon, Soon-Ock;Kim, Ae-Sun;Hwang, Sang-Ill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24 no.1
    • /
    • pp.35-45
    • /
    • 2010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clarify the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a alluvial plain and discuss the vegetation environments and agriculture activities in the Wangpo-River alluvial plain at Neungsan-ri, Buyeo by analyzing geomorphological classification, sedimentary facies and age datings. The alluvial plain at Wangpo-River was formed by the influences of Geum-River with the sea-level rising during the Holocene. The basin of Wangpo-River consists of natural levees, back marsh-type alluvial plains, valley plains and hills. The natural levees by Geum-River largely distributes at the area where Wangpo-River flows to Geum-River and the alluvial plains at the middle and lower reach are the back marsh areas of Geum-River. Moreover, the area along Wangpo-River show higher contents of coarse materials and thinner peat sediments than the back marsh. The lower sandy deposits in the alluvium of Wangpo-River was formed with the influences of human in the Bronze Age during the sea level falling and the peaty deposits was formed due to the water level rising of Wangpo-River during the sea level rising in the early Iron 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