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가 데이터셋

Search Result 48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ep Learning Model Validation Method Based on Image Data Feature Coverage (영상 데이터 특징 커버리지 기반 딥러닝 모델 검증 기법)

  • Lim, Chang-Nam;Park, Ye-Seul;Lee, Jung-Wo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0 no.9
    • /
    • pp.375-384
    • /
    • 2021
  • Deep learning techniques have been proven to have high performance in image processing and are applied in various fields. The most widely used methods for validating a deep learning model include a holdout verification method, a k-fold cross verification method, and a bootstrap method. These legacy methods consider the balance of the ratio between classes in the process of dividing the data set, but do not consider the ratio of various features that exist within the same class. If these features are not considered, verification results may be biased toward some features. Therefore, we propose a deep learning model validation method based on data feature coverage for image classification by improving the legacy methods. The proposed technique proposes a data feature coverage that can be measured numerically how much the training data set for training and validation of the deep learning model and the evaluation data set reflects the features of the entire data set. In this method, the data set can be divided by ensuring coverage to include all features of the entire data set, and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model can be analyzed in units of feature clusters. As a result, by providing feature cluster information for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trained model, feature information of data that affects the trained model can be provided.

Dataset construction and Automatic classification of Department information appearing in Domestic journals (국내 학술지 출현 학과정보 데이터셋 구축 및 자동분류)

  • Byungkyu Kim;Beom-Jong You;Hyoung-Seop Sh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343-344
    • /
    • 2023
  • 과학기술 문헌을 활용한 계량정보분석에서 학과정보의 활용은 매유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에 출현하는 대학기관 소속 저자의 학과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 정제 및 학과유형 분류 처리를 통해 학과정보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학과정보 데이터셋을 학습데이터와 검증데이터로 이용하여 딥러닝 기반의 자동분류 모델을 구현하였으며, 모델 성능 평가 결과는 한글 학과정보 기준 98.6%와 영문 학과정보 기준 97.6%의 정확률로 측정되었다. 향후 과학기술 분야별 지적관계 분석 및 논문 주제분류 등에 학과정보 자동분류 처리기의 활용이 기대된다.

  • PDF

Construction of Evaluation-Annotated Datasets for EA-based Clothing Recommendation Chatbots (패션앱 후기글 평가분석에 기반한 의류 검색추천 챗봇 개발을 위한 학습데이터 EVAD 구축)

  • Choi, Su-Won;Hwang, Chang-Hoe;Yoo, Gwang-Hoon;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67-472
    • /
    • 2021
  • 본 연구는 패션앱 후기글에 나타나는 구매자의 의견에 대한 '평가분석(Evaluation Analysis: EA)'을 수행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품의 검색 및 추천을 수행하는 의류 검색추천 챗봇을 개발하는 LICO 프로젝트의 언어데이터 구축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평가분석 트리플(EAT)'과 '평가기반요청 쿼드러플(EARQ)'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주석작업은, 도메인 특화된 단일형 핵심어휘와 다단어(MWE) 핵심패턴들을 FST 방식으로 구조화하는 DECO-LGG 언어자원에 기반하여 반자동 언어데이터 증강(SSP) 방식을 통해 진행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20여만 건의 후기글 문서(230만 어절)로 구성된 EVAD 평가주석데이터셋이 생성되었다. 여성의류 도메인의 평가분석을 위한 '평가속성(ASPECT)' 성분으로 14가지 유형이 분류되었고, 각 '평가속성'에 연동된 '평가내용(VALUE)' 쌍으로 전체 35가지의 {ASPECT-VALUE} 카테고리가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EVAD 평가주석 데이터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F1-Score 0.91의 성능 평가를 획득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다른 도메인으로의 확장된 적용 가능성이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 PDF

Data Augmentation of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Tutoring Dialogs using ChatGPT (ChatGPT 를 이용한 독해 튜터링 대화 데이터 확장)

  • Hyunyou Kwon;Sung-Kwon Choi;Jinxia Huang;Oh-Woog Kwo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3.05a
    • /
    • pp.43-44
    • /
    • 2023
  • 대화형 독해 튜터링 시스템을 위한 학생주도 대화 데이터셋 생성 및 확장에 ChatGPT 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단순히 수동으로만 구축한 기존의 데이터셋과 ChatGPT 에 의해 반자동으로 확장된 데이터셋을 비교한 결과, 구축량, 소요 시간, 비용 및 반복 작업 측면에서 ChatGPT 가 가진 유용성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유형별 배분의 편중과, 부적절한 데이터 생성 등의 한계도 나타났다. Chat GPT 의 빠른 발전이 예상됨에 따라 대화형 튜터링 분야에 ChatGPT 에 의한 반자동 데이터 확장 방법이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eep learning based crack detection from tunnel cement concrete lining (딥러닝 기반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 균열 탐지)

  • Bae, Soohyeon;Ham, Sangwoo;Lee, Impyeong;Lee, Gyu-Phil;Kim, Donggyou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4 no.6
    • /
    • pp.583-598
    • /
    • 2022
  • As human-based tunnel inspections are affected by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inspector, making continuous history management difficult. There is a lot of deep learning-based automatic crack detection research recently. However, the large public crack datasets used in most studies differ significantly from those in tunnels. Also, additional work is required to build sophisticated crack labels in current tunnel evaluation. Therefore, we present a method to improve crack detection performance by inputting existing datasets into a deep learning model. We evaluate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deep learning models trained by combining existing tunnel datasets, high-quality tunnel datasets, and public crack datasets. As a result, DeepLabv3+ with Cross-Entropy loss function performed best when trained on both public datasets, patchwise classification, and oversampled tunnel datasets. In the future, we expect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plan to efficiently utilize the tunnel image acquisition system's data for deep learning model learning.

Research on Improving Fire Detecti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Performance (화재 탐지 인공지능 모델 성능 개선 연구)

  • Lee, Jeong-Rok;Lee, Dae-Woong;Jeong, Sae-Hyun;Jung, 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02-203
    • /
    • 2023
  • 최근 화재 탐지 분야는 불꽃 연기의 특징과 인공지능 인식(Detection) 모델을 활용하여 탐지율을 높이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기존 화재 탐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모델 연구 이외에도 불꽃·연기의 특징을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 가공한 학습 데이터셋을 활용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재 탐지시 불꽃/연기의 오탐지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고 오탐지율을 낮추기 위해 화재 상황을 인식하여 분류하는 방법과 데이터셋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동영상을 학습데이터로 활용하여 화재 상황의 특징을 추출하여 분류모델에 적용하였다. 평가는 한국정보화진흥원(NIA)에서 진행하는 화재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Yolov8, Slowfast의 모델 성능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 PDF

Building Sentiment-Annotated Datasets for Training a FbSA model based on the SSP methodology (반자동 언어데이터 증강 방식에 기반한 FbSA 모델 학습을 위한 감성주석 데이터셋 FeSAD 구축)

  • Yoon, Jeong-Woo;Hwang, Chang-Hoe;Choi, Su-Won;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66-71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어 자질 기반 감성분석(Feature-based Sentiment Analysis: FbSA)을 위한 대규모의 학습데이터 구축에 있어 반자동 언어데이터 증강 기법(SSP: Semi-automatic Symbolic Propagation)에 입각한 자질-감성 주석 데이터셋 FeSAD(Feature-Sentiment-Annotated Dataset)의 개발 과정과 성능 평가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FeSAD는 언어자원을 활용한 SSP 1단계 주석 이후, 작업자의 주석이 2단계에서 이루어지는 2-STEP 주석 과정을 통해 구축된다. SSP 주석을 위한 언어자원에는 부분 문법 그래프(Local Grammar Graph: LGG) 스키마와 한국어 기계가독형 전자사전 DECO(Dictionnaire Electronique du COréen)가 활용되며, 본 연구에서는 7개의 도메인(코스메틱, IT제품, 패션/의류, 푸드/배달음식, 가구/인테리어, 핀테크앱, KPOP)에 대해, 오피니언 트리플이 주석된 FeSAD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프로세싱을 소개하였다. 코스메틱(COS)과 푸드/배달음식(FOO) 두 도메인에 대해, 언어자원을 활용한 1단계 SSP 주석 성능을 평가한 결과, 각각 F1-score 0.93과 0.90의 성능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FbSA용 학습데이터 주석을 위한 작업자의 작업이 기존 작업의 10% 이하의 비중으로 감소함으로써, 학습데이터 구축을 위한 프로세싱의 소요시간과 품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imulation technique to create dataset of RFID business events (RFID 비즈니스 이벤트 데이터셋의 생성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법)

  • Ryu, Woo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289-291
    • /
    • 2013
  • As an wireless identification technology, RFID is now extending its application area including logistics, medicine, and healthcare. Adoption of RFID demands high cost such as h/w, s/w, and so on. To adopt RFID, we need to evaluate validity of application area and feasibility of RFID S/W such as EPC Information Service (EPCIS), which demands a variety of RFID test datasets. In this paper, I propose a novel method for generating RFID business events dataset by means of the simulation of RFID application environment. Proposed method can generate near-real RFID event dataset by means of representing various RFID application environment into abstract network model based on petri-net. In addition, it can also be useful when determining adoption of RFID as well as when evaluating RFID system.

  • PDF

Grade Analysis and Two-Stage Evaluation of Beef Carcass Image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을 이용한 소도체 영상의 등급 분석 및 단계별 평가)

  • Kim, Kyung-Nam;Kim, Seon-Jo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2
    • /
    • pp.385-391
    • /
    • 2022
  • Quality evaluation of beef carcasses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livestock industry. Recently, through the AI monitor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quality manager can receive help in making accurate decis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beef carcass images or result information. This artificial intelligence dataset is an important factor in judging performance. Existing datasets may have different surface orientation or resolu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a two-stage classification model that can efficiently manage the grades of beef carcass image using deep learning. And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various conditions of the image, a new dataset of 1,300 images was constructed. The recognition rate of deep network for 5-grade classification using the new dataset was 72.5%. Two-stage evaluation is a method to increase reliability by taking advantage of the large difference between grades 1++, 1+, and grades 1 and 2 and 3. With two experiments using the proposed two stage model, the recognition rates of 73.7% and 77.2% were obtained. As this, The proposed method will be an efficient method if we have a dataset with 100% recognition rate in the first stage.

Evaluate and Use of humor data for humor processed automating (유머 자동 처리를 위한 유머 데이터 평가 및 활용)

  • Kang Joeun;Lee Jaewon;Oh Chaeeun;Kim Hansae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190-195
    • /
    • 2023
  • 의사소통 기술에서 유머는 사람을 웃게 만들며 분위기를 환기시키고, 관계를 돈독하게 만드는 효과를 지닌다. 이를 자연어처리에서 유머 분류, 인식, 탐지로 적용하여 유머를 기계에 학습시키려 하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지만 유머의 주관성과 윤리적 문제로 탁월한 성능을 기록하기 어렵고, 특히 한국어 유머에 대한 자연어처리 분야의 논의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머 평가 체계를 만들어 ChatGPT에 적용하여 유머 인식의 주관성을 극복할 수 있는 자동화 실험을 진행한다. 이때, 유머의 윤리적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한국 법률을 적용한 윤리 기준을 도입하여 유머 데이터셋을 마련하였으며, 데이터셋을 ChatGPT에 fine-tuning 하여 재미있는 생성 모델의 개발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