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가과정

Search Result 12,28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KISA의 辯 - 정보보호제품 평가기간 4.6개월 - 평가적체는 이제 옛말

  • Oh, Nam-Ho
    • 정보보호뉴스
    • /
    • s.137
    • /
    • pp.14-17
    • /
    • 2009
  • 지난 2008년 12월말 정보보호 시스템에 대한 보안성 평가의 소요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정책이 등장하면서 이에 대한 기사들이 등장했다. 보안성 평가과정에 있어 비용과 시간 절감은 정보보호 업계로서는 반가울 수밖에 없는 일. 그렇다면 실제 그 과정과 성과는 어떠했을까.

  • PDF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서술형 평가 자료 개발

  • 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
    • 2010.08a
    • /
    • pp.157-172
    • /
    • 2010
  •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서술형 평가의 유형과 문제점을 분석해 보고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서술형 예시 평가 문항을 개발해 보는데 목표가 있다.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평가 자료의 분석은 수학교과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지, 서울시 교육청 보급 2010 장학자료집, 서울시내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평가 문항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예시 서술형 평가 문항개발은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문항 분석의 결과는 문항 유형이 단순하고 교과서와 장학자료집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창의성 영역의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서술형 예시평가 문항의 개발은 수학과의 내용영역과 인지적 영역뿐 아니라 교육계의 화두가 되고 있는 창의성 영역까지 평가내용으로 포함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영역별 1-2 문항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Quality Checking of Iris Images (효율적인 홍채 영상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김귀주;기균도;이관용;이일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604-60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홍채인식 시스템에서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고정 초점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평가하여 인식과정에서 효과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영상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획득된 영상이 여과 없이 사용되는 경우 홍채 인식 시스템의 신뢰도 및 성능 저하의 중요 요인으로 작용됨으로 인식 부적합 영상의 몇 가지 형태를 기준으로 영상 판별과정을 거친 후 인식 과정에 영상을 제공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영상 평가 방법은 실제 홍채 인식 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시스템의 신뢰도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and Management Course Assessment type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t Industrial Secondary Vocational High Schools (공업계열 직업계고에서의 과정평가형 자격 도입 가능성 및 운영 방안 연구)

  • Lee, Byung-Wook;Kim, Shin Myeong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45 no.1
    • /
    • pp.1-1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raw implications for preparing utilizing and management course assessment type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in industrial secondary vocational high schools. To achieve it,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awareness about management course assessment type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of teachers at industrial secondary vocational high schools and analyze possibility to introduce course assessment qualification, degree of agreement for expected effects, and importance and necessity for the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introducing management course assessment qualification. Concret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management course assessment type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t industrial secondary vocational high schools was common, but the degree of agreement for introducing goal, purpose, and necessities was low. Second, for the expected effects to be obtained when acquiring course assessment qualifications, there were acquisition of qualification at the same time of education, suggestion of studying goal from an angle of concrete and significant performance, systematic education based on NCS, possibility to develop and form training career, and possibility to acquire industrial field-centered knowledge and technology in order. Third, to draw priority of each item to be considered when introducing course assessment type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t industrial secondary vocational high schools, the importance and necessit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for the sectors whose requirements are more than average, there were flexibility of course assessment type qualification classes, preparation of proper measure by NCS revision, relief of edited classes of necessity ability unit, etc.

The Need Analysis for Operating Course-bas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ourse of Vocational School Teachers (직업계고 교사의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 운영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Park, Byeong-seon;Yoon, Ji-A;Lee, Chang-hoo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44 no.2
    • /
    • pp.28-4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as a basic data of establishing operating Course-bas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CNTQ) support program by examining the educational needs for operating CNTQ of vocational school teachers, and to contribute to the vocational school settlement of CNTQ course. To achieve those purposes, this study drew 27 tasks performed by teachers operating CNTQ. Also, it surveyed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ed that 'selection of qualification fields and confirmation of organization criteria, organization of educational training time by competency unit, organization of subjects and establishment of competency unit operating plan by grade and semester, selection of teaching materials, implement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establishment of evaluation plan, implementation of evaluation, re-education and re-evaluation students with grades under 40%, guidance of paper evaluation, guidance of practical evaluation, guidance of interview evaluation' are the first priority tasks in the result of the need analysis. Second, it is indicated that 'application of external evaluation, guidance to retake an exam for failure' are the secondary priority task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it will be more positive effects if the educational needs in the next CNTQ support program include contents of the first priority tasks. Second, it is indicated that the priority of the educational needs for tasks of operating plan stages is commonly high. In particular, the highest ranking in the result means that it is completely supported from the first step on operating course.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which teachers on operating the course of similar qualification fields share each operating experience is effective. Third, the priority of the educational needs for external evaluation step ranked high. External evaluation has a different level of difficulty and a form of practical evaluation output according to qualification fields, so the method of guidance has to be different. It needs the program constructed by similar fields.

Cue Effects in Product Evaluation According to Expertise (제품평가에 있어서 전문성에 따른 단서효과 )

  • 최낙환;이진렬;나광진
    • Asia Marketing Journal
    • /
    • v.3 no.4
    • /
    • pp.38-58
    • /
    • 2001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제품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각 유형의 단서정보들이 평가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 봄으로써, 이론적으로는 정보단서와 관련하여 소비자의 제품평가 및 판단과정을 설명하는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마케팅 및 광고전략에 대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단서의 유형은 외재적 단서(extrinsic cues)와 내재적 단서(intrinsic cues)를 이용하였다(Olson 1972; Olson and Jacoby 1973). 분석결과에 따르면 비전문가의 경우 내재적 단서는 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외재적 단서는 제품평가를 좀 더 우호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와는 달리 전문가는 외재적 단서가 아닌 내재적 단서가 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가는 내재적 단서 관련 사고를 더 많이 하며 강한 내재적 단서에 접근 가능할수록 그 성향이 증가하나 비전문가의 경우에는 외재적 단서 관련 사고를 더 많이 함으로써 외재적 단서를 더 많이 처리한다. 그러나 비전문가는 전문가와는 달리 외재적 단서의 강도가 단서 관련 사고의 수를 증가시키지는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문가는 내재적 단서관련사고의 우호성이, 반대로 비전문가는 외재적 단서관련사고의 우호성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비자의 제품평가과정에서 단서의 효과에 따른 영향을 제시해주는 유용한 개념적인 틀이 될 것이며 향후 연구에서 다양한 확장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Design of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수행평가시스템의 설계)

  • 문상호;정부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657-660
    • /
    • 2002
  • 현대 사회의 교육은 교사 중심의 단순한 지식 전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 전환하고있다. 교육 평가도 이러한 추세에 따라 암기 위주의 지필 평가에서 학습자의 수행과정과 산출물을 평가하는 수행평가로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수행평가에서는 교사 본연의 업무인 교육과 연구 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만큼 과중한 업무부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수행평가 업무를 기존의 교무업무지원시스템과 연계하여 업무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중복 입력 작업 등의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행평가시스템을 설계한다. 설계시 주요 고려사항으로 수행평가 계획에서부터 최종 출력물까지 일괄처리 및 중간 입력 확인 과정을 생략하여 수행평가와 관련한 교사의 업무 부담을 경감, 교사 본연의 가르치는 업무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영역별 성취 결과를 서술적으로 기술하여 제공함으로써 학생 스스로 문제점을 이해하고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Variation of Criteria for Relevance Judgement of Retrieved Documents (적합성 평가기준 변화에 관한 실험 연구)

  • 김홍렬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1 no.4
    • /
    • pp.139-164
    • /
    • 2000
  • 본 연구는 이용자 지향적 평가의 의의와 타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과정에서 개인의 지식과 상황 및 인지적 요인의 변화에 따라 이용자가 인식하는 검색문헌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기준들의 변화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이론가설을 설정하고 이의 검증을 위하여 실제 연구문제를 가지고 있는 5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연구과정에 따라 적합성을 평가하는 기준들과 그 기준들의 변화양상을 관찰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의 분석에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일원분산분석이 활용되었다. 그 결과 연구자들은 연구과정에 따라 적합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평가자에 따라서도 각기 다른 평가기준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xploration on the Feasibility of Utilization and Teacher Perceptions of Using ChatGPT for Student Assessment in Science (과학 교과의 학생 평가에서 ChatGPT의 활용 가능성 및 교사 인식 탐색)

  • Dongwon Lee;Hyeon-Pyo Shim;Jongho Bae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4 no.1
    • /
    • pp.119-130
    • /
    • 2024
  •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using a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GPT, for student assessment in science subjects. In order to achieve our goal, we developed assessment items, collected students' responses, and input them into ChatGPT to implement the assessment procedures. Subsequently, we shared the assessment results from ChatGPT with science teachers and compared them to the teachers' assessment process to investigate the use of ChatGPT in student assessment. Regarding the results, in terms of setting the scoring rubric, we found the rubric generated by ChatGPT to be generally appropriate. However, the consistency between the scoring results obtained from ChatGPT and those determined by the teachers was relatively low. This inconsistency was more pronounced in items with additional assessment components and a more intricate rubric. In regard to feedback on student responses, there were some instances where the feedback generated was scientifically incorrect or beyond the scope of the curriculum, but there were also some positives, such as the provision of exemplary answers to questions and additional examples that helped students learn further. From these results, the teachers perceived limitations in using ChatGPT to conduct assessment in terms of reliability, which is considered crucial in student assessment, but suggested that it could be used to support assessment. Finally, synthesizing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utilizing ChatGPT in student assessment were suggested.

Developing and Assess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the Ecosystem (생태계에 대한 학습발달과정의 개발과 평가)

  • Yeo, Chaeyeong;Lee, Hyon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6 no.1
    • /
    • pp.29-43
    • /
    • 2016
  • There have been much efforts to reconstruct the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Disciplinary Core Ideas(DCI) in many countries such as America and Europe, the most practical effort has been to design a curriculum with learning progressions(LPs). LPs describe stepwise how students can systematically move toward the understanding of more sophisticated ideas or scientific activities and explain in successio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ideas while the students learn. In this study, a LP for ecosystems has been developed, and the developed LP is then evaluated accordingly. The Ecosystem is one of the DCI of the life science in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NGS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LP was set at step 4(Development, Assessment, Analysis, and Amendment), and developed through an iterative process of sequen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veloped LP, an assessment based on the LP provides reliable information to identifying student ability.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LP and its methodological aspects to use Core Achievement Standards,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and the Rasch model. In addition, using the empirically proven LP suggests a way of strengthening curriculum linked to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Utilizing the proposed development process in this study will be to present the standard into the direction of becoming part of the curriculum. Currently, the state of domestic research for the LP is still lacking. This study deter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LP and the need to conduct future research on the L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