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균 분자 길이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8초

산화질소 분자 퍼텐셜에 적용한 Numerov-Cooley 방법 (Numerov-Cooley Method on a Potential of NO Molecule)

  • 조선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25-128
    • /
    • 2007
  • Numerov-Cooley 방법을 적용할 때 양쪽에서 전파된 파동함수를 연결시키는 것이 관건인데, 잘 알려진 스프레드시트인 엑셀에서 해찾기 도구를 활용하여 Numerov 방법의 파동함수 연결을 해결하였다. 한쪽방향으로 전파하여 얻은 에너지 값과 반대쪽으로 전파하여 얻은 에너지 값들의 평균을 이용해 상태함수의 고유값을 정하는 방법도 같은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산화질소 분자 퍼텐셜 위에서 이 방법을 적용하였고, 진동에너지에 따른 원자간 평균거리와 터널링 변화를 계산하였다. 진동에너지가 증가하면서 분자 결합 길이는 비례하여 늘어나지만, 터널 효과는 모든 진동 상태가 어느 정도의 확률을 가지며 에너지 증가에 둔감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늘 잠복 바이러스의 순수분리 및 증식 (Purification and Amplification of Garlic Latent Virus)

  • 최진남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59-263
    • /
    • 1992
  • 한국 마늘에 감염되어 있는 주된 바이러스 중의 하나로 알려진 마늘 잠복 바이러스 (GMV)의 분자 구조와 병 발생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국부 감염 숙주 식물인 Vicia faba에 연속적으로 감염시킴으로써 마늘 잠복 바이러스를 정제하였고, GMV에 대한 전신 감염성 숙주 식물로 생각되는 leek에서 GLV를 대량으로 증식시켰다.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한 결과, 마늘 바이러스들의 입자의 길이는 200-2000 nm의 분포를 보였으나 입자의 대부분은 600-900 nm의 범위 안에 존재하였다. 반면 순수 분리된 GLV 입자는 평균 690 nm의 길이를 보여주었고, 유연한 실 모양이었다. SDS-PAGE 분석으로 혼합 감염된 마늘 잎으로부터 분리된 마늘 바이러스의 구조 단백질은 분자량 24,500-38,000 Da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GLV 껍질 단백질의 분자량은 34,000 Da으로 나타났다.

  • PDF

준희박과 농축용액에서 약간의 유연성을 갖는 막대형 고분자의 다분산성이 회전확산 과 점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lydispersity on Rotational Diffusivity and Viscosity of a Slightly Flexible Rod-Like Polymer in Semidilute and Concentrated Solutions)

  • 정성은;이영철;정인재
    • 유변학
    • /
    • 제1권1호
    • /
    • pp.54-62
    • /
    • 1989
  • 준희박과 농축용액에서 약간의 유연성을 갖는 강성막대형 고분자의 회전확산계수와 zero shear rate 점도를 예측하기 위해 한정된 강성 사슬모델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제시된 모델을 분자량 분포를 갖는 다분산계로 확장시켰다. 분자들의 분자량 분포 (MW/Mn) 와 분포 함수를 알수 없기 때문에 해당분자에 가장 적당한 분자량 분포와 함수를 취하였다. 만약 이것들을 알고 있다면 제시된 모델로 회전확산계수와 zero shear rate 점도 등과 같은 인자들을예측할수 있었다. 단분산계의 경우와 같이 다분산계에서도 회전확산계수 의 평균분자 윤곽길이 의존도는 L-7 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oi와 Edwards 의 튜브 모델에 의한 L-9 과 다른 이유는 분자들의 거동을 관찰하기 위해 임의로 선정된 하나의 막 대형 고분자운동을 제약하는 정도가 심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제약 완화시간도 훨씬 짧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점도와 회전 확산계수와 단분산계에서는 정성적으로 일치한데 제약 완화 시간도 훨씬 짧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점도와 회전적인 일치를 나타내었다. 이 모델로 기준 으로 하여 분자들의 길이와 종류에 관계없이 하나의 master curve를 그릴수 있었다.

  • PDF

Tris(biuret)chromium(III) Perchlorate Monohydrate의 구조 (Structure of Tris(biuret)chromium(III) Perchlorate Monohydrate)

  • 박영자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3-148
    • /
    • 1998
  • Tris(biuret)chromium(III) Perchlorate Monohydrate (Cr(C2H5N3O2)3·(ClO4)3·H2O)의 결정 및 분자구조를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결정의 공간군은 P, a=10.486(3) , b=11.371(5) , c=11.485(4) , α=88.70(3)o β=66.85(3)0, γ=67.11(3)o, V=1146.2(7) 3가 Z=2이다. 회절반점들의 세기는 Enraf-Noninus CAD-4 Diffractometer로 얻었으며, MoKα radiation X-선을 사용하였다.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풀었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최종 신뢰도 R값은 1528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0.114이었다. Tris(biuret)chromium(III) cation은 octahedral 배열을 하고 있으며, 평균 Cr-O 결합길이는 1.94 이다. 모든 perchlorate anion은 각각 두가지 위치로 disorder되어 있다. 양이온과 음이온들은 물분자들을 포함한 수소결합들로 결합되어 결정을 이루고 있다. 양이온내의 모든 N-H가 모두 수소결합에 참여하고 있다.

  • PDF

제올라이트 L 중 에탄과 프로판의 흡착성질에 대한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Monte Carlo Simulation on the Adsorption Properties of Ethane and Propane in Zeolite L)

  • 문성두;최대웅;김양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6-21
    • /
    • 1998
  • 칼륨이온이 교환된 제올라이트 L중 에탄과 프로판의 흡착 성질을 그랜드 카노니칼 앙상블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퍼텐셜 계산에서 흡착분자의 $CH_3\;와\; CH_2$그룹을 하나의 유사원자로 고려하였으며, 분자 내의 결합길이와 결합각도는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고정시켰다. 단위세포당 평균 분자수, 단위세포당 분자들의 분포, 제올라이트 중 분자의 수밀도, 흡착 분자의 평균 퍼텐셜, 그리고 등량흡착열을 계산하였고, 이들을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에탄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실험값과 상당히 잘 일치하였다. 에탄과 프로판 분자의 퍼텐셜은 흡착량의 증가에 따라 천천히 감소하였다.

  • PDF

과학의 불가사의-풀리지않는 수수께끼5-우리가 늙는 까닭은 무엇일까?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1권5호통권348호
    • /
    • pp.65-67
    • /
    • 1998
  • 노화는 질병이 아니라 모든 생물이 본래 갖고 있는 하나의 과정이라고 산다. 노화연구는 우리를 자멸의 길로 끌어가는 「내부시게」론과 유전적인 실수와 공격으로 마침내 몸을 수리할 수 없을 정도가지 파괴한다는 주장 등 두개의 그룹으로 나눈다. 노화는 유전자 ,호르몬 ,분자 ,면역 조직반응 ,환경의 공격 그리고 일상적인 잘못을 포함하여 수십가지의 얼키고 설킨 과정이다. 이러한 노화를 막고 사람의 수명을 연장할 수는 없는가 실제로 인류는 지난 한세기동안 깨끗한 물과 백신과 같은 개량된 공중보건 덕택에 평균수명이 47세에서 79세로 2배나 늘어났다.

  • PDF

묵 형성 전분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mook(starch-gel food) forming starches)

  • 권미라;김성란;임경숙;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2호
    • /
    • pp.92-98
    • /
    • 1992
  • 묵의 원료로 사용되는 동부, 녹두, 도토리와 묵의 원료로 사용되지 않는 팥, 밀, 고구마로부터 전분을 분리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분자구조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두류인 동부, 녹두, 팥에서 높았고, 밀, 도토리, 고구마의 순으로 낮았다. 아밀로그램에 의한 호화양상은 동부와 녹두 전분이 유사하였고, 팥 전분의 냉각점도와 고구마 전분의 최고점도가 높았으며, 밀 전분은 전반적으로 점도가 낮았다. 아밀로오스의 분자량 분포는 묵 형성 전분이 팥이나 밀보다 $5{\times}10^5$ 이상 큰 분자량의 것들이 많았으며, 예외로 고구마는 아밀로오스의 분자크기는 크나 아밀로오스 함량이 작아 묵을 형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된다. 아밀로펙틴의 평균사슬길이는 $23{\sim}27$포도당 단위로 시료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팥이 길었고 동부와 도토리가 짧았다. 아밀로펙틴의 $peak\;II(DP\;35{\sim}55)$에 대한 $peak\;III(DP\;10{\sim}20)$의 비율은 동부, 녹두, 도토리가 팥, 고구마, 밀 아밀로펙틴보다 컸다.

  • PDF

Alditol Acetates의 분자구조 (The Structures of Alditol Acetates)

  • 박영자;박명희;신정미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17-526
    • /
    • 1990
  • D-glucitol hexaacetate 와 xylitol pentaacetate의 결정구조를 단결정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D-glucitol hexaacetate 는 공간군 P2$_1$, 단위세포 상수는 a = 10.275 (2), b = 8.363 (1), c = 12.560 (5) $\AA$, $\beta$= 95.97 $(2)^{\circ}$; Z = 2이고, xylitol pentaacetate는 공간군이 P2$_1$/C이고, a = 18.126 (1), b = 11.422 (2), c = 8.649 (1) $\AA$, $\beta$ = 95.03 $(1)^{\circ}$이며 Z = 4이다. 회절세기는 diffractomerer로 얻었고,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밝혔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두 분자에 결쳐 결합의 평균길이는 C($sp^3)-C(sp^3$)가 1.514 (10), C($sp^3)-O: 1.444 (6),\; C(sp^2)-O: 1.347 (9),\; C(sp^2)=O: 1.197 (6),\; C(sp^2)-C(sp^3): 1.479(9){\AA}$이고, 평균 결합각도는 C($sp^3)-C(sp^3)-C(sp^3): 114.6 (17),\; O-C(sp^3)-C(sp^3): 109.4 (23),\; C(sp^2)-O-C(sp^3): 117.4 (6),\; O=C(sp^2)-O: 122.6 (6),\; C(sp^3)-C(sp^2)-O: 111.8 (7), C(sp^3)-C(sp^2)=O: 125.5 (4)${\circ}$이다. 두 분자내의 탄소 사슬들은 extended zigzag chain으로 되어 있어 D-glucitol과 xylitol 분자들의 conformation과는 다르다. Acetate group들의 각 원자들은 모두 한 평편상에 놓여있다.

  • PDF

초파리 자연집단의 P 전이인자에 대한 계통형 분포와 기능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Strain Types and Function of P Transposable Element in Natural Populations of Drosophila melanogaster)

  • 김지식;권도형추종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77-185
    • /
    • 1995
  • 두 지역에서 채집한 초파리 자연집단에 대하여 난소발생이상 실험에 의한 P 인자 활성과 세포질형을 분석하여 P 전이인자의 계통형을 조사하였다 전체 238 isofemale line을 조사한 결과 strong P와 true M은 존재하지 않았고, 0(weak P)와 M'(pseudo M) strain이 전체의 98.74%를 차지하여 가장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P$\pi$25.1 probe를 이용한 in situ hybridization을 행하여 P 전이인자의 copy수를 조사한 결과 평균 42.12개로 나타났으며, 0와 M'의 계통형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염색체 firm당 COPy수는 X염색체가 상염색체의 좌 우 각 arm보다 다소 높게 분포하고 있었고. 염색체상 P 전이인자의 삽입부위에 대한 특이적 좌위는 존재하지 않았다 P 전이인자의 분자구조에 대한 변이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southern blot hybridization을 행한 결과 2.9kb의 완전한 크기의 분자를 포함하여 여러종류의 단편들이 확인되었다 조사한 모든 isofemale line에서 KP(1. 15kb)인자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들 KP인자가 P-M System의 난소발생이상을 표현하는데 있어 억제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공간적 상관길이와 유효수직응력의 효과에 따른 거친 단일 균열내의 용질이동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olute Transport in a Rough Single Fracture with Spatial Correlation Length and Effect of Effective Normal Stress)

  • 정우창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1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유효수직응력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공간적으로 상관된 간극분포를 포함하고 있는 단일 균열 내에서의 용질이동에 대한 공간적 거동을 수치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단일 균열에서의 용질이동은 간극분포의 공간적 상관정도와 적용된 유효수직응력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상관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용질입자의 평균이동시간은 감소하였으며, 또한 용질이동에 대한 굴곡도와 Peclet 수(유체흐름에 의한 용질의 이송율과 분자확산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무차원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공간적 상관길이가 증가할수록 단일 균열 내의 간극분포가 용질입자의 이동에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유효수직응력이 증가할수록 용질입자의 평균이동시간과 굴곡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Peclet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유효수직응력이 증가할수록 접촉면의 증가로 인해 한 두 개의 상대적으로 큰 국부유량을 가지는 유로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용질이동에 대한 모의된 결과에 근거하여 공간적 상관길이에 따른 유효수직응력과 용질의 평균이동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수형태의 상관식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