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펨토초 기술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2초

초고속레이저 기반 마이크로 패키징 및 게르마늄 표면 공정 기술 개발 (Application of Ultrafast Laser for Micro-packaging and Germanium Surface Processing)

  • 정세채;양지상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4-78
    • /
    • 2007
  • 전자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더욱 더 작은 구조물의 제작을 위한 새로운 물질공정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물질 고유의 물리적인 성질을 유지하면서 초미세 공정이 필용한 시점에서 기존의 전통적으로 사용하여 왔던 기계적인 방법과 레이저 공정은 공정 분해능의 한계와 물리화학적인 변형 때문에 최종 부품의 성능저하와 불량률을 증가시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반면에 고출력 펨토초 레이저 기반물질 공정 기술은 기존 레이저 공정에 비해 열적 손상이 매우 작기 때문에 최근 많은 분야에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본 해설 논문에서는 박형 실리콘 기판의 마이크로 패키징 및 게르마늄 표면 공정을 통한 나노구조체 형성에 대해 본 연구진에서 발표한 최근의 개발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연구 분야를 소개하고자 한다.

광-전자파 기반 20 GHz급 펄스 샘플링 오실로스코프 (20 GHz Pulse Sampling Oscilloscope Based on Electro-Optic Technique)

  • 이동준;강노원;이주광;강태원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927-93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전자 소자 기반의 상용 오실로스코프에 의한 기존의 펄스 신호 측정 방법의 주파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기광학 기반의 측정 방법을 기술하였다. 펄스폭 0.1 ps의 펨토초 레이저와 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20 GHz 주파수 범위에 대응되는 전자기 펄스를 발생시키고,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전자기 펄스를 검출하기 위하여 전기광학 샘플링 기법을 이용하였다.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위의 매우 근접한 거리에서 광학 결정 프로브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펄스 신호를 검출하고, 선로의 출력단 펄스 신호를 기존의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여 두 측정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이광자 광중합 공정을 이용한 3차원 미세구조물 제작기술 동향 (Recent Progress in the Nanoscale Additive Layer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wo-Photon Polymerization for Fabrication of 3D Polymeric, Ceramic, and Metallic Structures)

  • 하철우;임태우;손용;박석희;박상후;양동열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5-270
    • /
    • 2016
  •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nano-scale fabrication technology using twophoton- absorbed polymerization induced by a femtosecond laser. The nano-stereolithography process has many advantages as a technique for direct fabrication of true three-dimensional shapes in the range over several microns with sub-100 nm resolution, which might be difficult to obtain by using general nano/microscale fabrication technologies. Therefore, two-photon induced nano-stereolithography has been recently recognized as a promising candidate technology to fabricate arbitrary 3D structures with sub-100 nm resolution. Many research works for fabricating novel 3D nano/micro devices using the two-photon nano-stereolithography process,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NT/BT/IT fields, are rapidly advanc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