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로

Search Result 2,55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effect of PDGF-BB loaded TCP/chitosan microgranules on new bone formation (혈소판유래성장인자를 함유한 TCP-chitosan 미세과립이 신생골조직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eol, Yang-Jo;Lee, Jue-Yeon;Kye, Seung-Beom;Lee, Young-Kyu;Kim, Won-Kyeong;Lee, Yong-Moo;Ku, Young;Han, Soo-Boo;Lee, Seung-Jin;Chung, Chong-Pyoung;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2 no.3
    • /
    • pp.489-50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ewly fabricated tricalcium phosphate(TCP)/chitosan microgranuls as bone substitutes. TCP/chitosan microgranules were fabricated by dropping TCP-chitosan suspension into the NaOH/ethanol solution. The size of microgranules could be controllable via airflow rate. PDGF-BB was loaded into the fabricated granules via freeze-drying methods(300 ng/20 mg). To evaluate cell proliferation, cultured osteoblasts cell lines(MC3T3-El) was dropped on the BioOss(R), chitosan microgranules, TCP/chitosan microgranules and cultured for 1, 7 , 14, and 28 days.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was done after 7 days of culture and light microscopic examination was done after 28 days of culture. PDGF-BB release from the microgranules was tested. Rabbit calvarial defects(8 mm in diameter) were formed and chitosan, TCP/chitosan, PDGF-TCP/chitosan microgranules, and BioGran(R) were grafted to test the ability of new bone formation. At SEM view, the size of prepared microgranules was 250-1000 um and TCP powders were observed at the surface of TCP/chitosan microgranules. TCP powders gave roughness to the granules and this might help the attachment of osteoblasts. The pores formed between microgranules might be able to allow new bone ingrowth and vasculariz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ll number among BioOss(R) and two microgranules at 28 day.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showed that seeded osteoblastic cells were well attached to TCP/chitosan microgranules and proliferated in a multi-layer. PDGF-BB released from TCP/chitosan microgranules was at therapeutic concentration for at least 1 week. In rabbit calvarial defect models, PDGF-TCP/chitosan microgranules grafted sites showed thicker bone trabeculae pattern and faster bone maturation than other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CP/chitosan microgranules showed the potential as bone substitutes.

Influence of Smoking on Short-Term Clinical Results of Periodontal Bone Defects Treated with Regenerative Therapy Using Bioabsorbable Membranes (흡연이 흡수성 차폐막을 이용한 조직유도재생술의 치유에 미치는 영향)

  • Kang, Tae-Heon;Seol, Yang-Jo;Lee, Yong-Moo;Kye, Seung-Beom;Kim, Weon-Kyeong;Chung, Chong-Pyoung;Han, Soo-B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0 no.2
    • /
    • pp.305-324
    • /
    • 2000
  • This study compared the short-term(4 months) clinical results of regenerative therapy with bioabsorbable membranes($BioMesh^{(R)}$) and bone allograft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al(intrabony and furcation) defects in smokers and nonsmokers.(16 smokers) 32 subjects with 92 def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46 in smokers and 46 in non-smokers). This study also evaluated a bioresorbable barrier with and without decalcified freeze-dried bone allograft(DFDBA). The 92 periodontal defects were randomly treated with either the resorbable barrier alone or resorbable barrier in combination with DFDBA following thorough defect debridement and root preparation with tetracycline. Each patient received both types of treatment modalities. Clinical examinations(probing depth, gingival recession, clinical attachment level, plaque index and gingival index) were carried out immediately before and 4 months after surgery. Significant(p<0.001) gains in mean attachment level were observed for both smokers(2.93mm) and non-smokers(3.30mm)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Similarly, significant reductions in mean probing depthshowed for smokers(4.52mm) and non-smokers(4.26mm). However, when comparing gingival recession, smokers were found to exhibit significantly poorer treatment results(1.59mm vs 0.96mm, p<0.05). Using the split-mouth-desig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dalities could be detected with regard to pocket depth reduction, gingival recession, or attachment gain. These results illustrate that the attachment gain is better in the non-smoker and the best in the non-smoker with the combination therapy of resorbable barrier and DFDBA than with resorbable barrier alone but smokin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linical treatment outcome, even though smokers show more significant gingival recession. In addition, both treatments, either resorbable barrier plus DFDBA or resorbable barrier alone, promoted significant resolution of periodontal defects but the addition of DFDBA with a bioabsorbable membrane appears to add no extra benefit to the only membrane treatment.

  • PDF

The Effect of Bioresorbable Membrane on the Bone Regeneration of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백서의 골조직 재생에 흡수성 차폐막이 미치는 영향)

  • Yang, Byung-Kun;Lee, Hak-Churl;Lee, Ji-Young;Son, Kang-Bae;Seol, Yang-Jo;Lee, Sang-Cheol;Kye, Seung-Beom;Chung, Chong-Pyoung;Han, Soo-B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0 no.2
    • /
    • pp.287-30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ioresorbable membranes in guided bone regeneration of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50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categorized into 4 groups: Group 1 & 2 had 10 normal rats each and group 3 & 4 included 15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each. Defect measuring 7mm in diameter was formed on every rat calvarium. No membrane was used in groups 1 & 3 and membranes were used in groups 2 & 4. The rates were sacrificed at 2 and 4 weeks after defect formation. Routine histological specimens were prepared. Masson-trichrome and HE stain were done before light microscopy. Guided regenerative potential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new bone formation in the calvarial defect by histomorphometry.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New bone formation in the diabetic groups was significantly less that than in the normal groups regardless of membrane use(p<0.05). 2. In the comparison of new bone formation in the normal groups, membrane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bone formation(p<0.1). 3. When the amount of new bone formation was compared in the diabetic groups, more bone was formed in the membrane group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4. In the normal groups the amount of new bone forma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at 4 weeks compared to that at2 weeks(p<0.05) but amount of bone regeneration at 4 weeks was not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at 2 weeks in both diabetic groups.

  • PDF

A study on the plaque removal efficiency of new and worn toothbrushes (새 칫솔과 마모된 칫솔의 치태제거효율에 관한 비교연구)

  • Nam, Se-Jin;Yang, Byung-Kun;Kim, Tae-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Rhyu, In-Chul;Paik, Dai-Il;Chung, Chong-Pyoung;Han, Soo-B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1
    • /
    • pp.163-176
    • /
    • 2005
  • 3개월 동안 사용한 마모된 칫솔의 마모 정도와 양상을 관찰하고, 새 칫솔과 마모된 칫솔의 잇솔질 전 ${\cdot}$ 후 치태제거효율을 single-use design으로 비교 ${\cdot}$ 평가하여 3개월 주기의 칫솔 교체 주기의 근거를 임상적으로 확인 해보고자 하였다. 치주적으로 건강한 치과 대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잇솔질 습관을 조사하고, 3개월간 동일한 칫솔과 치약을 사용하게 하였다. 3개월 후 피시험자를 무작위로 두 군(I, II)으로 나누고, 치석제거술을 시행한 뒤 2주후에 내원하도록 하였으며 내원 전 48시간동안은 잇솔질을 하지 않도록 지시하였다. 2주후 I군은 새 칫솔을, II군은 마모된 칫솔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잇솔질 전 ${\cdot}$ 후에 각각 구강 내를 erythrosin으로 염색한 후 6개의 Ramfjord 치아의 plaque score를 Patient Hygiene Performance (PHP) index로 측정하였다. 2주간의 washout period 후에 다시 치석제거술을 시행한 뒤, I군이 마모된 칫솔을, II군은 새 칫솔을 사용하게 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PHP index를 각각 측정하였다. 마모된 칫솔은 수거하여 brushing surface area의 면적으로 마모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는 paired t-test와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로 통계처리 하였다. 2명이 탈락하였고 잇솔질 전 ${\cdot}$ 후에 대한 전체 부위, 치간 부위, 변연치은 부위의 plaque score는 두 칫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p<0.0001), 두 칫솔을 비교한 경우에는 새 칫솔이 마모된 칫솔보다 치태 감소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많았다 (p<0.0001). 칫솔의 마모도는 평균 50.6% 증가하였으며, 마모도 증가에 따른 치태 감소량에는 직선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전체 부위 r=-0.58, p=0.72 / 변연치은 부위 r=-0.50, p=0.76). Single-use design에서 3개월 동안 마모된 칫솔은 치태제거 능력에 있어서 새 칫솔보다 덜 효율적이였다. 칫솔의 마모도는 구강 위생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마모된 칫솔은 정기적인 교체가 요구된다. 또한, 치간 부위를 포함한 변연치은 부위의 치태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치태지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In vivo assessment of Fibroblast growth factor(FGF)-Fibronectin fusion protein coating on titanium;Histomorphometric analysis in rabbit tibia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와 파이브로넥틴 복합 단백질로 처리한 타이태늄의 생물학적 효과;가토의 경골을 이용한 조직계측학적 분석)

  • Na, Ho-Kyun;Kim, Tae-Il;Lim, Sang-Hoon;Cho, Ki-Young;Chung, Chong-Pyoung;Han, Soo-Boo;Ku, 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1
    • /
    • pp.153-161
    • /
    • 2005
  • 파이브로넥틴은 세포외기질에 존재하는 당단백질로 세포의 부착, 이동, 성장 및 분화에 관여하며, 섬유아세포 성장인자는 세포의 증식 이동 및 분화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파이브로넥틴은 조골세포의 타이태늄 임플란트 표면으로 이주와 증식 및 골생성을 촉진하며,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는 파이브로넥틴에 상승작용을 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 실험의 목적은 파이브로넥틴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의 복합 단백질을 이용하여 타이태늄 임플란트의 골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다. 체중 2.5 kg 내외의 건강한 18 마리의 웅성가토를 준비하여 무균 사육하였고, 순수 타이태늄을 절삭가공하여 직경 3.5mm, 길이 6mm 의 machined surface를 지니는 screw type 의 임플란트를 준비하였다. 사람의 유전자를 기초로, 유전자 재조합법을 통해, 적절한 primer를 이용하여 얻은 섬유아세포 성장인자를 파이브로넥틴 III 형 분절의 9-10 번 도메인에 결합시켜 얻은 복합 단백질을 준비된 임플란트에 표면처리하여 실험군으로 하였고, 표면처리하지 않은 임플란트를 대조군으로 하여, 가토의 좌우 경골에 각각 2 개씩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4주 후, 가토를 희생시켜 각 경골 당 한 개의 임플란트에서 뒤틀림 제거력을 측정하였고 나머지 임플란트 식립 부위 에서는 경골을 포함하는 조직표본을 제작하였다. 조직표본상에서 골접촉이 가장 좋은 3 개의 나사산의 길이를 측정하고, 나사와 접촉하는 골의 길이를 측정하여 골-임플란트 접촉도를 구하고, 같은 부위에서 나사산 사이의 면적과 골이 차지하는 면적을 비교하여 골생성률을 얻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결과는 Student t-test 를 이용하여 신뢰도 95% 수준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파이브로넥틴과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의 복합 단백질로 표면처리된 임플란트와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임플란트는 뒤틀림 제거력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골-임플란트 접촉도와 골생성률에서 복합 단백질로 처리된 임플란트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와 파이브로넥틴 복합 단백질로 처리한 타이태늄 임플란트가 주변 골 형성을 촉진시켜, 골유합을 증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복합 단백질이 타이태늄 임플란트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표면개질 물질로 이용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ffect of ${\Delta}^{12}PGJ2$ and $PPAR{\Gamma}$ Agonist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Delta}^{12}PGJ_2$ 및 PPAR 감마 길항체가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효과)

  • Heo, Jeong-Mi;Kim, Kyoung-Wha;Chung, Kyoung-Wook;Lee, Hye-Joon;Rhyu, In-Chul;Ku, Young;Chung, Chong-P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1
    • /
    • pp.133-152
    • /
    • 2005
  • 1. 목적 Prostaglandin은 치주질환과 관련된 국소적 골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Delta}^{12}PGJ_2$는 생체 내에서 혈장의 존재 하에 형성되는 천연 $PGD_2$ 대사산물이며 peroxisome- proliferator에 의해 활성화되는 감마 수용체 (PPAR ${\Gamma}$)에 대해 높은 친화성을 갖는 리간드로서 핵 수용체군에 속하는 전사조절인자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골화 과정에서 ${\Delta}^{12}PGJ_2$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조골세포주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관련된 세포기전을 조사하는 데에 있다. 2. 방법 인간 골육종세포주인 Saos-2 (ATCC.HTB 85)와 쥐의 조골세포주 (MC3T3-E1)를 배양한 후 실험군에 농도가 각각 $10^{-5}$, $10^{-6}$, $10^{-7}$, $10^{-8}$, $10^{-9}$ 몰인 ${\Delta}^{12}PGJ_2$와 ciglitazone (합성 PPAR 감마 길항체)를 첨가하였다. 조골세포에서 PPAR 감마의 발현을 관찰하기 위해 역전사효소-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을 특정한 primer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세포 증식은 1일, 2일, 3 일째에 MIT 분석법으로 측정하였고, 2 일째에 알칼리성 인산효소 (ALPase) 생산을 측정하였다. 위의 결과에서 얻은 적정한 농도에서 다양한 조골세포 분화의 표지자들-제 1 형 교원질, 알칼리성 인산효소, osteopontin 및 bone sialoprotein-에 대한 간이 정량적 역전사효소-중합효소연쇄반응 (semiquantitative RT-PCR)을 실시하였으며 골결절 형성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석회화 분석도 시행하였다. 3. 결과 ${\Delta}^{12}PGJ_2$와 ciglitazone 모두 Saos-2 세포주의 증식을 촉진시켰다 .$10^{-8}$ 몰의 ${\Delta}^{12}PGJ_2$$10^{-6}$몰의 ciglitazone을 첨가한 실험군을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시간에 비례하여 세포 증식률이 증가되었다. 알칼리성 인산효소의 활성화 검사에서도 증식률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간이 정량적 RT-PCR에서는 ${\Delta}^{12}PGJ_2$로 처리한 군의 경우 제 1 형 교원질, 알칼리성 인산효소, osteopontin, 그리고 bone sialoprotein의 상대적 mRNA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석회화 분석에서는 MC3T3-E1 세포를 $10^{-6}$ 몰의 ${\Delta}^{12}PGJ_2$로 처리한 군과 $10^{-5}$ 몰의 ciglitazone으로 처리한 군에서 현저한 골결절 형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Delta}^{12}PGJ_2$가 유용한 골 유도물질이 될 수 있으며 또한 그 작용기전이 PPAR 감마-의존형 경로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The effect of periodontal flap surgery on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Tissu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TIMP-1) level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s of periodontitis patients (치주 수술이 치주염 환자의 치은 열구액 내의 MMPs와 TIMP-1에 미치는 영향)

  • Kim, Jhee-Hyun;Ko, Jea-Seung;Kim, Hyun-Man;Kim, Tae-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1
    • /
    • pp.123-132
    • /
    • 2005
  • 중등도 이상의 치주염 환자에서 치은 열구액내의 MMPs 및 TIMP-1 과 치주염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치주 수술이 MMPs 및 TIMP-1의 정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총 14명의 치주낭 깊이 6mm 이상의 중등도 이상의 치주 질환 이환자에서 치아를 선정하여, 치주낭 심도, 치은 지수(gingival index)를 측정하고, 치은의 조직학적 염증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해당 치아의 치주낭 연조직을 절취하여 H-E염색을 하고, 치은 절편에서 염증세포 침윤의 정도 및 분포를 비교하였다. Perio-paper를 이용하여 치은열구액을 얻고, pyrogen-free water에서 추출하였다. 채취한 치은 열구액에서 ELISA-kit를 이용하여 MMP-1, 8, 9, 13과 TIMP-1을 측정하여 수술 전과, 수술 후, 그리고 건강한 조직인 대조군을 비교하였으며, 통계처리는 Wilcoxon 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MMPs 혹은 TIMP-1이 치주낭 심도나 치은지수등의 임상적 지표와 가지는 연관성을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TIMP-1을 제외한 MMP-1, 8 ,9, 13 에서 수술 전보다 수술 후에 치은 열구액 내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MMP-1(p=0.025), MMP-9(p=0.016) 와 MMP-13(p=0.009) 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한편 MMP-9 (p=0.011) 나 MMP-13(p=0.026) 은 건강한 대조군과 수술 전 사이에도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연조직의 조직학적 관찰을 통하여 치은지수의 임상적 신뢰도를 평가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치주 치료 전의 치주낭 심도와 치은지수와의 관계나,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치주낭 심도등의 변화도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치주낭 심도나 치은지수등의 임상적 지표는 MMPs나 TIMP의 정량과는 별다른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실험의 결과로 보아 MMP-1, MMP-9나 MMP-13을 치주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치주염의 심도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로 생각할 수 있으며, 특히 MMP-9와 MMP-13가 치주염과 가지는 연관성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Functional knee test in sports injury (스포츠 손상에서 슬관절 기능 검사의 의의)

  • Moon, Hyung-Tae;Seo, Jung-Gook;Ha, Jeong-Ku;Kim, Ji-Yeong;Kim, Min-Gun;Kim, Jin-Goo
    •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Sports Medicine
    • /
    • v.4 no.2
    • /
    • pp.109-115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ree functional performance tests and one-legged hop test and to establish the reference data of the three functional performance tests of the active young Korean men.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five tests on 40 normal subjects such as one-legged hop test (single hop, triple hop) and the three functional performance tests (carioca test, co-contraction test, shuttle run test). The mean age was 28.4 years. The mean score of Tegner activity scale was 6.2 and Lysholm score 98.2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The correlation of age, height and weight with th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FPT and one-legged hop test an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limbs were statistically calculated. Results: All data obtained were normally distribute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ge, height and weight. The paired t-test of one legged hop test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limbs. The results of one legged hop test had strong relationship with functional performance test. Conclusion; The three functional performance tests can be a useful functional test in ACL-insufficient athletes. Our results can be used as normal reference data of the normal active Korean men.

  • PDF

Survey of Current Status of the Graveyard Lawn Maintenance in Korea (우리나라 묘지의 잔디 관리 실태 조사 연구)

  • Chang, Seog-Won;Lee, Jeong-Ho;Kwon, Byeong-Seok;Hong, Jeum Kyu;Park, Sho-Jun;Byun, Jae-Bok;Jee, Jae-Uk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6 no.2
    • /
    • pp.130-135
    • /
    • 2017
  • In the current study, we surveyed the status of graveyard lawn maintenance in Korea. The lawn maintenance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vicarious companies registered on the internet portal site and the Forestry Federation of Korea, and the questionnaire investigation from Primary Agricultural Cooperatives (Nonghyup). In all provinces surveyed, individual graves were maintained on a $66m^2$ (20 Pyeong) basis. The vicarious maintenance of graveyard lawn was carried out 1~5 times a year, and the maintenance cost increased as the number of times increased. Mowing the grass around a grave (Beolcho) was mainly done before the Korean Thanksgiving Day (Chuseok). The number of Beolcho was steadily increased from 2013 to 2015, and the price was getting higher and higher. Gyeonggi province had the highest cost, and Jeolla had the lowest cost. Regardless of the year, the number of orders received were higher in Gyeongnam > Gyeongbuk > Jeonnam province in order. Most of the reason for requested Beolcho was because the client lives in the area far from the graveyard. The direction of the cemetery was very varied. According to the survey, the all grass were zoysiagrass (Zoysia japonica), and grass coverage rate of the graves was 35.4~71.9%. Through questionnaire investigation, the reason why the density of grass was lowered was because the periodic management of weeds and fallen leaves was insufficient. Further research on the maintenance of graveyard in the future will be necessary.

3D-Conformal Radiotherapy for Head and Neck Cancers at Asan Medical Center (두경부종양에서 3차원 입체조형치료의 서울아산병원 경험)

  • Lee Sang-Wook;Chang Hye-Sook;Ahn Seung-Do;Yi Byong-Yong;Choi Eun-Kyung;Nho Young-Ju;Back Geum-Mun;Kim Jong-Hoo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1 no.2
    • /
    • pp.151-157
    • /
    • 2005
  • 목적: 다양한 발생부위에서 발생한 두경부종양을 대상으로 3차원 입체조형치료를 시도하여 표적체적 내 선량균일성과 주변장기의 선량분포변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3차원 입체조형치료를 시행 받은 38명에 분석을 시행하였다. 3차원 입체조형 치료는 동일평면 또는 비동일평면상에서 4개에서 14개의 조사면 수로 시행되었다. 3차원 입체조형치료계획시 표적 체적에 $50{\sim}82Gy$의 선량을 처방하였고, 이하선 안구, 척수, 측두하악관절 등을 보호하고자 하였다. 3차원 입체조형치료 계획을 기존의 2차원 치료계획과 비교하기 위하여 표적체적과 주변정상자기의 선량체적히스토그램, 평균선량, 표적체적 내에서 처방선량의 $95{\sim}105%$의 선량이 분포하는 체적을 비교하였다 치료계획에서 실제 치료시까지 소용되는 비용효과를 비교하였다. 대상환자의 평균추적기간은 34개월이었다. 결 과: 3차원 입체조형시료는 2차원 치료에 비해서 표적체적내 평균선량이 평균 10% 증가하였고, 주변정장기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이 현저히 감소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표적체적에 대한 등선량 곡선 분포가 우수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 론: 3차원 입체조형치료는 두경부종양에서 표적체적의 선량 균일성이 증가하였고, 주변장기의 보존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3차원 입체조형치료가 두경부종양에서 국소제어율과 무질병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