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가대상

Search Result 20,627,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the Plans for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국내외 전략환경평가 대상계획 비교 연구)

  • Oh, Jinkwan;Kwon, Youngha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4 no.3
    • /
    • pp.244-259
    • /
    • 2015
  • The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EIA) in Korea has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for 15 policy-level plans and 86 project-level plans since 2012. Lately an important issue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policy has been emerged regarding the expansion of the policy-level plans subjected to SEIA. Thus, we propose the plans that need to be included in the system, compared with those subjected to the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SEA) enforced in the law or the guideline of 10 foreign counties, especially with those of Germany, France, Italy, the United Kingdom, and Netherlands. Specifically the study suggests that plans related to energy as well as land use, which are well known to cause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s and subjected to the federal-level SEA in those countries, should be the subject of SEIA.

KAPE의 발견 1 - '제15회 전국축산물품질평가대상' 시상식

  • 축산물품질평가원
    • KAPE Magazine
    • /
    • s.256
    • /
    • pp.7-9
    • /
    • 2017
  • 2017년 11월 29일 세종시 축산물품질평가원 세종홀에서 '제15회 전국축산물품질평가대상 시상식'이 개최됐다. 올해로 15회째를 맞는 전국축산물품질평가대상은 매년 가장 좋은 품질의 한우 한돈 육우 계란을 생산한 농가에 대해 시상을 해오고 있다.

  • PDF

주식을 과연 투자대상으로 고려해도 좋은가?

  • Park, Jeon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9 no.1
    • /
    • pp.145-161
    • /
    • 2003
  • 본 연구는 1980년부터 1999년까지 20년간 주식을 비롯하여 회사채, 국채, 정기예금, 그리고 부동산의 투자성과를 먼저 포트포리오 선택기준으로 사용되는 평균-분산 기준, 기하평균수익률 기준, 그리고 안전제일기준으로 각 투자자산의 투자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그리고 위험조정 성과평가 방법인 Sharpe 측정치, Treynor 측정치,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의해서도 각 투자대상의 투자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첫째, 평균-분산 기준에 따른 투자성과를 살펴보았을 때, 주식의 연평균수익률이 18.6%로 가장 높았으나 위험이 35.7%로 수익률에 비해 지나치게 높았다. 위험 한 단위당 수익률을 평가했을 때에는 정기예금이 가장 우수한 투자대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사채와 국채가 그 다음이었다. 주식은 가장 열등한 성과를 보였다. 둘째, 기하평균수익률에 의해 자산의 투자성과를 평가했을 때에는 회사채와 국채의 수익률이 15.4%와 14.4%로 주식의 수익률, 13.6%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주식을 규모별로 나누어 수익률을 측정했을 때 소형주의 기하평균수익률이 25.3%가 되어 다른 투자대상의 수익률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정기예금의 기하평균수익률(10.5%)은 주식보다 낮았고 부동산(7.5%)이 가장 열등하였다. 셋째, Roy의 기준으로 투자자산의 성과를 평가했을 때에도 회사채와 국채가 각각 1위와 2위를 보였고 정기예금이 3위를 나타냈다. 주식은 정기예금보다 못한 4위에 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위의 세 기준에 의한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회사채와 국채가 가장 뛰어난 투자대상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정기예금이 그 다음으로 투자성과가 좋았고 주식은 정기예금보다도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위험조정 성과평가 방법인 Sharpe 측정치, Treynor 측정치,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의해서도 각 투자대상의 투자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먼저 Sharpe 측정치에 의해 평가했을 때, 회사채가 주식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Treynor 측정치에 의한 평가를 했을 때는 정기예금이 가장 우수했다.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따라 투자대상을 평가했을 때는 회사채와 국채가 주식보다 앞섰다. 마지막으로, 종합적인 평가를 했을 때는 회사채가 주식보다 우수했고 정기예금은 주식과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 PDF

The Comparative Analysis for Priority Or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Resources Development Pla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남북한 관광자원개발 계획특성에 관한 우선순위 비교분석)

  • Kim, Sa-Young;Jang, Jun-B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2
    • /
    • pp.613-62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iorities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resources development pla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 Through a preliminary investigation 287 lists of questions were distributed from May 14, 2012 to December 5, 2012 and from among them 252 lists were used. Expert Choice 11.5 was used to do pairwise comparisons and priorities assessment. Based up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e priority order sets of the domain of tourism resources development plan should be related to the development contents, the development objects, the development patterns, and the development subjects in the South Korea. Those should be related to the development subjects, the development objects, the development contents, and the development patterns in the North Korea.

보안토큰 평가대상 및 보안환경에 대한 연구

  • Gwak, Jin;Hong, Won-Sun;Lee, Wan-Seo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11
    • /
    • pp.51-57
    • /
    • 2007
  • 본 고에서는 미 국방성(DoD: Department of Defense) 커뮤니티 지원 하에 국가안전보장국 (NSA: National Security Agency)에 의해 작성된 공개키 기반구조 및 키 관리 기반구조 보안토큰 보호프로파일에서의 평가대상(TOE: Target of Evaluation) 분석을 통해 보안토큰에서의 평가대상 (TOE)에 대한 응용과 보안환경에 대하여 분석한다.

A Study of usability for Kids Sites Interface (유아 웹 사이트 인터페이스의 사용 편의성 연구)

  • Lee, Kyung 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841-844
    • /
    • 2004
  • 본 논문은 성인과 다른 기저를 가진 미취학 연령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웹사이트들의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이드라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관련 연구를 통해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현재 가장 많은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유아사이트를 대상으로 사용 편의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평가 대상이 인지능력과 언어발달이 완전하지 않은 미취학 연령인 유아인 점을 고려하여 관찰 및 모니터링 방법으로 사용성 평가를 하였으며 평가결과를 토대로 인터페이스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안했다.

  • PDF

A Case Study of Expanding the Health Impact Assessment on the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s (주거지 개발계획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확대와 사례분석)

  • Kim, Eunchae;Ha, Jongsik;Tak, Jongseo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4
    • /
    • pp.250-264
    • /
    • 2022
  • The development projects subject to health impact assessment (HIA) in the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system are limited to some projects under Article 1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Additional Assessment Objects Subject to Health Impact Assessment Items), but health impact-related matters are being evaluated and reviewed during consultation. In particular, when a development site is planned around some pollutant sources in a residential development plan, it is evaluated and reviewed whether the site meets the risk criteria through a current concentration survey of major hazardous air pollutants. This study prepared a quantitative metho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location of the residential area to be developed in the residential development plan and proposed a plan to expand the project subject to HIA within the EIA procedure. A detailed methodology was proposed by reviewing the screening and scoping procedures of the EIA system, and a case analysis of the urban development plan discussed in the pa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thodology.

패키지 소프트웨어 품질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이국철;이성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43-152
    • /
    • 1999
  •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선진국들은 자국에 유리한 소프트웨어 품질표준을 만들어 이를 국제 표준에 반영하고, 외국 소프트웨어에 대한 진입 규제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상품인 소프트웨어는 전자상거래를 통한 거래가 쉬운 이점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패키지 소프트웨어에 관한 품질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가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국내외 소프트웨어 품질평가모형을 도출하고, 그 평가모형을 바탕으로 전자상거래에서 활용 가능한 패키지 소프트웨어만을 대상으로 품질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평가모형을 적용하기에 앞서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품질평가모형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은 현재 개발업체가 취급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종류와 개발업체에서 평가받기를 원하는 제품의 종류, 그리고 평가대상이 될 수 있는 패키지 소프트웨어 제품의 경쟁력 수준과 관련하여 선진국의 제품과 비교하여 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개발자 입장에서 품질평가 항목별로 중요도를 조사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품질평가모형의 적용 대상을 선정하였다. 적용대상 제품은 모두 14개로 각각의 제품들을 게임, OA, 통신, ERP, 4GL, OS 소프트웨어로 분류하고 제품에 대한 평가는 개발자(개발경력 3년 이상)와 일반사용자로 분류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제품분야별로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전문가 집단에 의뢰하여 적용하였다. 평가방법은 각각의 제품에 대한 평가점수를 1점부터 5점까지 나누어 평가결과를 평균값으로 나타냈으며, 평가결과에 대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동종제품간 평가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제품을 비교하였으며, 둘째 소프트웨어 종류별 평가로 제품을 응용소프트웨어, 응용개발도구,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분류하여 평균값으로 비교하였다. 셋째, 국내외 제품별 평가분석으로 전체 제품을 국내제품과 국외제품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총괄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전 제품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여기에서는 각 제품의 평균점수에 대한 차이를 95%의 유의수준으로 T-Test를 실시하였다.

  • PDF

Assessment of Soil-Erosion in Keumho River Watershed (금호강유역의 유사발생 발생 평가)

  • Kim, Seong won;Jeong, Anchul;Yu, Wansik;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80-280
    • /
    • 2017
  • 국내의 사면안정평가는 국토교통부, 국민안전처, 산림청 등의 주요 기관에서 사면을 구성하고 있는 토양특성과 사면경사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대부분 경우 이 기준을 가지고 자연사면의 안정성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관리에서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계획이 수립되고 실행되고 있으며 이 중 산지와 기타 지역에서 유입유사는 그 정도에 따라 하천의 통수능력 감소와 하천생태계 교란 등의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유사는 하천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관리 대상이다. 그러나 현재 평가기준을 이용하여 사면의 붕괴 및 취약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나 유역의 유사발생여부를 평가하기에는 상당한 오류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평가기준을 통한 1차적인 평가와 강우로부터 발생하는 토양침식과 퇴적을 분석 결과를 적용한 종합적인 2차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1)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사면안정평가기준을 가지고 대상유역인 금호강유역의 토양특성에 대한 등급을 분류한다. (2)토층, 토지이용, 빈도별 강우자료 등 다양한 인자를 고려할 수 있는 C-SEM(Cell-based Sediment Erosion Model)을 이용하여 침식 및 퇴적 깊이를 계산한다. (3)사용하고 있는 평가기준과 침식 및 퇴적깊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조합하여 금호강유역에서의 유사발생 평가를 위한 지도를 작성한다. 이 연구는 국가에서 제공하고 있는 유역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유역에서 유사발생을 평가하고 유사발생 관련인자를 대상으로 평가기준을 제안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Fitness of Vacuum Cleaners to Human Body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감성공학 기법을 활용한 진공청소기의 인체적합도 평가)

  • 박재희;박수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60-163
    • /
    • 2000
  • 진공청소기의 인체적합도를 위주로 한 제품평가 방법을 개발하였다. 기존 감성공학에서 자주 사용해온 의미미분법을 근간으로 하고 다속성의사결정론 등을 가미한 평가방법이다. 30 개의 청소기를 대상으로 한 예비 평가실험을 통해 평가항목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평가항목을 설정하였으며, 평가항목과 상관관계가 높은 제품 속성들을 평가를 위한 설계요소로 설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예비실험을 통해 개발된 평가방법을 이용해 30 명의 피실험자가 진공청소기를 대상으로 한 평가실험을 수행해 평가방법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