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면기하

Search Result 34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폴리곤기반 CGH 생성에서의 실용적인 준해석적 텍스쳐링

  • O, Seung-Taek;Yeom, Han-Ju;Jeon, Sang-Hun;Park, Ju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567-57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폴리곤기반 CGH 생성에서 텍스쳐 적용을 위한 준해석적 기법을 소개한다. 각각의 단위 폴리곤의 근방에서 폴리곤에 의해 회절되는 파면을 서로 독립인 기하학적 필드와 텍스쳐 필드의 곱으로 표현한다. 기하학적 필드는 기존의 해석적 방법을 적용하고 텍스쳐필드는 FFT 기반의 비해석적 방법을 적용하여 폴리곤 근방에서의 각스펙트럼을 얻고 이들의 FFT기반 합성곱을 통해 폴리곤 근방의 텍스쳐가 포함된 폴리곤의 회절 파면을 얻고 이를 홀로그램 평면까지 진행시켜 최종 홀로그램을 생성한다. 본 방법은 기하학적 필드에 해석적 방법을 적용하여 FFT기반의 비해석적 방법에 비해 복원 영상의 품질이 우수하며 CGH 생성속도 측면에서는 텍스쳐가 없는 경우의 해석적 방법과 유사하며 텍스쳐 이미지의 해상도에 상관없이 홀로그램 해상도에만 의존하는 장점이 있다.

  • PDF

A Study on Fashion Design of Spatial Moulding Form (공간적 조형 형태의 복식 디자인의 연구 - 관두의 형식의 구조를 중심으로 -)

  • 안선희;김정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 /
    • pp.55-64
    • /
    • 1996
  • Garment is not only a part of formative art that establishes a live shape by wearer but also space modeling which features the solidity based on human body. Hence, beyond the simple meaning of 'wearing clothes', modeling which makes a cubic shape in accordance with human body's movement, is an important element in garment design. This study examined puli-over-typed garment design that owns abundant space sense, taking complex shapes of geometrical diagrams with brief and simple features as a motive. The study aims at seeking after the combination of plane and cubic forms, and exploring formative garments which are further modern and different variance by approaching the natural section of geomentrical facets with tightfitting idea and composition of delicate colors and forms when plane pattern was put on human body.

  • PDF

A Method for Digitizing and Restoring Artwork (미술품의 디지털화와 복원 방법)

  • Sim, Kyudong;Kim, Changseob;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136-13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미술품의 물리적 특징을 디지털화 하는 방법과 디지털 정보를 사용한 미술품 복원 방법을 다룬다. 미술품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는 물리적 특성은 색상정보, 기하정보, 반사특성 등이 있고 미술품의 종류에 따라서 필요한 물리적 특성을 획득하기 위해서 미술품을 크게 2D, 2.5D, 3D 로 분류할 수 있다. 2D 미술품은 평면에 그려진 미술품으로 높은 해상도와 정확한 색상 정보 취득을 주 목적으로 하고, 2.5D 미술품은 평면의 미술품에 깊이가 추가된 유화나 판화의 형태로 2D 미술품의 특징에서 깊이표현 정보와 반사특성 정보를 추가로 취득한다. 3D 미술품은 입체적인 미술품으로 3 차원의 기하정보를 중심으로 디지털화 한다. 이렇게 취득한 미술품의 물리적 정보는 2D 미술품은 프린터로, 2.5D, 3D 미술품은 3D 프린터로 출력하여 복원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디지털화 기술과 복원 기술은 높은 정확도를 위해 연구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미술품의 디지털화와 복원에 사용될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Rumble Strips by Highway Geometric Characteristics (도로 선형특성에 따른 럼블스트립의 교통사고 감소효과)

  • Oh, Heung-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3D
    • /
    • pp.289-294
    • /
    • 2010
  • It is well known that rumble strips contribute to reduce traffic accidents. The present paper provides the reduction effect of traffic accidents under specific highway geometrics after rumble strip installation. Traffic accidents on freeway sections before and after rumble strip installation are compared when conditions of the highway geometric characteristics such as horizontal, vertical geometrics are given. It is shown that rumble strips are effective under highway geometric conditions of down slopes or right curvatures. It is also shown that rumble strips are still effective with shorter length of installation.

Re-Interpreting the Descartes's Perspectives on the Connection of Algebra and Geometry (대수와 기하의 연결에 관한 Descartes의 관점 재조명 연구)

  • Ban, Eun Seob;Shin, Jaehong;Lew, Hee Cha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6 no.4
    • /
    • pp.715-73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scartes's point of view on the mathematical connection of algebra and geometry which help comprehend the traditional frame with a new perspective in order to access to unsolved problems and provide useful pedagogical implications in school mathematics. To achieve the goal, researchers have historically reviewed the fundamental principle and development method's feature of analytic geometry, which stands on the basis of mathematical connection between algebra and geometry. In addition we have considered the significance of geometric solving of equations in terms of analytic geometry by analyzing related preceding researches and modern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 These efforts could allow us to have discussed on some opportunities to get insight about mathematical connection of algebra and geometry via geometric approaches for solving equations using the intersection of curves represented on coordinates plane. Furthermore, we could finally provide the method and it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interpreting geometric approaches to cubic equations utilizing intersection of conic sections in the process of inquiring, solving and reflecting stages.

The geometry of Sulbasu${\={u}}$tras in Ancient India (고대 인도와 술바수트라스 기하학)

  • Kim, Jong-Myung;Heo, Hae-Ja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4 no.1
    • /
    • pp.15-29
    • /
    • 2011
  • This study was carrying out research on the geometry of Sulbas${\={u}}$tras as parts of looking for historical roots of oriental mathematics, The Sulbas${\={u}}$tras(rope's rules), a collection of Hindu religious documents, was written between Vedic period(BC 1500~600). The geometry of Sulbas${\={u}}$tras in ancient India was studied to construct or design for sacrificial rite and fire altars. The Sulbas${\={u}}$tras contains not only geometrical contents such as simple statement of plane figures, geometrical constructions for combination and transformation of areas, but also algebraic contents such as Pythagoras theorem and Pythagorean triples, irrational number, simultaneous indeterminate equation and so on. This paper examined the key features of the geometry of Sulbas${\={u}}$tras and the geometry of Sulbas${\={u}}$tra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acrificial rite and the fire altars. Also, in this study we compared geometry developments in ancient India with one of the other ancient civilizations.

State-of-the-art Node of Freeform Structure (프리폼 구조의 노드 기술 현황 분석)

  • Lee, Kyoung Ju;Oh, Jin Tak;Kim, Sang Dae;Ju, Young Kyu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53-153
    • /
    • 2011
  • 현대 건축은 기능적이고 합리적이었지만 획일적이었던 박스형 건축에서 탈피해 형태와 공간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특별한 건축물의 실현을 위해 각 나라의 기술력은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고, 보다 더 독특한 건축물에 대한 관심은 비정형 건축물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비정형 건축물에 적합한 구조로써 프리폼(Free-Form) 구조가 있다. 프리폼 구조로 입체골조(Double Layered Structure)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최근 유리로 되어 투명하고 기하학적 모양의 건축물을 추구함에 따라 평면골조(Single Layered Structure)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평면골조는 축력 지배형과 모멘트 지배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프리폼 구조의 구성 요소 중 가장 취약하고 중요한 부분은 노드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리폼 구조 중 가장 큰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평면골조 모멘트 지배형의 노드에 대한 국내외 기술 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입체골조는 하나의 노드에 여러개의 부재가 3차원으로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골조 시스템에 비해 노드부가 복잡하지만, 건축물의 외관을 유리로 하여 투명하게 하고 비틀리고 구부러진 구조물에 대한 건축적 요구가 많아짐에 따라 평면골조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건물의 구조적, 기하학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드 시스템이 개발 중이며, 가해지는 하중의 특성에 따라 축력 지배형과 모멘트 지배형으로 구분하여 노드의 양상을 분류할 수 있다. 축력 지배형의 대표적인 시스템은 다이아그리드(Diagrid)이다. 축력 지배형 프리폼 구조의 노드는 전체 구조물의 하중을 축력으로 받아 모두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크기가 크고 가새가 2~4개층에 걸쳐서 설치되기 때문에 중량이다. 모멘트 지배형 노드를 갖는 프리폼 구조의 형태는 대부분 지붕 구조로써 지붕 자체의 하중만을 견디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노드부와 노드에 붙는 부재들이 가볍기 때문에 사람이 들 수 있고 노드의 크기가 작아 시공성이 좋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노드의 형태는 힘의 흐름과 쓰임에 따라 다양하다. 평면골조 모멘트 지배형의 노드는 접합방식에 따라 Splice node connection과 End-Face node connection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Splice node connection은 각 부재의 종축으로 노드와 구조부재 사이에 이음재를 두어 연결하고, 연결 형태에 따라 전단력을 전달할 수 있는 1~2개의 접촉면이 생긴다. 전단응력을 받는 볼트로 이음재를 이어 조립하거나 용접으로 접합할 수 있다. 대표 노드로, SBP-1, SBP-2와 POLO-1 등이 있다. End-Face node connection은 각 연결된 부재의 단부와 노드 사이의 연결면은 종축방향의 수직이고, 인장응력을 받는 볼트를 사용하거나 용접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대표 노드로 SBP-4, WABI-1, MERO-1(Cylinder), MERO-2(Block), MERO-4(Double Dish) 등이 있다. 본 기술 현황 분석을 통해 현재 개발된 노드를 분류하고 가장 관심이 높은 Single Layer 모멘트 지배형 노드를 비교, 분석하였다. 최근 건물의 경향을 반영한 프리폼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노드의 개발은 국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그 기술이 개방되어 있지 않다. 국내에서는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에 새로운 노드를 적용하고 고려대학교에서 모멘트 지배형 노드를 개발하는 등 발전 가능성을 보이고 있지만 국외 사례들에 비하면 아직 초기 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용접을 지양하고 공장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며, 프로젝트 별로 상이한 노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요구를 효과적으로 수용하는 구조 효율성을 향상시킨 노드 상세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A GIS-based Analysis on Geometric Distortions in Historical Maps: A Preliminary Case Study of Daedongyeojido ('The Great Map of Korea') (고지도의 왜곡 양상에 대한 GIS-기반 연구: 대동여지도를 사례로 한 시론적 분석)

  • Lee, Sang-Il;Cho, Daeh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9 no.3
    • /
    • pp.438-455
    • /
    • 2014
  •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a set of viable answers regarding the projection and cartographic scale of Daedongyeojido through a GIS-based planimetric accuracy analysis. Both global and local analyses were undertaken in the use of an analytical tool, MapAnalyst. The main results from the global analysis are threefold. First, the overall cartographic scale turned out to be between 1:158,000 and 1:162,000. Second, the rotation angles were between $2^{\circ}$ and $3^{\circ}$, and the equidistant cylindrical projection reported the smallest value. Third, in terms of position accuracy, the conformal cylindrical projection showed a best fit to the map. A local analysis was undertaken for the conformal cylindrical and equidistant azimuthal projections and its main results are threefold. First, the largest distortions in terms of the displacement vectors and distortion grid were found in the northern borderlands. Second, from the isoline maps of scales, it was acknowledged that local scales between 1:170,000 and 1:175,000 were found around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centered on Seoul. As away from the region to the north-south direction, increasingly larger scales were distributed, while the smallest ones were found in the western and eastern edges of the peninsula. Third, from the isoline maps of rotation, it was known that areas west of a northernmost city (Junggangjin) were substantially rotated to the west, while ones east of it to the east. For a more sophisticated analysis, some need to be done to have a larger set of control points, a better way of postulating the map projection, and a more advanced set of techniques for a local analysis.

  • PDF

A Comparative Study on Adsorption of PCB Congeners in Mineral Oil by Activated Carbon (활성탄에 의한 광유내 PCB Congeners의 흡착에 관한 비교 연구)

  • Ryoo, Keon Sang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1 no.5
    • /
    • pp.239-245
    • /
    • 1997
  • The sorption kinetic was studied to evaluate feasibility of removing PCBs from mineral oil with activated carbon. Adsorption efficiency for Aroclor 1242 which is composed of lower chlorinated PCB formulations was $\geq$ 95%, whereas the adsorption efficiency for Aroclor 1260 having higher chlorinated constituents was considerably lower with the efficiency falling to 75%. The observed difference in the adsorption efficiency is attributed to the geometry of PCBs with non-planar and coplanar structure. The concentration of coplanar PCBs is appreciably higher in Aroclor 1242. Since toxicity is primarily associated with coplanar congeners, the preferential adsorption of coplanar congeners by activated carbon accounts for the fact that toxicity reduc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is process. The efficiency of process was assessed in terms of Toxicity Equivalence Factor (TEF).

  • PDF

Advanced shape from focus (SFF) method by usng curved window (곡면 윈도우를 이용한 shape from focus(SFF) 방법의 개선)

  • 윤정일;최태선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8.06a
    • /
    • pp.777-780
    • /
    • 1998
  • 물체의 3차원적인 정보를 복원하는 일은 그 정보의 일련된 이용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이를 위해 여러가지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 shape from focus(SFF) 방법은 영상의 초점이 맞는 렌즈의 위치를 찾아내어 렌즈 공식에 의해 초점이 맞는 부분의 거리 정보를 구할 수 있다. 기존의 이 방법은 초점이 맞았는지의 정도를 계산하기 위한 focus measure 값들을 카메라의 광학축에 수직인 단순한 평면으로 가정하여 그 합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찾아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focused image surface(FIS) 개념이 연구되었고 그로 인해 더욱 나아진 결과를 얻었다. 물체의 FIS는 카메라 렌즈에 의해 초점이 맞게된 물체의 점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공간상의 면이다. 기하광학에 의해 물체의 모양과 FIS 상이에는 일대일 대응 관계가 있고 FIS의 형태를 구하는것이 결국은 물체의 모양을 복원하는것이다. FIS 개념을 처음 적용할 때는 물체의 모양이 부분적으로 영상 탐지기(image detector)와 같은 평면으로 가정하여 3차원 공간상에서 가능한 모든 방향의 평면에 대한 focus measure를 구하여 그 값이 최대가 되는 렌즈의 위치를 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focus measure의 합이 정사각형의 윈도우에서 계산되기 때문에 곡면으로 이루어진 실제 물체에서는 오차르 ㄹ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는 달이 평면이 아닌 곡면에 대한 focus measure의 합이 최대가 되는 렌즈의 위치를 구하여 이전의 방법들 보다 정확한 복원이 가능함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