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균체류시간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34초

클러스터링 기법을 활용한 출발 여객 체류 시간 분석 (Analysis of Departing Passengers' Dwell Time using Clustering Techniques)

  • 안덕배;김휘양;백호종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380-385
    • /
    • 2019
  • 본 연구는 실제 공항에서 수집되는 여객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항 내 여객의 체류 시간을 분석한 연구이다. 여객의 체류 시간은 공항 터미널 설계, 공항의 수익성에 영향을 주어 중요한 여객 특성으로 간주되어 왔지만 실제 여객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으로 그에 대한 분석이나 실시간 공항 운영에 활용하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스마트 공항의 일환으로 세계 유수의 공항에서 방대한 양의 여객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고,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항 내 여객 체류 시간 분석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국제 공항에서 수집된 여객 데이터를 활용하여 여객 체류 시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방대한 양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 마이닝 기법인 클러스터링을 활용하여 여객을 체류 시간에 따라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인천 국제 공항 출발 여객은 체류 시간에 따라 1) 체류 시간이 짧고 대부분의 시간을 에어사이드에서 보내는 여객, 2) 평균 3 시간 정도의 체류 시간을 갖는 여객, 3) 총 체류 시간이 압도적으로 긴 여객 등 크게 3 개의 클러스터로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염류의 유입농도와 수리학적 체류시간에 따른 달뿌리풀(Phragmites japonica Steudel)의 질소와 인 제거능 (Effects of Nutrient Concentration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on the Removal of N and P by Phragmites japonica Steudel)

  • 신정이;차영일
    • 환경생물
    • /
    • 제17권2호
    • /
    • pp.153-158
    • /
    • 1999
  • 영양염류의 농도와 수리학적체류시간에 따른 달뿌리풀의 질소ㆍ인 흡수 실험 결과로서 NH$_4$-N, NO$_3$-N, PO$_4$-P의 흡수량은 각각 체류시간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F=44.93, 95.52, 12.70, P<0.01)또한 농도에 따라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나타났다(F=1381.69, 3599.38. 1857.57, P<0.01). 유입농도와 체류시간에 따른 흡수량이 예측되었고, 흡수량은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갈수록, 체류시간이 짧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사기막천의 달뿌리풀의 평균 현존식생량 335.9 g/$m^2$, 평균 수질농도 0.308 NH$_4$-N, 1.461 NO$_3$-N, 0.348 PO$_4$-P mg/L, 체류시 간 1일~ 5일 범위에서 1 $m^2$ 1일 기준의 흡수량이 각각 7.31~20.15 NH$_4$-N, 31.15~95.84 NO$_3$-N, 4.09~11.48 PO$_4$-P mg/$m^2$/day로 추정되었고, 본 실험결과로서 달뿌리풀의 하천수질개선의 효과는 비교적 고농도의 질소.인 농도와 짧은 체류시간에서도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혼합대 흐름이 지표수 용질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Hyporheic Flow on Solute Transport in Surface Water)

  • 김준성;정성현;백동해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7-127
    • /
    • 2023
  • 지표수와 하상 경계층에서 발생하는 흐름 교환은 하천, 호소, 연안, 해안 등 자연계에 존재하는 수환경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수리학적 특성으로서, 흐름 교환이 발생하는 경계층 아래 하상층 영역을 혼합대(hyporheic zone)라 부른다. 수질오염사고 등에 의해 외부의 오염물질이 하천 내 유입될 경우, 혼합대 흐름에 의해 하상층으로 침투되고 지표수 대비 유속이 느린 하상 내 공극 흐름에 의해 거동함에 따라 이들의 하천 내 체류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와 하상 흐름을 연계한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혼합대가 지표수 내 용질 체류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연직 2차원 Reynolds 평균 Navier-Stokes(RANS) 방정식과 Darcy 방정식을 연계하여 지표수와 하상 내 흐름을 해석하였다. 지표수 영역은 RANS 방정식을 이용하여 모의하였고, 지표수 흐름해석에서 얻어진 하상의 압력장을 경계조건으로 하여 Darcy 방정식과 함께 하상 내 흐름을 모의하였다. 여기서 하상의 형태는 자연계 하천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사련하상(Ripple bed)으로 모사하였다. 이후, 지표수-하상 연계모의를 통해 얻어진 흐름 결과를 바탕으로 지표수-하상 경계층에서 용질거동을 모의하였다. 흐름 모의결과를 과거 실험자료와 비교한 결과, 지표수 영역 내연직흐름 분포를 정확하게 재현하였고, 동시에 혼합대 흐름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표수-하상 경계층 압력 분포 역시 관측값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용질거동 해석을 통해 얻어진 용질의 체류시간을 분석한 결과, 혼합대 흐름이 고려된 경우(투수성 하상)와 고려되지 않은 경우(불투수성 하상)를 비교했을 때 전자에서 체류시간 분포의 감수곡선이 길어지고 첨두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지표수 영역의 유입부 경계의 평균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 체류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표수-하상 경계층에서의 압력 경사가 커져 혼합대 내 유속이 증가함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마그네슘 부유 분진의 입자 체류시간과 발화온도 (Ignition Temperature and Residence Time of Suspended Magnesium Particles)

  • 한우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3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부유 Mg분진의 최소발화온도(MIT)에 있어서 입자 체류시간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실험자료와 입자속도의 계산결과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평균입경이 증가하면 Mg분진의 MIT는 증가하는 반면에 입자 체류시간(Residence time)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여 분진의 발화 가능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계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온도증가에 의한 입자속도에의 영향은 평균입경이 클수록 미세하지만 증가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입자추적모델을 이용한 거제만의 입자물질 평균체류시간 산정 (Estimation on Average Residence Time of Particulate Matters in Geoje Bay using Particle Tracking Model)

  • 김진호;홍석진;이원찬;김정배;김형철;김동명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0-26
    • /
    • 2016
  • 해역에서의 체류시간은 제한된 영역을 채우는 수체나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서로 다른 수체간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거제만으로 유입되는 육상기원 또는 양식기원 입자물질의 잔류시간을 알아보기 위해 입자추적모델이 포함된 EFDC를 이용하여 입자물질 체류시간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입자물질의 체류시간은 내만에서 약 65일이었는데, 이 결과는 거제만 내측으로 유입되는 입자물질이 외해에 도달하기까지 약 2달 이상의 시간이 소요됨을 의미한다. 이 체류시간은 거제만 전역에 걸쳐 조석의 흐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해역에 유입된 입자물질의 거동이 해역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결정됨을 의미한다. 입자물질 체류시간의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통해 거제 내만의 해수교환이 원활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질오염문제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인 전신마취 환자의 회복실 체류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t factors affecting length of stay in the postanesthesia care unit among elderly from general anesthesia patients)

  • 이수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21-32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 전신마취 환자의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 소재 C대학병원에서 2014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전신마취하에 수술을 받고 회복실에 입실하였던 환자 중 65세 이상인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회복실 체류시간은 평균 48.4분으로 나타났으며, 회복실 체류시간 30-59분이 58.0%로 가장 많았다. 수술중 요인에 따른 회복실 체류시간 정도는 근이완제, 수혈, 동맥혈가스 검사, 체온 그리고 총 마취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후 요인에 따른 회복실 체류시간 정도는 합병증, 자가 통증 조절기, 순환기계 약물사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술 후 '순환기계 약물사용', '수술 중 저체온'이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13%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회복실 체류시간 관련요인들을 모니터링하고 신속하게 처치하여 교정하는 것이 노인 전신마취 환자의 회복실 체류시간의 단축에 기여할 것으로 사려된다.

환경변화에 따른 조류 발생 변화 (Characteristics of Algae Occurrence on Environmental Changes)

  • 노성유;신유나;최희락;이재윤;이재안;류덕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3호
    • /
    • pp.278-286
    • /
    • 2015
  • 환경변화(체류 시간)에 따른 조류발생기작 및 이동특성 연구를 위해 현장규모 모의실험장치를 제작하여 낙동강 수계의 강정 고령보를 대상으로 체류 시간에 따른 조류발생 및 이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장규모 모의실험장치는 조류배양의 효율성 및 조류성장 관찰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투명아크릴로 제작하였다(직경 1 m, 높이 4 m, 가변형 원통수조, 3 sets). 빛 차단장치, 수심별 유입장치, 재이용수 저류조 등의 부대시설을 설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체류 시간 조건은 2일(보설치 전, 실험조 1), 8일(보설치 후 2013년 체류 시간, 실험조 2), 30일(2014년 체류 시간, 실험조 3)로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조별 수온은 실험조 1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험조 3에서는 표층(0 m)과 저층(4 m) 간 약 $3^{\circ}C$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용존산소(DO), pH 변화 분석 결과 모든 실험조에서 표층 0 m에서 저수심(2 m, 4 m)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영양염류(TN, $PO_4-P$)는 모든 실험조에서 부영양 상태를 나타냈다. Chlorophyll-a 분석 결과 실험조 1은 평균 $19.8{\mu}g/L$, 실험조 2는 평균 $35.0{\mu}g/L$, 실험조 3은 평균 $36.6{\mu}g/L$로 실험조 1 보다 실험조 2, 3에서 약 2배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환경 요인 중 체류 시간은 식물플랑크톤 발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황을 이용한 독립영양탈질에서의 체류시간과 온도의 영향 (Effects of Hydraulic Retention Time and Temperature on Sulfur-utilizing Autotrophic Denitrification)

  • 변정섭;범봉수;조광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05-415
    • /
    • 2000
  • 전자공여체로 황 입자를 충전시킨 상향류 고정상에서 유입수의 $NO_3{^-}$-N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체류시간과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독립영양 탈질실험을 실시한 결과, 체류시간 및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처리수의 $NO_2{^-}$-N 및 발생가스의 $NO_2$ 농도가 증가하면서 탈질효율이 악화되고 가스발생량은 감소하였다. 제거된 $NO_3{^-}$-N 1g당 소모된 알칼리도의 양은 실험조건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어, 체류시간 영향 실험에서는 3.44~5.71 g. 평균값 4.67 g로 이론값인 4.57 g에 근사하였으나, 온도 영향 실험에서는 6.58~13.41 g, 평균값 9.12g은 이론값의 2배 정도되었다. 제거된 $NO_3{^-}$-N 1 g당 생성된 $SO_4{^{2-}}$의 양은 체류시간 영향 실험에서는 6.99~9.69 g, 평균 8.20 g이었으며, 온도 영향 실험에서는 6.44~8.16 g, 평균 7.51g으로 이론값인 7.54 g에 가깝게 나타났다. 반응조 길이 방향에 따른 탈질은 반응속도상수가 0.1648/hr인 1차반응으로 그리고 황산염 생성은 반응속도상수가 241/hr인 0차반응으로 나타났으며, 온도보정계수는 평균 1.130으로 계산되었다. 그러나 질소수지를 따진 결과 이론치와 실측치간에 큰 차이를 보여 이의 규명을 위한 연구가 요망된다.

  • PDF

Membrane bioreactor(MBR)과 Reverse osmosis(RO) 공정을 이용한 하수처리 (Sewage Treatment using Membrane Bioreactor(MBR) and Reverse Osmosis(RO) Process)

  • 오승욱;정종태;이진우;김종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21-28
    • /
    • 2007
  • 본 연구는 합성하수 처리에 있어 MBR-RO 공정 적용시 유기물 및 질소, 인 제거에 대하여 수리학적체류시간이 제거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MBR 공정에서 탁도는 운전기간(105일)동안 2 NTU 이하로 평균 99% 이상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또한 수리학적체류시간 6, 12, 18 그리고 24 hour에 대한 $COD_{Cr}$, T-N, $NH_4{^+}-N$ 그리고 T-P의 평균 제거효율을 살펴보면, $COD_{Cr}$의 평균 제거율은 각각 72.4, 84, 88.6 그리고 92.5%, $NH_4{^+}-N$의 제거효율은 각각 60.2, 85.5, 91.3 그리고 92.2%였다. T-N과 T-P의 제거효율은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6시간에서 24시간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각각 53.7과 56.8%에서 82.5와 86.4%로 증가했다. RO 공정에서 색도와 $COD_{Cr}$의 제거효율은 각각 99.9%와 96.8%였다. 또한 RO 유출수에서 T-N, $NH_4{^+}-N$, $NO_3{^-}-N$ 그리고 T-P는 평균 90% 이상 제거되었다.

  • PDF

연소로 내 2차공기의 주유동 수직방향 선회분사로 인한 선회류가 스월수에 따른 가스 체류시간과 혼합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wirling Flow by Normal Injection of Secondary Air on the Gas Residence Time and Mixing Characteristics in a Combustor)

  • 박상욱;전병일;류태우;황정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0권1호
    • /
    • pp.48-56
    • /
    • 2006
  • We investigated gas residence time and mixing characteristics due to various swirl numbers generated by normal injection of secondary air to a lab-scale cylinderical combustor. The residence time was estimated by measuring the temporal pressure difference which was caused by deposition of test particles on a filter media after the injection by a syringe. The mixing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by standard deviation value of test gas concentration at different measuring points. The test gas concentration was detected by a gas analyzer. The swirl number of $20{\sim}30$ for ${\theta}=5^{\circ}$ caused long residence time enough to improve mixing characteristics. Numerical calculations were also carried out to understand physical meanings of the experimental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