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편도핵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흰쥐에서 내측 편도핵의 손상이 염산 자극에 의한 췌장 외분비에 비치는 영향 (Effect of Damage to Medial Amygdaloid Nucleus on Pancreatic Exocrine Secretion Stimulated by Hydrochloric Acid in the Rat)

  • 김명석;윤신희;한상준;김미혜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2권2호
    • /
    • pp.273-280
    • /
    • 1988
  • 본 연구는 십이지장내 생리 식염수와 0.01 N HCl을 주입했을때 내측 편도핵의 손상이 췌액 분비와 혈장 secretin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44마리의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다. 그 중 21마리의 흰쥐는 뇌정위 고정장치에 의해 내측 편도핵에 삽입된 전극을 통해 양측성으로 내측 편도핵을 파괴한 내측 편도핵 손상군이고, 나머지 23마리는 편도핵의 손상없이 동일한 수술 조작만을 가한 수술 대조군이다. urethan 마취후에 십이지장 근위부에 위치한 관을 통해 십이지장 내강에 0.01 N HCl 또는 생리 식염수(0.9% NaCl)를 0.18ml/min 속도로 주입하면서 20분간 췌액을 채취하였다. 췌액 체취후 복대동맥에서 채혈하여 혈장 secretin농도를 측정하였다. 내측 편도핵 손상군에서 십이지장내 생리 식염수는 물론 0.01 N HCl 주입에 의한 췌액량은 수술 대조군의 것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내측 편도핵 손상군의 췌액내 단백질량은 생리 식염수 주입시 수술대조군의 것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0.01 N HCI 주입시에는 유의하지는 않지만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기초상태 및 염산 자극에 의한 혈장 secretin 농도는 내측 편도핵의 손상에 의하여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내측 편도핵은 기초 상태 및 염산 자극에 의한 췌액의 분비에 촉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나, secretin 분비기전이 이 촉진 영향에 관련되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 PDF

Fuctional MRI for Phobic Stimuli: Comparison study betwee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Control groups

  • 박지강;박종익;이호규;문찬흥;유재욱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1년도 제6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6-106
    • /
    • 2001
  • 목적: 일반인과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환자들(PTSD)에서 동일한 공포 자극에 대한 기능적 뇌 자기ㆍ공명영상에서 뇌 활성화 부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조군 (여자9명)과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로(PTSD) 진단된 환자군 (여자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모두 오른손잡이였다.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군은 모두 교통사고와 관련되어 있었다. 1.5T MR 기기에서 EPI BOLD 기법을 이용하여 24개의 axial slice를 얻었으며, 시각자극으로 교통사고 현장 사진과 비교군으로 체크 무의 사진을 무작위로 배열하여 각각 1초씩 보여 주었다 (event related design). SOA (Stimulus Onset Asynchrony)는 3.5초로 하였고 전체 영상은 10분 동안 얻었다. 모든 환자에서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은 1차례 시행하였다. 영상후 처리는 SPM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황성화 신호의 유의수준은 p=0.01을 기준으로 활성화 영상을 얻었다. 활성화 신호를 육안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해마, 편도핵, 전전두엽의 활성화 정도를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 PDF

출생 전 스트레스와 감금 스트레스가 흰쥐 편도복합체 별아교세포에 미치는 영향: I. 별아교세포의 세포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natal and Restraint Stress on Astrocytes of Amygdala Complex of Rat: I. Effects on the Astrocytic Cell Body)

  • 이지용;최병영;김동희;정원석;조병필;양영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3호
    • /
    • pp.213-219
    • /
    • 2008
  • 신경계통의 가소성은 신경세포의 변화에 의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신경아교세포의 변화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신경아교세포 중 별아교세포는 신경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므로 정상적인 뇌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뇌에서 편도복합체는 위험 혹은 유해한 일련의 감각정보를 받아들이는 구역으로 받아들인 일련의 이와 같은 정보를 통합하고 변환시켜 공포라는 감정을 만들어낸다. 이런 과정은 편도복합체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의 균형변화에 의해 이루어지며, 신경전달물질의 조절에 별아교세포가 관여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출생 전 스트레스와 성장 후에 받은 스트레스가 편도복합체 별아교세포의 세포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흰쥐를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대조군 (CON), 성장 후 스트레스를 받은 군 (CONR), 출생 전 스트레스를 받은 군 (PNS), 출생 전 스트레스와 성장 후 스트레스를 모두 받은 군 (PNSR)으로 구분하였다. 별아교세포는 GFAP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확인하였으며, methylene blue/azure II로 대조 염색하였다. Neurolucid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측한 별아교세포의 세포체는 일부 편도복합체 신경핵에서 출생 전 스트레스를 받은 PNS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면적이 증가하였으며, 이런 경향은 출생 전 스트레스를 받고 다시 성장 후 스트레스를 받은 PNSR군에서 더욱 증가하였다. 따라서 흰쥐의 편도복합체에 분포하는 별아교세포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아 비대해지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생 전 스트레스가 성장 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공포의 신경 기저 회로 : 동물과 인간 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Neural Substrates of Fear Based on Animal and Human Studies)

  • 백광열;정재승;박민선;채정호
    • 생물정신의학
    • /
    • 제15권4호
    • /
    • pp.254-264
    • /
    • 2008
  • Objectives : The neural substrate of fear is thought to be highly conserved among species including human.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address the neural substrates of fear based on recent findings obtained from animal and human studies. Methods : Recent studies on brain regions related to fear, particularly fear conditioning in rodents and humans, were extensively reviewed. Results : This paper suggests high consistency in anatomical structure and physiological mechanisms for fear perception, response, learning and modulation in animals and humans. Conclusions : Fear is manifested and modulated by well conserved neural circuits among species interconnected with the amygdala, such as the hippocampus and the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ncorporate findings from animal studies into a better understanding of neural circuitry of fear in human in a translational approach.

  • PDF

유전자 조작된 PRV-BaBlu를 이용한 흰쥐 위 신경지배 편도핵의 동정 (Localization of Amygdaloid Nucleus Innervating the Stomach Using Genetically Engineered PRV-BaBlu in Rat Brain)

  • 송주민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5호
    • /
    • pp.35-41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patiotemporal localization of the amygdaloid nucleus innervating the rat stomach using PRV-BaBlu, which has been known to be an excellent type of neurotracer with the ability to transpass the neuronalsynaptic cleft. Methods: Ninety Sprague-Dawley rats (250~300 g) that were injected with PRV-BaBlu into the stomach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4 and 5 day groups (each group n=30). $2{\mu}l$ of PRV-BaBlu, a genetically modified strain of PRV-Bartha with the lac-Z gene,was injected into the rat stomach and immunostained with a mouse anti-${\beta}$-galactosidase at 3, 4 and 5 days after the virus injection. Results: The PRV-BaBlu infected the neurons in the amygdaloid nucleus, and the degree of viral infection in experimental animal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significantly with time (p<0.05). The neurons between the left and right amygdaloid nucleus significantly differ (p<0.05). Conclusion: This showed that PRV-BaBlu was an excellent neurotracer for localizing the amygdaloid nucleus, and the amygdaloid nucleus has a sensory input and motor output on stomach movement, influencing emotional behavior.

산왕거미 (Araneus ventricosus) 심관과 심근세포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the Heart Tube and Its Cardiac Muscle Cells in the Spider, Araneus ventricosus)

  • 최재영;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4호
    • /
    • pp.325-333
    • /
    • 2003
  • 왕거미과 산왕거미(Araneus ventricosus)의 심관과 심근세포의 미세구조적 특성을 주사형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거미의 심관은 복부마디의 등쪽에 분포되어 있고, 심외막과 심근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심근층의 근섬유들은 종축을 중심으로 나선상의 배열을 이루고 있었고, 내막이 없이 혈림프에 직접 노출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심관의 외부 표면에서는 3쌍의 심문이 형성되어 있었고, 내강에서는 원형질혈구와 과립혈구, 그리고 편도혈구 등 다양한 유형의 혈구들이 관찰되었다. 특히 심관의 내강을 향해 돌출된 심근돌기 주위에서는 편도혈구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편도혈구의 세포질에는 유리 리보조옴이 산재되어 있었고 핵에는 이질염색질과 인이 발달되어 있었으나, 심근층 조직과의 특이한 연접은 관찰되지 않았다. 심근층에는 횡문이 형성되어 있었고, Z-line을 중심으로 근절의 구조를 이룬 근원섬유의 주위에서는 미토콘드리아와 근소포체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었다. 심관의 배면을 따라 뻗은 신경절의 축삭들이 심근세포와 신경근육간 연접부를 형성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흰쥐에서 내측 편도핵의 전기 자극에 의한 췌액 분비 증가 기전 (Mechanism of Pancreatic Secretory Response to Electrical Stimulation of Medial Amygdaloid Nucleus in Rats)

  • 윤신희;한상준;조양혁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3권2호
    • /
    • pp.401-408
    • /
    • 198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an electrical stimulation of medial amygdaloid nucleus in rats increases pancreatic secretion. And an involvement of vagus nerve or plasma secretin in this process was also studied. In fasting rats anesthetized with urethane, a monopolar stainless steel electrode was stereotaxically inserted into the right medial amygdaloid nucleus. Pancreatic juice was collected for 20 minutes, during which physiological saline or 0.01 N HCI (0.18 ml/min) was perfused into the duodenum with or without bilateral subdiaphragmatic vagotomy. In the medial amygdaloid group, an electrical stimulation wa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during the perfusion period. After collection of pancreatic juice, blood was drawn from the abdominal aorta for determination of the plasma secretin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lectrical stimulaion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did not influence the pancreatic secretion in response to intraduodenal saline perfusion. 2) The stimulation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ancreatic secretory response (volume, bicarbonate output) to the intraduodenal 0.01 N HCI perfusion, and the increases were abolished by vagotomy. 3) The plasma secretin concentration after the intraduodenal 0.01 N HCI perfusion was higher than that after the saline perfusion. However, neither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nor vagotomy affected the plasma secretin concentration during the intraduodenal perfusion with saline or 0.01 N HCI.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facilitates the pancreatic secretion (volume, bicarbonate) elicited by intraduodenal HCI perfusion through the vagus nerve.

  • PDF

내측 편도핵의 위산분비 촉진작용에서 미주신경의 역할 (Effect of Vagotomy on Gastric Acid Secretory Response to Medial Amygdolid Stimulation)

  • 김명석;조양혁;윤신희;한상준;이덕주;김정진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3권2호
    • /
    • pp.393-399
    • /
    • 1989
  • Sixty-seven conscious rats prepared with chronic gastric fistula were studied to examine the effect of vagotomy on gastric secretory responses to medial amygdaloid stimulation. Gastric acid outpu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and the increases in acid secretion were completely eliminated by vagotomy. However, in rats subjected to stimulation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plus vagotomy, acid output was almost same as that in only vagotomized rats. And vagotomy itself decreased the acid secretion significant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luence of electrical stimulaton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on acid secretion is carried largely via vagus nerves. And also, without electrical stimulation of medial amygdaloid nucleus, acid secretion is controlled by way of vagus in rats. Plasma gastri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following stimulation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Plasma levels of gastrin were not significantly altered by stimulation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with or without vagotomy. It is therefore inferr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facilitatory influence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on the gastric acid secretion is mediated chiefly via vagal activity and that gastrin is not responsible for the increase in acid secretion in this process.

  • PDF

설과 편도 편평 상피세포암에서 P53의 표현양상에 관한 연구 (P53 Expression in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ongue and Tonsil)

  • 최건;김만수;최종욱;황순재;유홍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83-83
    • /
    • 1993
  • 정상 p53 유전자는 17번 염색체의 short arm에 위치하는 항암 유전자이나 point mutation에 의한 p53 유전자의 변이는 반감기가 긴 p53단백을 합성하여 핵내에 축적되고 변이형 p53은 암의 발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p53에 대한 단크론성 항체가 개발되어 조직에서 변이형 p53의 검색이 가능하여 여러종류의 종양조직에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p53에 대한 표현 양상이 연구되었다. 이에 설 및 편도의 편평상피세포암 조직에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p53의 표현 양상을 검색하고 p53의 표현 양상과 임상적, 병리적 소견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29례의 편평상피세포암(설암 19례, 편도암 10례)의 진단시 채취한 생검조직에서 p53에 대한 단크론성 항체를 사용하여 p53의 표현양상과 병리조직학적 분화도, 종양의 원발부위, 원발종양의 크기, 경부 임파전이 여부와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53은 대조군과 실험군의 모든 비종양핵에서는 음성반응을 보였고, 29례의 실험군 중 4례의 종양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여 양성율은 13.8%이었다. 2. p53의 양성반응은 종양의 크기가 4cm 이상인 예에서 4cm 미만인 예에서 보다 양성인 예가 많았다(p<0.05). 3. p53의 양성반응은 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화도, 종야의 원발부위, 경부 임파전이 여부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 PDF

이비인후과 영역에 희귀한 결석증 2례 (Two Cases of the Calculi which Are Rare in the E.N.T. Field)

  • 이석용;양오규;이영효;심상열;김재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1.2-11
    • /
    • 1981
  • 이비인후과 영역에서의 결석증은 타영역에 비해서 비교적 드물게 발견된다. 편도 결석은 만성편도염 환자의 소여포를 채우고 있는 건락성 충진물의 중심부에서 발견된다. 어릴때 편도염을 자주 앓았던 성인에서 발견되는 것이 보통이고, 증상으로는 구개내 이물감 및 악취를 환자 자신이 느낀다. Keratohyalin이 축적되어 결석을 형성하고 있으며 염증이 동반되면 인두통, 인통, 연하통 연하곤란등이 있을 수 있다. 비석은 비강내 이물, 응혈, 세균 가피 농후한 분비물 등이 핵이 되어 그 주위에 칼슘, 마그네슘등이 침착해서 형성된다. 성인에 따라서 외인성과 내인성으로 구분되는데, 외인성의 경우는 비강내 이물에 의해서, 내인성의 경우는 기왕에 존재하던 비질환에 의해서 각각 비폐쇄가 유발되며, 비루에 지장이 초래되어 분비물의 울혈을 가져와서 비석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성인, 여자에서 잘 생길 수 있으며 대개 편측성이고 비강저부에저 발견되는 것이 보통이다. 대개 완만한 성장을 보이므로 상당기간은 아무런 증상없이 지내다가 비폐쇄, 비출혈, 악취나는 점액농성 분비물을 주소로 내원하는 수가 많다. 저자들은 이비인후과 영역에서도 희귀하게 발견되는 편도결석 1례와 거대한 비석 1례를 최근에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