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 갈수량

Search Result 12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stimation of the streamflow during dry seas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갈수기 수문량 산정)

  • Jung, Sung Ho;Cho, Hyo Seob;Kim, Jeong Yup;Lee, Gi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77-37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LSTM 모형을 이용하여 갈수예보를 위한 월 단위 전망모형개발의 대상지점으로 이수 및 치수의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한강대교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유량예보를 위하여 한강수계 19개 기상관측소의 월평균강수량, 월평균기온 및 3개 댐(소양,횡성,충주)의 월방류량을 사용하여 한강대교의 월 유량을 예측하였다. 1996년부터 2016년까지의 자료는 모형의 학습, 2017년 자료는 모형의 검증에 활용하였으며 가장 최근 건설된 횡성댐 방류량의 경우 1996년~2000년의 자료가 없으므로 2001년~2005년의 자료를 반복하여 학습에 활용하였다. 모형의 예측결과는 신경망 학습 시 한강대교 월유량자료를 포함한 결과와 미포함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모의결과의 재현성 분석을 위하여 월별 예측값과 실측값의 비율을 산정하였으며 1월부터 12월까지 12개 값을 평균하여 평균예측률을 산정하고 이를 홍수기(6월~10월) 및 비홍수기(1월~5월, 11월~12월)를 구분하였다. 딥러닝 학습 시 월유량을 포함한 경우의 예측결과가 학습 시 월유량을 포함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좋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신경망을 실제 갈수예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예측 기상정보인 월강우량, 월평균기온, 댐방류량만을 활용하여야 하는데 학습 시월유량 미포함 결과는 예측률이 매우 낮았으며, 신경망의 학습횟수가 늘어날 경우 학습자료 과적합(over-fitting)되어 정확도가 보다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기존의 현재시간 t까지의 입력자료로 학습 후 익월(t+1)의 월유량을 예측하는 (t $\rightarrow$ t+1) 방법에서 현재시점 (t-n ~ t)까지의 입력자료를 이용하여 당월(t)의 월유량을 산정하는 (t$\rightarrow$t) 방법으로 재학습 후 모형검증을 수행한 결과 전술한 익월(t+1) 유량을 예측한 결과보다 재현성이 훨씬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며평균예측률이 0.99로 홍수기 및 비홍수기에서도 뛰어난 정확성을 보이고 있다.

  • PDF

The method of period division and range setting for annual river discharge management (연중 하천유량 관리를 위한 기간 구분 및 관리범위 설정 방안)

  • Park, Tae S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1
    • /
    • pp.1-9
    • /
    • 2023
  • Until now, the periods of river discharge management throughout a year are divided into flood and non-flood periods, and the ranges of discharges to be managed are broadly defined from drought discharge to flood discharge. In this study, using the long-term daily discharge data from 8 points of four major rivers, we propose a method of dividing the year into several periods with the homogeneous mean and dispersion of discharg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iod of through a year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int, but it could be divided into pre-flood period, flood period, and post-flood period. And the more subdivided the period, the more decreased the ratio of the maximum discharge to the minimum discharge. In addition, in order to ensure that the discharge for a year is more than the drought discharge and less than the flood discharge, to set the range of discharge management per period as the average flow ± standard deviation for each period is proposed.

Drought Analysis Using the Low Flow Frequency and Computation Model of Maintenance Flow (갈수빈도와 정상유량산정 모델을 활용한 가뭄상황 분석)

  • Son, Kyung-Hwan;Oh, Sung-Ryul;Choi, Ky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56-356
    • /
    • 2017
  • 최근 국토교통부 홍수통제소에서는 가뭄대응을 위해 1, 3개월 갈수예보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국가재난 위기경보단계(관심, 주의, 경계, 심각)에 따라 분류된 기준유량과 예측유량의 비교를 통해 갈수상황을 판단하며, 그 중 기준유량은 일본의 정상유량 산정 기법에 의해 계산된다. 그러나 우기 건기에 따라 상이한 유입량 및 물 사용량이 정상유량 산정에 고려되지 않았고, 각 위기단계별 물 부족상황이 재현되지 못하였다. 또한, 하천유량 부족은 가뭄과 관계가 밀접함에도 불구하고, 가뭄상황과의 연계분석이 이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갈수빈도와 정상유량산정 모델을 이용하여 기준유량을 재설정하고 가뭄상황을 분석하였다. 대상유역은 영산강유역으로 선정하였고, 보고된 하천수사용허가량, 댐 용수 공급량 및 10년 이상 장기간 관측된 관측소별 일 유량자료를 활용하였다. 일 관측유량을 7일 이동평균으로 변환한 후, 유황분석을 통해 $Q_{90}$을 산정하였으며, 빈도별 $Q_{90}$을 계산하였다. 정상유량 산정 모델에서 입력 자료(자연유량, 댐 공급량 및 하천수 허가량)에 가중치를 두어 양을 조절하고 각 빈도에 맞는 관개기 및 비관개기 기준유량을 산정 하였다. 가뭄지수로는 국내 활용성이 높은 Standardized Precipitaion Index (SPI) 및 Standardized Runoff Index (SRI)를 선정하였고, 이를 지속기간 1, 3, 6, 12개월에 따라 일별로 계산하였다. 7일 평균 관측유량이 기준유량 이하일 때, 이시점을 전 후로 가뭄지수의 시공간적 특성과 가뭄의 지속기간 및 심도를 분석하여 가뭄상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갈수예보 시 하천유량 부족에 따른 물수지 및 가뭄상황에 대한 직관적인 판단과 갈수기 효율적인 하천수 조정 협의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 PDF

Change of maintenance flow discharge in Seomjin river basin (섬진강유역 하천유지유량 변화)

  • Jung, Jae Sung;Jo, Min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02-505
    • /
    • 2016
  • 섬진강 유역에서 하천유지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댐은 다목적댐 2개소, 발전용댐 1개소, 생공용수전용댐 1개소, 농업용댐 2개소로 총 6개소가 있고, 섬진강남해수계의 수어댐은 섬진강 하구 일부구간을 제외하면 하천유지유량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섬진강 유역에서 2005년까지 고시된 하천유지유량은 1979년 섬진강 송정지점 염해방지 필요수량 5.5cms만 있었고, 1990년 공고에서는 섬진강 2개 지점에 대한 평균 및 기준 갈수량을 제시하고 별도의 하천유지유량을 고시하지는 않았다. 익산지방국토관리청(1999)에서 하천유지유량이 하천법 제20조의 법적근거를 가지고 영산강 섬진강 수계 전반에 걸쳐 총 23개 지점에서 산정하였다. 동일한 하천유지유량이 2006년에 고시되어 2016년 현재까지 법적 효력을 가지고 있다. 국토해양부(2011)에서 하천수질과 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유지유량을 다시 산정하였는데, 이는 1979년과 2006년 고시유량보다 더 큰 값이다.

  • PDF

Non-Parametric Low-Flow Frequency Analysis Using RCPs Scenario Data : A Case Study of the Gwangdong Storage Reservoir, Korea (RCPs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비매개변수적 갈수빈도 해석: 광동댐 유역을 중심으로)

  • Yoon, Sun Kwon;Cho, Jae Pil;Moon, Young 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4
    • /
    • pp.1125-1138
    • /
    • 2014
  • In this study, we applied an advanced non-parametric low-flow frequency analysis using boundary kernel by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s) climate change scenarios through Arc-SWAT long-term runoff model simulation at the Gwangdong storage reservoir located in Taeback, Gangwondo. The results show that drought frequency under RCPs was expected to increase due to reduced runoff during the near future, and the variation of low-flow time series was appeared greatly under RCP8.5 scenario, respectively. The result from drought frequency of Median flow in the near future (2030s) compared historic period, the case of 30-year low-flow frequency was increased (the RCP4.5 shows +22.4% and the RCP8.5 shows +40.4%), but in the distant future (2080s) expected increase of drought frequency due to the reduction of low-flow (under RCP4.5: -4.7% and RCP8.5: -52.9%), respectively. In case of Quantile 25% flow time series data also expected that the severe drought frequency will be increased in the distant future by reducing low-flow (the RCP4.5 shows -20.8% to -60.0% and the RCP8.5 shows -30.4% to -96.0%). This non-parametric low-flow frequency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RCPs scenarios have expected to consider to take advantage of as a basis data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countermeasures of climate change in the mid-watershed over the Korean Peninsula.

Long Terms Baseflow Separation Using Moving Average Method (이동평균법을 이용한 장기간 기저유출분석)

  • Lee, Sang-Sin;Lee, Sang-Il;Kim, Joo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33-1237
    • /
    • 2010
  • 강변여과는 지표수와 지하수가 각기 갖는 장점과 제약점을 상호 보완하여 수질이 양호한 상수원수를 대량 확보하기 위한 실제적 대안이다. 자연적인 여과작용에 의해 수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어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지만, 장기간 취수는 지하수위의 저하를 가져 올 수 있으므로 유역의 수문분석을 통한 기저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상지역으로는 현재 강변여과를 개발중인 창원시 대산정수장 취수장 지역이며, 대상지역의 기저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대상지역 상류에 위치한 낙동강 본포교의 낙동강 유량을 기초로 기저유출량을 산정하여 지하수 함양율을 평가하였다. 수문곡선 분리는 여러 방법 중 다른 방법보다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인 수평직선분리법을 사용하여 적정 취수 가능량을 산정하기 위한 최소 기저유출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보유 자료 중 연 평균 최저 유출량을 보인 2008년 가을 갈수기의 시작(2008년 10월)부터 2009년 가을 갈수기의 시작(2009년 10월)까지의 자료를 분석했다. 본포교 유량 자료는 8일부터 10일 간격으로 측정되고 있기 때문에 결측치는 최인접 두 지점 사이의 선형보간법으로 보완했다. 다소 많은 양의 결측치에 대한 보정과 해당 유역의 연간 유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이동평균(moving average)을 적용했으며, 적용 결과 관측 주기에 해당하는 10일 이동평균 유출수문곡선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이동평균에 의한 유출수문곡선에 의하면 상승부의 기점은 2009년 6월 12일로 나타났으며 유출량은 47.87cms로 나타났다. 따라서 총 기저유출량은 상승부 기점의 유출량으로 111일 동안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총량은 약 45,900만$m^3$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 본포교를 유역출구로 하는 이 유역에는 임의 유출이 생기는 호우사상 시, 기저유출량은 총 유출량의 6.38%를 최소한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Wetershed Runoff Index for Major Control Points of Geum River Basin Using RRFS (RRFS에 의한 금강수계의 주요지점별 유역유출지표 개발)

  • Lee, Hyson-Gue;Hwang, Man-Ha;Koh, Ick-Hwan;Maeng, Seung-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3
    • /
    • pp.140-151
    • /
    • 2007
  •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velop a watershed runoff index subject to main control points by dividing the Geum River basin into 14 sub-basins. The Yongdam multipurpose dam Daecheong multipurpose dam and Gongju gage station were selected to serve as the main control points of the Geum River basin, and the observed flow of each control point was calculated by the discharge rating curve, whereas the simulated flow was estimated using the Rainfall Runoff Forecasting System (RRFS), user-interfaced software developed by the Korea Water Corporation, based on the Streamflow Synthesis and Reservoir Regulation (SSARR) model developed by the US Army Corps of Engineers. This study consisted of the daily unit observed flow and the simulated flow of the accumulated moving average flow by daily, 5-days, 10-days, monthly, quarterly and annually, and normal monthly/annually flow. We also performed flow duration analysis for each of the accumulated moving average and the normal monthly/annually flows by unit period, and abundant flow, ordinary flow, low flow and drought flow estimated by each flow duration analysis were utilized as watershed runoff index by main control points. Further, as we determined the current flow by unit period and the normal monthly/annually flow through the drought and flood flow analysis subject to each flow we were able to develop the watershed runoff index in a system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abundance and scarcity of the flow at the corresponding point.

Estimation of Instream Flow in Han River (한강에서의 하천유지유량 산정)

  • 오규창;정상만
    • Water for future
    • /
    • v.24 no.1
    • /
    • pp.119-128
    • /
    • 1991
  • This study was focused on establishing the concepts of the instream flow to prevent the problems for the conceptual ambiguity and the difference in the instream flow estimation methods. The average drought flow is defined as the flow required to guarantee the minimum function of the river such as prevention of drying. The environmental control flow is defined as the flow required to control optimal river environment, the flow required for navigation, prevention of sea water-intrusion, protection of river management facilities,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fishing, prevention of river mouth closure, control of groundwater level, protection of animals and plants, and landscape. The average drought flow was obtained by flow duration analysis for the natural flows in the Han River at Indo-Bridge gaging station. When considering the 9 factors related to environment conservation, the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was proved to be most important. The pollutants for the river flows were estimated and the water qualities were forecasted. After comparing the water qualities in the future and water quality standards, there quired optimal dilution flow was estimated. The average drought flow and environmental control flow are all non-consumptive flows. Therefore larger flow between them, i.e., Max. (average drought flow, environmental control flow) can be the instream flow. The river management flow can be added to the flows for water utilization in the downstrea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ery helpful in the systematic river management on the other main rivers in Korea.

  • PDF

용담댐 건설로 인한 금강 상류의 하천환경변화 분석 I - 수문변화분석 -

  • 정승권;정동양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66-970
    • /
    • 2004
  • 전북권에 일정량의 생${\cdot}$공용수를 제공한다는 배경아래 금강수계 최상류에 건설된 용담 다목적댐으로 인해 금강 상류로의 자연 유입량이 인위적으로 감소되었고, 이에 따른 하천수변환경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 건설전 자연유출로 인한 금강 상류구간의 수문변화와 댐 건설로 인한 인위적인 유입유량 감소로 인해 발생되는 수문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용담댐 건설 및 부족한 용수 공급량으로 인한 수질 및 수변${\cdot}$수중생태계 분야의 문제점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차원 수문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금강 상류의 하천횡단자료 445개를 직접 구축하였다. 또한 과거 12년간의 강우 자료를 바탕으로 강우량 편중정도에 따라 평균 강우량을 갈수기, 평수기, 홍수기로 구분하여 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지류유입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소유역별 평균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댐건설전 자연유출량과 댐 건설 후 하천유지목적으로 방류되는 용담댐 방류량 $5.4m^3/s$, 그리고 추가적으로 금강수환경 조사연구용역과 관련하여 용수배분팀(전병호, 2002)에서 제시한 적정 용담댐 방류량 $9.1m^3/s$이 금강수계에 미치는 수문학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용담댐 건설전${\cdot}$ 후의 대청호 유입량을 비교한 결과 갈수기때는 $9.46\%$, 평수기때는 $3.32\%$, 홍수기때는 $33.73\%$의 감소율을 보이고 있다.

  • PDF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from Precipitation in a Small Basin (소유역의 강수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산정)

  • Bae, Sang-Keun;Lee, Seung-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5
    • /
    • pp.397-406
    • /
    • 2004
  •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groundwater recharge rate properly to evaluate the reasonable development amount of groundwater in a specific site. A small basin in Wicheon River Basin located in the Province of Kyungsangbuk-Do is selected to calculate the groundwater recharge rate. Average annual groundwater recharge rates are calculated from 1992 to 1997 because wet and draught year are contained during this period. In the calculation, baseflow separation method and SCS-CN method are applied to this area. As a result of estimation by baseflow separation method, the value of groundwater recharge ratio is varied between 11.9% and 18.7%. The average annual recharge rate is 14.5%. The average annual recharge rate calculated by SCS-CN method is varied between 7.9% and 20.9%. The average annual recharge rate in the calculation period is 15.1%.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annual recharge amount from infiltration in the study basin is 141.6mm and 147.4mm in each estimation method. It appears that the average annual recharge amount calculated for the long period containing wet and draught year by the two methods is useful for groundwater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