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편평상피세포암종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1초

폐암환자의 암조직내 CYFRA 21-1과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의 측정치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CYFRA 21-1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Levels in Cancer Tissue of Bronchogenic Carcinoma Patients)

  • 김대연;김송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9호
    • /
    • pp.854-861
    • /
    • 1997
  • CYFRA 21-1은 폐암중에서 편평상피성 암세포의 세포질에 존재하는 세포각질 분절 19의 분절들로서 암세 포가 파괴되거나 분해시 혈중내로 유리되는 것으로 특징적인 2개의 단일클론성의 항체인 KS 19-1과 BM 19-21로서 면역 방사계수검사를 이용하면 혈청내에 용해된 량을 정량할 수 있다. 암세포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EGF-R과 EGF에 대하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EGF-R의 존재는 클론성 비소세포암 세포계열을 조사한 결과 4종의 비소세포암들은 EGF-R을 발현한다고 밝혀졌다. 그러나 현재의 검사법으로는 EGF 검출이 어려워서 EGF보다 TCF-Q의 역할에 초점이 모여지고 있다. 폐암세포에 EGF-R의 존재는 자가분비나 부분비성 성장기전이 작용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아울러 정상인 의 혈청과 소변에서 검출이 되며,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본 결과 EGF-R은 폐암의 발달과 진행에 중요한 역 할을 할 것으로 추정된다. 폐암으로 확진된 30례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개흉수술로 적출한 표본을 주병소와 이행부위 그리 고 대조부위로 구분하여 조직 절편을 약 5 m3크기로각각 잘라서 액화 질소에 급속 냉동 보관을 하였다. 냉 동 보관한 조직 절편을 조직마쇄 藪$[$\ulcorner마쇄시킨후 원심분리기에서 상층액을 일정량 채취하여 방사선면역 분석법으로 CYFRA 21-1과 EGF-R 정량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조직학적 분류와 병기에 따른 분류 로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로 아래와 같은 요점들을 발견하였다. 1. 암 이행부위에서는 악성화를 나타내는 경향이 더욱 활발하여 세포질성분의 부족으로 CYFRA 21-1의 농도 는 낮게 나타났다. CYFRA 21-1의 농도는 암이행부위에서 가장 낮았고, 병기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대 조조직에서는 세포질 성분이 풍부하여 주병변부위보다도 CYFRA 21-1의 농도가 높게 나왔다. 2. EGF-R의 농도는 주병변부위에서 가장 높게 나왔고, 편평세포암에서 보다는 선암에서 높았고, 병기별로는 1, 1띠에서는 이행부위가 111, IV기에섞는 주병변부위가 높게 나왔다. EGF-R의 농도는 대조조직보다는 암 주병변부위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3. CYFBLt 21-1은 세포질성분이며, EGF-R은 세포벽 성분으로서 두 물질사이에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 CYFRA 21-1은 혈청 내에서만 주로 연구되어져 왔으며 비소세포암 중에서 특히 편 평세포암종에서 의미있게 증가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CYFRA 21-1의 조직과 혈청 내의 정량치가 뜻하는 의 미는 서로 달랐으며, 암조직내에서 대조조직내보다 CYFRA 21-1 치가 더 낮게 나온 것은 암세포내 에서는 세 포질 성분의 고갈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암세포의 활동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EGF-R은 세포벽내에 존재하는 수용체로서 암세포의 증식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대조조직보다는 암세포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이는 것은 종양 증식과 암표지자로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최근 10년간 국립암센터에서 치료받은 구강 편평상피세포암종 환자의 치료성적 연구 (Clinical Outcome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Patients Treated in National Cancer Center for Last 10 years)

  • 조세형;김태운;정한울;박성원;박주용;최성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44-550
    • /
    • 2010
  • Purpose: The result of all malignant neoplasms including oral cancer is decided by long-term prognosis. However, until now, there are only a few reports about long-term prognosis of cancer secluded in the oral cavity. So, we investigated all patients that visited our clinic for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SCCa) for the last 10 years. From this survey, we hope to find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prognosis of the disease. Patient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for patients that visited the oral oncology clinic for oral cancers from Jan. 2001 to Feb. 2010. We selected the patients that were diagnosed with SCCa and received curative treatment. In these patients, we investigated basic epidemiology, smoking history, body mass index, recurrence rate, treatment methods, pathologic data and 5-yr survival rate. Results: There was a total of 185 patients (115 males, 70 females and mean age: 57.3 years) that visited the oral oncology clinic for oral SCCa. Areas of primary lesion were tongue (105 cases, 57%), lower gum (19 cases, 10%), floor of mouth (16 caess, 8%), retromolar trigone (12 cases, 6.5%), and buccal cheek (11 cases, 6%). Other involved areas were upper gum, palate, lip, and salivary glands-of 1 case each.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63.7%. The factors that influenced prognosis of the disease were stage of the disease, status of differentiation, recurrence, metastasis of cervical lymph node and age. Conclusi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prognosis of disease are stage of the disease, status of differentiation, recurrence, metastasis of cervical lymph node and age. To point out a current trend, the mean age of patients that developed oral cancer was lower than that of before. Secondly, the prevalence of oral cancer in non-smoker are on the rise. Thus, further studies on etiology and epidemiology should be done.

구강내 백색병소와 편평상피세포암종에서 bcl-2와 NOS2 비교발현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Expression of Bcl-2 and NOS2 in Oral White Lesions and Squamous Cell Carcinoma)

  • 신민;김은철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2호
    • /
    • pp.145-161
    • /
    • 1999
  • The proto-oncogene bcl-2 confers a survival advantage to cells by blocking programmed cell death (apoptosis). Overexpression of bcl-2 probably plays a role in tumorigenesis, and the expression of the bcl-2 protein has been investigated in many kinds of tumors. An increased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etase(NOS) has been observed in human colon cancer cell lines as well as in human gynecological, breast, and CNS tumors.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ports on the expression of bcl-2 and $NOS_2$ in oral white lesions and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of Bcl-2 and $NOS_2$ and several pathological parameters such as histological types and layers. We reported desregulation of bcl-2 and $NOS_2$ expression during progression from oral white lesion, lichen planus and leukoplakia to squamous cell carcinoma.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ith monoclonal antibodies to bcl-2 oncoprotein and $NOS_2$ in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sections revealed that bcl-2 expression is restricted to the basal cell layer and $NOS_2$ was mild expressed only in subepithelial inflammatory cells in normal human mucosa. There wasn't specific finding of those in lichen planus and leukoplakia. 2. Bcl-2 immunoreactivity in severe epithelial dysplasia or CIS occurs throughout the epithelium, $NOS_2$ reactivity in most superficial layer were noted. 3. In well-differentiated squamous cell carcinomas, mostly bcl-2 was overexpressed. In moderated and poor squamous cell carcinomas, the expression of $NOS_2$ was increased and that of bcl-2 was decreased. 4. The immunoreactivity of bcl-2 was 12.5% of normal mucosa, 30% of leukoplakia, 44% of lichen planus and 67% of carcinoma in situ. In carcinoma, those were 43%, 50% and 67% according to differentiation, respectively. 5. The immunoreactivity of $NOS_2$ was 25% of normal mucosa, 70% of leukoplakia, 78% of lichen planus and 100% of carcinoma in situ and epithelial dysplasia. In carcinoma, those were higher in moderated(100%) and poor(83%) squamous cell carcinomas than in well differentiated type(71%). 6. The expression of bcl-2 and $NOS_2$ by Western blot was increased highly in lichen planus and leukoplakia. Therefore, the expression of bcl-2 was increased in the white and precancerous lesions and that was decreased by differentiation of carcinoma. However, $NOS_2$ immunoreactivity in carcinoma in situ was lower than those in moderated and poor squamous ce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of bcl-2 and $NOS_2$ may be roled importantly in growth and development of carcinoma.

  • PDF

분화도 좋은 구강 편평상피세포암종에서 Dominant Negative p63 isoform의 발현 (EXPRESSION OF DOMINANT NEGATIVE p63 ISOFORM IN WELL-DIFFERENCIATE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 김인수;김철환;김경욱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3호
    • /
    • pp.191-198
    • /
    • 2007
  • The p53 which is well known as tumor suppressor gene is located at 17p13. p53 is a sequence-specific DNA binding transcription factor that responds to certain cytotoxic stresses, such as DNA damage, by enhancing the transcription of genes that regulate cell-cycle progression as well as programmed cell death. The p63 gene that is located at 3q27-29, is recognized members of the p53 family, and responsible for the transcription of 6 isoforms. Three isoforms ($TAp63{\alpha}$, $TAp63{\beta}$, $TAp63{\gamma}$) contain an N-terminal transactivation (TA) domain and can induce apoptosis. The other 3 isoforms (${\Delta}Np63{\alpha}$, ${\Delta}Np63{\beta}$, ${\Delta}Np63{\gamma}$) lack the TA domain and may function in a dominant-negative fashion by inhibiting the transactivation functions of p53 and TAp63 proteins, and thus act as oncoproteins. A number of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role of p63 in human squamous cell carcinomas from different organs. Only a few studies have examined ${\Delta}Np63$ isoform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including normal epithelium.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expression of ${\Delta}Np63$ isoform in huma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tissue and normal mucosa. The 3 cases of well differenciate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specimen including adjacent normal mucosa were examined,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with monoclonal antibody(4A4) and tumor cell apoptosis analysis with Transmission Electon Microscopy were studied. And, RT-PCR analysis was done for expression of ${\Delta}Np63$ isoform.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Normal gingiva showed the restricted p63 expression in basal cell layer. 2. Well differentiated squamous cell carcinoma showed mainly p63 expression in overall area of malignancy, especially in basal cell layer to adjacent stromal tissue. 3. Tumor cells around keratinized area with no p63 expression disclosed less micro-organelle in decreased size cytoplasm and severe chromatin margination with nuclear destruction that means apoptosis. 4. Comparison of mRNA expression of ${\Delta}Np63$ isoform by RT-PCR showed variable expression of ${\Delta}Np63$ isoform, but ${\Delta}Np63{\alpha}$ was most highly expressed in all 3 tumor specimen. From theses results, it should be suggested that ${\Delta}Np63$ isoform expression in well differentiated squamous cell carcinoma was closely related to tumor oncogenesis, expecially overexpression of ${\Delta}Np63{\alpha}$ is a most important factor in tumor genesi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원발성 이하선 편평상피세포암종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Parotid Gland)

  • 이상욱;김귀언;박정수;박원;이창걸;금기창;임지훈;양우익;서창옥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28-234
    • /
    • 1997
  • Squamous cell carcinoma originating in the parotid gland has rare occurrence. The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parotid gland comprise about 0.3% and 9.8% of all parotid malignant tumor.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behavior and treatment outcome of patients with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parotid gland. We reviewed all cases of possible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parotid gland treated at Yonsei Cancer Center, Seoul, Korea, from 1981 through 1995. A total of 128 had primary parotid malignancy. Metastatic squamous cell carcinoma and mucoepidermoid carcinoma were excluded in this study. Ten cases of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parotid gland were identified. 6 cases of them are men & 4 cases are women. The age of patients ranged from 31 to 68 years with median age of 55 years. On physical examination, 5 cases had palpated cervical neck node and 6 cases had facial nerve palsy. Staging was done according to the current guidelines established by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1992). Two cases were stage I, 1 in stage III, and 7 in stage IV. Six cases were performed operation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ur cases were treated by curative radiation therapy, dose of more than 65 Gy on parotid gland region. The 5 year actual survival rate and the 5 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were 30.8%, and 40.0%. Initial complete response rate was 70% for all patients. Local failure were occurred 3 of 7 patients with local controlled cases, failure sites were primary site, ipsilateral cervical neck node, contralateral supraclavicular node. Most recurrences developed within 1 year of initial treatment. Distant metastasis was appeared 2 of 3 patients who did not achieved local control.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parotid gland occured infrequently. A retrospective study at the Yonsei Cancer Center indicates incidence of 7.8%. At diagnosis, advanced stage, neck node presentation, facial nerve paralysis were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These results may suggested that radical surgical excision may be treatment of choice and that plann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may be bendicial for reducing locoregional recurrence rates.

  • PDF

수술로 절제된 비소세포폐암 조직에서 예후인자로서 VEGF와 bFGF 발현의 의의 (Prognostic Value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Expression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승준;이정미;김진숙;강지영;이상학;김석찬;이숙영;김치홍;안중현;권순석;김영균;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문석환;왕영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3호
    • /
    • pp.200-205
    • /
    • 2008
  • 연구배경: 혈관신생은 종양의 성장과 유지 및 전이에 필수적이며 따라서 종양조직은 혈관신생을 위해 많은 종류의 혈관형성 촉진인자들을 생성하고 있다. VEGF와 bFGF는 혈관신생과 관련되는 물질로 본 연구에서는 폐암환자에서 조직 내 VEGF와 bFGF의 발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조직학적으로 샘암종 또는 편평상피세포암종으로 진단받고 완치의 목적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35명의 폐암환자 조직에서 VEGF 및 bFGF의 농도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임상적 양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VEGF 및 bFGF의 농도는 종양조직이 대조조직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T2+T3의 종양조직이 T1의 종양 조직보다 유의하게 VEGF의 농도가 높았다.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경우가 없었던 경우보다 종양조직에서 VEGF의 농도가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p=0.06). 하지만 VEGF 및 bFGF의 농도는 환자의 병기 및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VEGF 및 bFGF 모두 종양조직에서 증가하였으나 VEGF만이 종양크기, 림프절 전이 등의 임상양상과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각각의 VEGF 및 bFGF의 종양조직 내 농도는 예후와 관련되지는 않았다.

흉막 삼출액에서 아밀라제가 증가된 환자들에 대한임상적 고찰 (Clinical Features in Patients with Amylase-Rich Pleural Effusion)

  • 이기동;신민기;이강완;조유지;김호철;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5호
    • /
    • pp.563-569
    • /
    • 2003
  • 목적 : 흉막 삼출액에서 아밀라제가 증가된 경우에는 많은 원인 질환들이 있으며, 흔한 원인으로 췌장 질환과 식도 파열, 악성 질환 등이 있다.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면 악성 질환이 흉막 삼출액에서 아밀라제가 증가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라고 보고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원인 질환들과 아밀라제가 증가되어 있는 흉막 삼출액 사이의 여러 임상적인 면에 관한 국내의 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방법 : 이에 연구자는 1998년 1월부터 2002년 8월까지 경상대학 병원에 내원한 흉막 삼출액 환자들 중에서 흉막액의 아밀라제 농도가 증가된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각 경우의 아밀라제 수치, 원인 질환, 악성 흉막액에서의 조직학적 세포 유형, 그리고 악성 흉막액의 아밀라제 농도와 포도당 농도간의 연관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흉막 삼출액에서 아밀라제가 증가한 환자 36명의 평균 연령은 57.2세(범위 32~73)였으며 50대와 60대가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원인 질환별분포는 악성 질환 18명, 부폐렴 흉막 삼출액 8명, 췌장 질환 7명, 기타 질환 3명이었다. 췌장 질환의 경우 흉막액의 아밀라제 농도는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보다 높게 측정되었다(p<0.01). 악성 질환이 원인인 18예 중 원발성 폐암이 13예, 전이성 암이 5예있었고 조직학적 세포 유형은 선암 10예, 편평상피 세포암 2예, 세포 유형이 확실치 않은 6예가 있었으며 선암에서 흉막액의 아밀라제 농도는 다른 세포 유형의 암종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p<0.01). 아밀라제가 증가한 악성 흉막액에서 아밀라제 농도와 포도당 농도간의 연관성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흉막 삼출액의 아밀라제가 증가한 원인 질환은 종전의 연구와 차이가 없었고, 그 원인으로 악성 질환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으며, 이중 원발성 폐암과 선암종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또한 선암에서 아밀라제 농도가 높았다. 아밀라제가 증가된 악성 흉막액에서 아밀라제 농도와 포도당 농도와의 관계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점액상피암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Review of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Lung in Korea)

  • 김연재;박재용;신무철;배문섭;김정석;채상철;박태인;김창호;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11-321
    • /
    • 1998
  • 연구배경: 기관지 점액상피암은 기관지의 점액선세포에서 기인한 악성 종양으로 세포들의 구성비와 mitosis정도에 따라 저등급 몇 고등급 종양으로 구분되며 저등급의 종양은 예후가 양호한 반면 고등급의 종양은 선종편평상피암과 조직학적으로 감별이 어렵고 악성 임상경과를 보인다. 기관지 점액상피암은 폐종양의 0.1~0.2%, 그리고 기관지선종의 1~5%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는 소수의 증례보고만 있었다. 저자들은 문헌으로 확인된 예를 포함하여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기관 및 기관지 정액상피암으로 진단된 예에 대하여 임상고찰을 하였다. 방 법: 1990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점액상피암으로 진단받았던 9예와 국내에 보고된 증례가운데 문헌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8예를 포함한 17예를 대상으로 임상상, 방사선 및 기관지내시경소견, 그리고 조직학적소견과 임상경과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남자 12예와 여자 5예였으며, 평균나이는 42 세였다. 흡연력은 17예 가운데 5예에서 있었으며 평균 흡연력은 11인년이었다. 내원당시 주요 증상은 호흡곤란 9예, 기침 7예, 객혈 6예, 자각적 천명음 3예였으며, 증상이 없는 경우가 2 예였다. 단순 흉부 X-선 사진상 폐허탈소견이 8예, 종괴양 음영 5예, 폐렴양침윤소견이 2예, 다발성결절소견이 1예였으며. 1예는 정상이었다. 17예 가운데 16예는 중심형으로 발생부위는 좌주기관지가 5예, 우주기관지가 4예, 우중엽기관지가 2예였고, 그외 기관, 우중간간기관지, 우상엽기관지 및 좌상엽기관지가 각각 1예였으며, 1예는 양측 기관지에 병변이 있었다. 중심형 16예의 기관지 내시경소견은 외장형 종과 12예와 결절성 침윤소견 4 예였다. 우폐하야에 위치한 말초형 1예는 정상기관지 내시경소견이었다. 조직소견상 10예가 저등급이었고 7예는 고등급이었다. 10예의 저등급가운데 9예는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종양이 상부기관에 있었던 l예는 레이저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받았으나 사망하였다. 고등급암종 7예의 경우 2예는 전폐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종격동임파절, 심낭 및 흉막의 전이가 있었던 4 예와 폐결핵이 동반되어 전신상태가 불량하였던 1예는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 또는 보존적치료를 하였다. 결 론: 점액상피암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하고 대부분 중심기도에 위치하여 기도 자극증상과 함께 폐허탈, 종괴양음영 및 폐쇄성폐렴 등과 같은 방사선소견을 보인다. 병리조직학적인 등급과 주위장기로의 전이유무 등이 치료 및 예후판정에 있어 중요하다.

  • PDF

악성간엽종의 외과적 치료 -1례보고- (Surgical Management of Malignant Mesenchymoma of the Lung in an Adult -A Case Report-)

  • 양수호;전양빈;전순호;김혁;정원상;최요원;전석철;전석훈;박문향;지행옥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86-189
    • /
    • 1998
  • 악성 간엽종은 유아와 태생기에서 매우 드문 종양이다. 악성간엽종은 성인에서 극히 드물고 섬유조직이외의 둘 또는 그 이상의 간엽성분으로 구성된 종양으로 결체조직의 어떤 형태로도 분화할 가능성이 있는 태생기 간엽에서 기원한다고 생각된다. 환자는 61세 남자로 2개월 전 가래를 동반한 기침을 주소로 검사를 받던 중 우폐상부에 매우 큰 종괴를 보이는 암종으로 입원하였다. 환자는 우폐상부 미세침윤조직검사상 편평상피세포암 의심하에 우전폐절제술을 받았다. 수술장 소견상 종괴는 흉벽과 심하게 유착되었으며 우폐하부까지 침습된 소견을 보이는 악성간엽종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수술후 5,000rad의 방사선 조사를 받고 수술후 6개월째인 현재까지 재발징후없이 경과 관찰중이다.

  • PDF

백서 혀에서의 4-nitroquinoline 1-oxide 유도 발암과정에서 Bcl-2 계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Bcl-2 Family in 4-Nitroquinoline 1-Oxide-Induced Tongue Carcinogenesis of the Rat)

  • 최재욱;정성수;이금숙;김병국;김재형;국은별;장미선;고미경;정권;최홍란;김옥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3호
    • /
    • pp.301-317
    • /
    • 2005
  • 전 세계적으로 구강암의 빈도는 점점 증가 추세이며, 특히 한국인의 있어 혀(tongue)는 구강암이 가장 호발하는 장소이다. 구강암은 발암 단계에서부터 과증식 병소(hyperplastic lesion), 이형성(dysplasia) 및 상피내암(carcinoma in situ) 을 거쳐 악성 암종으로 발전하는 다단계 발암과정을 보이며, 분자 생물학적 변이가 구강암을 진행시킴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구강암은 일반적으로 암세포의 증식 및 고사(apoptosis)의 억제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알려져 있다. 그리고, Bcl-2 family 는 세포 고사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과 관련한 구강암 발생과정의 변화에 대해서는 널리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백서에서 발암 물질인 4-NQO로 구강암을 유도시키고, 구강암 발생 다단계별로 Bcl-2 family의 mRNA 변화를 RT-PCR을 이용해 살펴보았다. Bcl-2 family는 크게 3군, 즉 1) anti-apoptotic, 2) pro-apoptotic, 그리고 3) BH3 only protein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anti-apoptotic molecules인 Bcl-w는 모든 군에서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Bcl-2는 발현이 증가 되었다. pro-apoptotic molecules에서는 Bad가 제 3군 (편평세포암종)에서 발현이 증가 되었고, 나머지는 감소하였다. BH-3 only protein에서는 Bmf가 제 2군에서, BBC3가 제 3군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나머지는 모든 군에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4-NQO로 유도된 백서의 발암단계에서, Bcl-2 family의 mRNA 양상은 다양하게 관찰되었으나, Bad 및 BBC3 mRNA가 제 3군에서, Bmf mRNA가 제 2군에서의 발현이 특별함을 알 수 있어, 다단계 발암과정에서의 구강암을 진단하는데 유용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