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편파

Search Result 72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 Analysis of Circular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in the Microcell Environments (마이크로 셀 환경에서의 원편파 특성 해석)

  • 김성명;김병옥;하인철;하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10a
    • /
    • pp.157-161
    • /
    • 2000
  • 본 논문은 2린 대역의 마이크로 셀 환경에서 원편파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편파의 특성을 이론적 해석과 실제 측정 데이터를 비교 검토하였다. 가시거리에서는 원편파가 기수회 반사파 수신을 억제하기 때문에 다중경로 페이딩에 대한 경감 효과가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팀은 "E"자형 건물의 회절 음영 지역에서도 원편파의 편파 특성이 잘 유지되는지를 측정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선회 원편파(C), 역선회 원편파(X), 수직편파(V), 수평편파(H) 안테나를 사용하여 각각의 송수신 편파간 조합에 대하여 거리에 따른 전계강도를 이동 측정하였다. 전파 모델은 "E"자형 건물의 회절지역 모델에서 2개의 경로를 선택하여 각각에 대한 전파의 편파 특성을 분석하였다.대한 전파의 편파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Reflection Symmetry of PALSAR Quad-Pol Imagery in the Amazon Rainforest (아마존 지역 PALSAR 다중편파 자료의 반사대칭성 특성)

  • Kim, Jae-Hun;Yoon, Sun Yong;Won, Joong-Su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4 no.6_1
    • /
    • pp.969-979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reflection symmetry of polarimetric SAR over the Amazon rainforest in term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pairs of HH- and HV-pol and VV- and VH-pol data by ALOS PALSAR. The reflection symmetry is defined as a non-zero correlation between HH- and HV-pol and VV- and VH-pol over natural distributed targets, and is a fundamental assumption for cross-talk calibration coefficient computation and for three-component decomposition for polarimetric SAR data. The Amazon rainforest is especially one of the common global reference sites for the reflection symmetr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he pairs of reflection symmetry obtained in this study range from 0.018 to 0.097. The results imply that there exists a non-negligible dependency between co-pol and cross-pol in the distributed natural targets, and consequently the non-zero correlation must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contribution to errors of spaceborne SAR polarimetry to some extent.

RH&LH 원형편파를 동시 사용하는 저궤도위성 지상안테나 자동추적오차분석

  • Yang, Hyeong-M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17.1-217.1
    • /
    • 2012
  • 현존하는 저궤도위성의 S-Band 관제채널은 대부분 RH 또는 LH 편파를 사용한다. 그러나 다목적실용위성 3호와 같이 RH와 LH 편파를 동시에 사용하는 위성의 경우 위성추적을 위해 사용되어지는 지상안테나는 RH와 LH 편파를 동시에 수신하여야할 뿐만 아니라 편파변경시점에 따라 송신출력의 편파가 변경되어야하기 때문에 지상에서 위성으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는 송신가능시간(Command Window)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저궤도위성의 RH와 LH 편파의 신호세기는 위성체의 자세 및 운영방법에 따라 결정되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편파수신경향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상안테나는 RH 및 LH 편파에 대하여 자동추적기능을 수행하여 위성을 추적하게 된다. 지상안테나의 자동추적기능은 수신되는 신호세기를 순간적으로 비교하여 가장 큰 세기의 신호가 수신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술로서 수신신호의 형태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이 때 발생하는 오차는 위성추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편파가 변경되는 시점에서는 자동추적오차가 증가하게 되는 경향을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동시 수신되는 RH 및 LH 편파의 자동추적오차를 분석하여 송신가능시간(Command Window) 및 수신신호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Design and Fabrication of Circularly Polarization Diversity System for 2.4GHz Band (2.4GHz대의 원형편파 다이버시티시스템 설계 및 제작)

  • 이주현;김판신;안재성;박정훈;하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73-277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원형편파를 송신하고 수직 및 수평편파를 합성하는 방식의 원형편파 다이버시티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였나. 중심주과수 2.4GHz의 수직 및 수평편파안테나 그리고 90도 Hybrid Combiner를 설계 제작하여 원형편파 다이버시티시스템의 송신계를 구성하였고, 수직 및 수평편파 안테나와 편파 다이버시티 합성기를 설계 제작하여 원형편파 다이버시티시스템의 수신계를 구성하였다. 선계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Ensemble 5.0이고 제작된 안테나, 위상기 및 합성기는 Network Analyzer(8753ES)를 이용하여 측정했으며 시뮬레이션 결과와 측정결과가 상당히 일치함을 확인했다.

  • PDF

A Study on Design and Fabrication of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using Microstrip Patch (마이크로스트립형 원형편파 안테나 설계 및 제작에 관한 연구)

  • 이주현;김성명;정규은;안영수;김용대;하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1.05a
    • /
    • pp.181-186
    • /
    • 2001
  • In this research, we design a microstrip patch antenna with circularly polarized form. First, we study patch form of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caused by 90-degree phase difference, and simulate using Ensemble 5.0 to make the left-hand and right-hand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We made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using microstrip substrate based on result of the simulation, and analyzed manufactured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using Network Analysis.

  • PDF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oretical Model for the Polarization Diversity using Circularly Polarized Waves in N-LOS Radio Environments (비가시거리 전파환경에서 원형편파를 이용한 편파다이버시티의 이론적 모델 및 성능평가)

  • 이주현;하덕호;박정훈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4 no.2
    • /
    • pp.133-138
    • /
    • 2003
  • In this paper, we analyzed a two-branch polarization diversity at a mobile station in NLOS environment when a base station transmits a circularly polarized wave. In order to calculat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onsidering the XPD(cross polarization discrimination) between the received signals for the two diversity branches, a simple theoretical model of circular polarization diversity is adopted. From the analysis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XPD of circularly polarized wave is less than vertically polarized wave about 6~7 dB in measurement results. And also, it is clearly seen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circular polarization diversity evaluated by the XPD is less than that of vertical polarization diversity.

A Study on the Branch Composition of an Optimum Polarization Diversity by Considering XPD in Indoor Radio Environments (실내무선 환경에서 XPD를 고려한 최적편파 다이버시티의 브랜치 구성에 관한 연구)

  • 하덕호;이주현;윤영석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0 no.2
    • /
    • pp.302-311
    • /
    • 1999
  • In this paper, in order to suggest an optimal polarization diversity composition method in indoor radio wave propagation environments, the variation of the cross polarization discrimination(XPD) was theoretically analyzed by a computer simulation and compared to the actual measured data. From th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cross polarization discrimination of the case,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was used at the transmitting end as well a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larized antenna branches were used at receiving end (CV-CH), is lower than that of the case, horizontal polarized antenna at the transmitting end as well a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larized antenna branches at the receiving end(HH-HV), and that of the case, vertical polarized antenna at the transmitting end as well a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larized antenna branches at the receiving end(VV-VH). In this paper, to get more effective CV-CH polarization diversity composition, the amount of cross polarization discrimination values at the signals received by horizontal polarized antenna is compensated and the polarization diversity effect through the cumulative probability distribution is estimated. From the evaluation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olarization diversity effect was better at the compensated case than at the uncompensated case. On the other hand, it can be known that the polarization diversity effect is getting better as the cross polarization discrimination values are getting lower, and also be known that the effect can be improved if a transmitting antenna is composed of the ellipse polarized antenna by adjusting the axial ratio of the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and, a receiving antenna is made up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larized antenna branches.

  • PDF

Design of Reconfigurable Dual Polarization Patch Array Antenna (재구성 이중편파 패치 배열 안테나 설계)

  • Won Jun Lee;Young Jik Cha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7 no.4
    • /
    • pp.463-468
    • /
    • 2023
  • In this paper, we proposed reconfigurable dual polarization patch array antenna that can select two polarizations(Vertical, RHCP) using defected ground structure and Pin diode. The proposed antenna was designed arranging a circular polarization patch antenna implemented with a square microstrip patch and two slots 3x3 at 25.8mm placed, a half-wavelength of 5.8 GHz. Conect the pin diode and the capacitor to the slot diagonally placed on the ground of each antennas, and select polarization using the open/short operating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DC voltage to the pin diode. As a result of the design, the gain of the antenna is 11.7 dBi at vertical polarization and 11.6 dBic at RHCP. The axial ratio is 20.3 dB at 1.8 dB vertical polarization at RHCP. Mutual Coupling is Maximum to -20.8 dB for vertical polarization and Maximum to -30.1 dB for RHCP.

Design of X-band Broadband Twist Reflector Using Hybri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Hybri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기법을 적용한 X-대역 광대역 편파 변환기 설계)

  • Hwang, Keum-Cheo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0 no.4
    • /
    • pp.390-395
    • /
    • 2009
  • Design and optimization of a broadband meander-line twist reflector was performed for X-band application. Based on the equivalent transmission line model, the polarization twist performance was evaluated. Genetic analysis, particles swarm, and hybrid swarm optimizations were employed to obtain the optimized geometrical parameters. The optimized design exhibits low cross-polarization level below - 25 dB between 8.45 and 11.38 GHz. The polarization twist loss was below 0.2 dB. Comparison between computed and simulated results was also discussed.

Quantification of error in polarimetric variables of rain radar and improvement of accuracy of radar rainfall (강우레이더의 편파변수 오차 정량화와 레이더 강우량 정확도 향상)

  • Yoon, Jungsoo;Hwang, Seokhwan;Kang, Narae;Oh, Byunghwa;Lee, Jeo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09-209
    • /
    • 2018
  • 국토교통부는 대하천에서의 홍수 감시를 위해 전국에 6기의 강우레이더를 도입 완료하였다. 비슬산레이더는 2009년에 맨 먼저 도입된 강우레이더로 국내 최초로 도입된 이중편파 S밴드 레이더이다. 이중편파레이더는 반사도 외에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비차등위상차 등 다양한 레이더 편파변수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중 반사도, 차등반사도, 비차등위상차는 레이더 강수량 추정에 적용되는 편파변수들로 이 변수들에 오차가 내재 시 레이더 강우의 오차에 전파되게 된다. 이에 레이더 강우 추정에 적용되는 편파변수들에 내재되어 있는 오차를 정량화하고 제거하는 것은 레이더 강우 품질에 직결되는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6년까지의 비슬산레이더로부터 관측된 총 351개의 강수사례를 수집하여 레이더 반사도와 차등반사도의 오차를 정량화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편파변수들의 오차 제거시 레이더 강우량의 정확도가 어느 정도 향상되는 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레이더 강우량의 정확도는 편파변수 오차 제거 전에는 40 ~ 80% 범위에서 오차제거 후 60 ~ 80 % 범위로 정확도가 향상되었고 그 범위도 줄어들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