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가척도

검색결과 2,421건 처리시간 0.028초

방송통신 연구성과 측정지표 및 척도 도출 연구 (An Evaluation Method for R&D Projects in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 이은곤;김경규;류성열;유영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5-187
    • /
    • 2012
  • 방송통신 연구개발 과제 관리 및 평가 체계의 개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미 해외 주요국과 국내 정부 및 연구기관에서는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공감하고 구체적인 지표 개발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 과제 성과평가지표 및 척도를 개발하여 현행 체계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특징으로 연구개발 과제의 가치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을 정리하고 국내외 주요 기관들의 평가지표와 척도를 분류, 종합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산/학/연의 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해 지표와 척도 내용을 방송통신 환경에 적합하도록 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송통신 연구성과 측정 지표 및 척도는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성과 평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공연관광 정책지원을 위한 평가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Development of evaluation scale in Korea performance supporting policy)

  • 김장원;강도용;김철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443-450
    • /
    • 2014
  • 외래 관광객 천만명 시대에 관광콘텐츠로서 공연관광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공연관광 외래객이 2012년도 162만명을 돌파한 상황에서 공연관광 상품의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성장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공연관광 상품은 관광산업의 성장을 제고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콘텐츠로 기존 작품뿐만 아니라 신규공연관광 상품에 대한 중장기적인 관점의 지원정책 및 평가척도 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공연 전문가의 FGI와 AHP 분석을 활용하여, 관광 상품으로서 공연작품에 대한 정책적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공연관광에 대한 학문적, 공연산업의 현실적 측면을 고려한 최종 도출된 척도는 4개의 대분류, 12개의 중 분류, 39개의 세부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척도의 AHP 분석을 통한 공연관광 상품의 현황조사 등은 공연관광 상품의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수산 산업의 특수성과 불확실성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기술력평가 모형개발과 시범사례 연구 (Development of simulation-based technology evaluation model reflecting the specificity and uncertainty of marine fisheries industry and its case study)

  • 안민호;김광훈;서주환;김상국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9-303
    • /
    • 2017
  • 기술력평가는 기술사업화 주체가 기술을 사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기술성 평가기관들이 각자 독자적인 평가 모형을 활용하여 평가를 수행해오고 있다. 특히 최근에 개발된 해양 및 수산 산업 분야의 기술력 평가모형은 타 산업 대비 열악한 기술개발 환경과 연구개발 성과를 대상으로 평가를 수행해오면서 기존의 평가체계 내에서는 많은 평가대상 기술들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오고 있었다. 이러한 것은 기존 평가체계가 타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공통적인 평가지표와 평가척도를 유사 또는 동일하게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인식되었고, 또한 해양 및 수산 산업의 특수성이 반영되지 않은 평가체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존 평가체계를 해양수산 산업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체계로 개선하여 해당 산업에 특화될 수 있는 평가체계를 새롭게 제안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 기존 평가지표의 개선, 시뮬레이션 기반의 평가척도의 재설정 방법과 평가등급 산출방법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개선된 기술력평가 체계를 활용하여 시범사례평가를 수행하여 기존 평가체계를 통한 평가결과의 Gap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PDF

QFD 기법을 이용한 CMM 2단계 척도 선정 (QFD application to select CMM level 2 metrics)

  • 김종윤;정호원;김길조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홍익대학교, 서울; 1 Nov. 1997
    • /
    • pp.45-48
    • /
    • 1997
  •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의 CMM(Capability Maturity Model)은 소프트웨어 개발 공정 및 조직의 성숙도를 5개의 계층적인 단계로 분류, 평가하며, 성숙도 측정의 기준으로 계량적인 메저먼트를 각 단계별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MM에 의해 제시된 메저먼트에 근거하여 정의되고 사용된 척도의 선정에 정보시스템 개발 및 품질 관리 기법인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를 적용하였다. 척도 사용자 그룹으로부터 CMM의 관심 영역, 사용 척도, 척도 계산에 필요한 측정치,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에 이르는 과정을 단계적인 흐름으로 파악하여 적절한 척도를 선택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디지털 디바이스 내장형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평가 기술 개발 (A Developmen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Technology for Smart Battlefield Jacket)

  • 박선형;이주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국제감성 심포지엄
    • /
    • pp.51-52
    • /
    • 2007
  • 미래의 '정보전장'에서는 모든 전투 개체가 실시간 정보를 공유하면서 작전을 수행하게 되며, 병사 또한 하나의 체계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가 내장된 스마트 전투복을 입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선진국들은 여러 해 전부터 스마트 전투복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동참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병사 구성품과 디지털 디바이스를 의복 내에 포함시켜 설계함에 있어서 병사의 동작과 체형에 적합한 설계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프로토타입을 착용한 후 그 사용성을 평가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미래병사의 전투력 향상을 위해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를 내장한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스마트의류의 사용성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 내장형 전투복 프로토타입의 사용하여 사용성평가의 척도를 새롭게 개발하고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 평가 척도와 기술을 개발하였다.

  • PDF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 소프트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구조화 모형에 관한 연구 (A Structured Model for Usability Evaluation of Software User Interfaces during the Design and Development Phases)

  • Lim, Chee-Hwan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1권47호
    • /
    • pp.25-33
    • /
    • 1998
  • 오늘날 인간-컴퓨터 시스템에서 상호작용 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사용성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인간공학 분야에서 이전 연구들은 소프트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사용성 평가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들, 인터페이스 설계자들 또는 인간공학자들은 개발되는 시스템들이나 인터페이스 디자인들을 평가하는 일에 종종 직면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용성 기준들과 척도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들의 평가를 위한 구조화 모형을 제시한다. 제시된 모형은 선별 단계와 평가 단계로 이루어진 두단계 모형이다. 첫 번째 단계는 정성적인 기준들을 가지고 전문가들의 판단에 근거한 접근방법으로 가능한 인터페이스 대안들을 추려내어 합리적인 부분집합으로 줄이기 위한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정량적인 기준들을 가지고 실 사용자에 근거한 접근 방법으로 객관적인 척도들을 가지고 첫 단계에서 제시된 대안들의 부분집합을 평가하는 것이다. 제안된 방법이 정보분석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설계에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형은 실제 평가자들에게 사용성 기준들과 척도들에 근거해서 최선의 인터페이스를 선정할 수 있는 구조화된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 PDF

어린이집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Scales for Day Care Programs)

  • 이은해;송혜린;신혜영;최혜영
    • 아동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9-213
    • /
    • 2002
  • This preliminary study aimed to develop 3 assessment scales for self-evaluation by day care directors and teachers. The development of major areas of evaluation and items as well as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item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related research and major evaluation instruments. A panel of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amined the contents. The 3 preliminary scales were administered in 87 day care centers; data were analyzed by item response distribution, item discrimination, and reliability of the scales. Items indicating low item discrimination were deleted and minor revisions were made to improv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each scale. The final version of the 3 scales is valid for use as self-evaluation instruments by day care directors and teachers.

  • PDF

문제해결 과정 모형에 기반한 "발표용 문서 작성" 영역 수행평가 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Rubrics for Performance Assessment for Presentation Document Writing Area based Problem Solving Process Model)

  • 강성걸;정인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71-378
    • /
    • 2007
  • 21세기 IT 선진국을 꿈꾸면서 우리나라는 2001년도부터 초등학교를 비롯한 각급 학교에서 컴퓨터 교육을 실시해 오고 있다. 그러나 기능 위주의 ICT교육은 학생들의 정보 소양 교육에 적당하지 못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2005년도에는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 개정안" 이 발표되면서 정보 소양 교육이 보다 체계적인 틀을 갖추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은 컴퓨터 교육에 수행 평가를 도입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수행평가는 단순한 기능교육 위주의 컴퓨터 교육을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의 본격적인 교육을 가능하게 하지만 좋은 수행평가 척도 없이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기술교육의 올바른 교육을 위하여 "발표용 문서 작성" 영역의 수행평가 척도를 개발하였다.

  • PDF

마직물의 태에 관한 연구 -주관적 태 평가 방법과 객관적 태 측정을 통한 산출식의 개발을 중심으로-

  • 박성혜;유효선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논문집
    • /
    • pp.219-219
    • /
    • 1999
  • 마직물은 통기성, 흡수성, 투습성이 좋고 건조가 빠른 편이므로 여름철 직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마직물은 또한 뻣뻣하며 몸에 감기지 않고 촉감이 깔깔하여 시원한 느낌을 주며 다른 직물에 비해 강직하고 표면이 거칠고 드레이프성이 떨어지는 등의 독특한 태를 가지고 있다. KES-F 시험기에 의해 여러 물성량들을 종합적으로 계측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의복의 착용감에 만족을 주는 소재의 성능에 대한 연구가 종래의 주관적평가에서 KES-F 시스템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태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태를 평가하는 객관적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Kawabata와 Niwa에 의해 만들어진 평가식들이 주로 사용되나 이런 식들은 주로 모직물이나 합성섬유직물들을 평가하기에는 적합하지만 마직물의 독특한 태를 평가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마직물의 태가 기존의 객관적 평가방법만으로는 규명되지 않기 때문에 주관적 태평가방법을 아울러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직물의 태를 평가하는 방법의 하나로 주관적 평가척도를 개발하고 이 척도를 사용하여 마직물의 주관적인 태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KES-FB 시스템을 사용한 객관적인 태를 측정하여 주관적 평가치와 객관적 측정치로부터 태 평가의 산출식을 유도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직물은 혼방률, 밀도, 두께 등이 다양한 암, 저마 그리고 마혼방직물과 한산모시, 중국마, 신합섬 직물 등 총 54종을 사용하였다. 마직물의 주관적 태 평가를 위해 26문항의 형용사쌍으로 구성된 9점의 의미미분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이 척도를 사용해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 객관적 평가를 위해 KES-FB 시스템을 통해 역학적 특성치를 구하였다. 주관적 평가를 실시한 결과 마직물의 태에 영향을 미치는 7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 요인들은 표면성질, 신축성/드레이프성, 중량감, 강연성, 회복성, 수분특성, 밀도감이었으며, 요인들로 설명되는 누적분산값은 67.18%였다.주관적 평가의 결과와 객관적 평가 결과를 이용해 마직물의 태를 평가하는 산출식을 제시하였다. 태 평가치의 경우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과 stepwise 방법, 또 Kawabatark 사용한 순차적 군 회귀법의 세가지 방법의 회귀식 중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았다.

  • PDF

Using Genre Rating Information for Similarity Estimation in Collaborative Filtering

  • Lee, Sooj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93-100
    • /
    • 2019
  • 유사도 계산은 메모리 기반 협력필터링 시스템의 성능에 매우 중요하다. 이 시스템들은 사용자 평가치들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업 사이트에서 고객들에게 상품을 추천한다. 더욱 적합한 추천을 위해 현 사용자와 가장 유사한 사용자들을 선정하여 참조한다. 기존 문헌에는 많은 유사도 척도들이 개발되었는데, 이들은 대개 데이터 희소성이나 완전 시작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척도들과는 달리 사용자 평가치들로부터 선호 정보를 최대한 추출함으로써 희소한 데이터 조건에서도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유사도값을 산출하고자 한다. 사용자 평가치 뿐만 아니라 데이터셋이 제공하는 영화장르 정보를 이용하는 새로운 유사도 척도를 제시한다. 본 척도와 기존의 관련된 척도들의 성능 실험을 하였고, 그 결과, 제안 척도는 주요 성능 평가기준 상으로 더욱 우수하거나 유사한 성능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