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펙틴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4초

셀룰로오스 및 펙틴이 식후 혈당과 혈장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ellulose and Pectin on Postprandial Blood Glucose and Plasma Lipid Concentration)

  • 이선우;노희경;최인선;오승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3호
    • /
    • pp.244-25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of cellulose and pectin on glucose and plasma lipid concentrations in healthy women. Eight female collage students were participated voluntarily. All subjects received a fiber-free control diet (CD), cellulose diet (CED), pectin diet (PTD) with each diet for a period of three days with a 4 day interval. The food intake of subjects were monitored every day and plasma level of glucos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were determined at last day. Blood glucose, plasma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were measured at fasting state and 30, 60, 90, 120, and 180 minute after consuming each diet. Plasma glucose concentrations (AUC: Area Under the Curve) of pectin diet was $122.7{\pm}4.0mg/dl$ and that of cellulose diet was $147.6{\pm}8.4mg/d$, but the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comparison with those of control diet ($197.1{\pm}11.6mg/dl$) (p<0.05) Plasma triglyceride concentrations of the CED ($-83.9{\pm}22.2mg/dl$) PTD ($-9.7{\pm}26.1mg/dl$) showed gradual decrease after each test diet feeding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dietary fiber added diet (p<0.05).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the C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PTD, but PT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ED until 3 hours after consuming each test meal (p<0.05). In conclusion, in spite of total cholesterol was reduced only by pectin, glucose and triglyceride were lower than control diet in dietary fiber intak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each dietary fiber.

Penicillium sp. CB-20이 생성하는 Polygalacturonase의 생산 및 정제 (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Polygalacturonase from Penicillium sp. CB-20)

  • 조영제;임성일;이우제;최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40-446
    • /
    • 1989
  • Penicillium sp. CB-20의 polygalacturonase 생성을 위한 최적조건은 탄소원으로 펙틴을 사용하여 16 시간 배양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ephadex G-25, G-75 및 G-150을 사용한 gel filtration과 DEAE-cellulose, DEAE-Sephadex A-50에 의 한 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이 효소를 약 30배 가량 정제할 수 있었고, 수율은 2.31%였다. 정제효소는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에 의하여 단일 밴드로 확인 되었으며, 분자량은 SDS PAGE에 의하여 21,000 정도로 측정되었다. 효소의 결정구조는 마름모꼴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아미노산 조성은 17종류로써 glutamic acid, glycine, hlstidine의 함량이 비교적 많았다.

  • PDF

식물세포분리효소를 이용한 수박과 참외의 단세포 함유 반응물 특성 (Characteristics of Suspension Containing Single Cells from Watermelon and Muskmelon Treated with Cell Separating Enzymes)

  • 박용곤;강윤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8-63
    • /
    • 2004
  • 수박과 참외의 황용도 증진을 위하여 조직을 개개의 세포로 분리할 수 있는 단세포화 기술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이들을 시판 식물세포분리효소인 Macerozyme A와 Sumyzyme MC로 30분에서 120분간 반응시간별 단세포 함유 반응물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단세포화로 얻을 수 있는 수율, 반응률, 단세포 함유 반응물의 색도, 점도, 총당, 총펙틴, 총폴리페놀, 무기질, 유리 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분리된 단세포의 형태변화를 입도분포로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효소반응시간이 경과 할수록 반응물의 성분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세포벽에 의하여 내부 구성성분이 보호를 받아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박과 참외의 무기질 함량은 주스보다는 단세포 함유 반응물에서 상대적으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참외의 경우 무기질인 K의 함량은 효소반응물과 주스에서 각각 240.8 mg%, 172.7 mg%였다. 본 연구 결과는 수박과 참외로부터 효소반응 물의을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음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통일 및 팔달쌀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ongil(Indica type) and Paldal (Japonica type) Rice Starch)

  • 김성곤;한태룡;이양희;다포로니아비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7-161
    • /
    • 1978
  • 통일 및 팔달쌀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을 살펴본 바, 전분의 물결합능력, blue value 및 아밀로스 함량에 서로 차이가 없었다. 팔달 전분은 통일 전분에 비해 팽화력이 높았다.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두전분의 차이는 볼 수 없었으나 통일이 팔달보다 $50^{\circ}C$로 냉각시 점도가 다소 높았다. 또한 통일 아밀로스의 intrinsic viscosity는 팔달 아밀로스보다 높았으나 아밀로펙틴은 두 전분모두 비슷한 값을 보였다. 전분 gel의 retrogradation 속도는 $21^{\circ}C$에서 통일이 팔달보다 다소 빨랐다.

  • PDF

Mass spectrometer 기반의 전자코를 이용한 트리메틸아민과 쌀뜨물간의 결합 분석 (Analysis of Binding Trimethylamine with Rice-washed Solution using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er)

  • 홍은정;손희진;강진희;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09-514
    • /
    • 2009
  • 생선 등에서 비린내 성분중 하나인 트리메틸아민을 이취 유발 물질로 하여 6% 쌀뜨물을 기준으로 아밀로오스, 전분, ${\alpha}$-cyclodextrin 등과 이취 제거효과를 전자코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해보았다. 쌀뜨물과 이취물질의 반응시간이 길수록 그만큼 결합이 많이 이루어져 이취 저감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쌀뜨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반응할 수 있는 전분의 양이 많아 그만큼 이취가 적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쌀뜨물이 아닌 다른 탄수화물 용액과의 반응에서 6% 쌀뜨물과 전분의 효과는 비슷하였으며 ${\alpha}$-cyclodextrin은 농도가 10배 정도 낮음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경향을 보여 그만큼 이취 저감화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밀가루는 단백질의 함량이 높아 다른 물질들에 비해 결합정도가 낮을 거라 예상되며 쌀뜨물의 이취 저감화 효과는 아밀로오스뿐 아니라 아밀로펙틴의 영향도 받는 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예상되는 바이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향후 신제품 개발이나 품질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이취 제거 성분들은 전통식품 같이 첨가물이나 가공품을 많이 첨가하기가 어려운 시료에서의 활용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다.

섬유소-펙틴 분해력이 있는 새로운 Aspergillus tubingensis의 분리와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Aspergillus tubingensis with a Hydrolyzing Activity of Cellulose-pectin Complex)

  • 김영민;서원숙;홍진영;최홍서;김주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4-128
    • /
    • 2003
  • 대전광역시 근교의 야산과 들판 등지에서 썩은 나뭇잎, 짚, 흙을 채취하여 각각을 배양한 다음 Congo red test에 의해 cellulase 활성을 보이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Genomic DNA를 분리한 후 PCR을 수행하여 DNA sequence를 Gene Bank를 통해 분석한 결과 A. tubingensis로 밝혀졌다. 이것을 배양하여 상등액을 crude enzyme으로 사용하여 온도와 pH를 달리하면서 효소의 활성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균주로 A. oryzae KCTC 6291를 이용하였고, 본 연구를 통하여 분리한 균주인 A. tubingensis가 생산하는 cellulase는 A. oryzae의 cellulase에 비하여 각각 다른 온도와 pH에서 높은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A. tubingensis는 각각의 온도에서 활성의 정도가 비슷했으며, 45$^{\circ}C$, 55$^{\circ}C$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고르게 활성이 나타났다. 또한 pH 12.0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 주었고, pH 2.0, 3.0, 4.0에서는 양쪽 모두 거의 활성이 없었으며, 중성, 염기성에 대해서 활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분리 동정한 A. tubingensis는 온도와 pH에서 고르게 활성을 나타내므로 생균제로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클 것으로 여겨진다.

전분질첨가 김치의 숙성 중 물리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의 변화 (Changes in Phys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Starchy Pastes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이귀주;한정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5-200
    • /
    • 1998
  • 전분풀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밀가루풀 첨가군, 찹쌀풀 첨가군의 세 시료를 1$0^{\circ}C$에서 2주간 저장하고 발효과정중 미생물 수 그리고 김치의 조직감과 김치액의 점도, 색상등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추조직의 견고성(hardness)은 숙성이 진행될수록 세 시료군 모두 감소하였는데 대조군값이 가장 높았고 밀가루풀 첨가군이 가장 낮았다. 펙틴질 분획 결과 발효가 진행되면서 HWSP는 밀가루풀 첨가군>찹쌀풀 첨가군>대조군의 순으로 모두 증가하였고 HCISP는 밀가루풀 첨가군>찹쌀풀 첨가군>대조군의 순으로 모두 감소하였다. 김치액의 적색도는 발효기간 동안 세 시료군 모두 감소하였으며 김치액의 점도 역시 찹쌀풀 첨가군>밀가루풀 첨가군>대조군의 순으로 모두 감소하였다. 총균수 및 젖산균수는 발효초기 세 시료모두 점차 증가하다가 pH 4.0~4.5 사이의 최적숙기인 발효 5일째 밀가루풀 첨가군에서의 균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일 이후로는 세 시료군 모두에서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전분풀의 첨가는 김치의 발효를 촉진시키며 밀가루풀이 찹쌀풀보다 발효가 더 빨리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펙틴 및 감자전분 첨가가 저지방 돈육 패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ctin and Potato Starch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Fat Pork Patties)

  • 주신윤;정해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24-831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fat pork patties containing fat replacers. Pectin(PE) and potato starch(PO) were added as fat replacer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atties were evaluated after oven-roasting or pan-frying. Uncooked and cooked pork patties formulated with the fat replacers were higher in moisture and ash content and lower in fat content than those of the control. The cooking yield and reduction in diameter of the patt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addition of PE or PO and oven-roasting exhibited a higher cooking yield and lower reduction in diameter than pan-frying (p<0.05). Water holding capacity(WHC) and fat retention were highest in the patties formulated with PE, while the control had the lowest WHC when cooked by oven-roasting. The Hunter L (lightness) value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patties but the Hunter a (redness) and b (yellowness) values of the low fat pork pat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oven-roasting produced higher redness values than pan frying. Hardness and brittleness were lowest in the patties with PE, while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patties (p<0.05). The sensor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PE or PO improved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low-fat pork patties. After 30 days of storage at $-20^{\circ}C$, pH and cooking yield decreased slightly, while hardness increased in all the patties.

Maltogenic amylase를 이용한 고구마 전분겔의 텍스쳐 특성 변화 (Changes of the Textural Properties of the Sweet Potato Starch Gels using Maltogenic Amylase)

  • 권미라;정동선;박관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49-654
    • /
    • 1993
  • 효소를 이용하여 전분을 수식하여 묵의 텍스쳐 특성을 개선하고 아울러 기능성 탄수화물을 첨가시켜 불성을 개선하고 건강식품화하고자 하였다. 전분의 분자수식을 위하여 maltogenic amylase를 이용하였으며 고구마 전분의 구조를 modification시켜 묵을 제조하고 또한 분지 글루코올리고당과 도토리 전분을 혼합하여 10% 전분겔을 제조한 후 Instron을 사용한 기계적 검사와 관능검사를 병행하여 텍스쳐 특성을 시험하였다. 고구마 전분에 maltogenic amylase를 0.02% 첨가하였을 때 텍스쳐 개선효과가 가장 켰으며 묵의 품질이 우수하였다. 이는 효소에 의해 긴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이 묵이 형성될 수 있는 길이로 잘라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Bacillus licheniformis maltogenic amylase(BLMA)를 이용하여 제조한 분지글루코올리고당을 첨가한 경우, 12.5%를 첨가하였을 때 텍스쳐 특성이 가장 향상되었다. 도토리 전분을 혼합하여 전분겔을 제조한 경우에는 50%를 혼합하였을 때 가장 텍스쳐 특성이 향상되었고 100% 도토리만으로 제조한 전분겔보다 수응력이 우수하였다.

  • PDF

저당성 무화과 잼의 상품성 제고 (Processing of Low Sugar Fig Jam for Marketable Production)

  • 허원녕;김명화;고은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51-657
    • /
    • 1999
  • 저당성 무화과 잼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하여 값싼 PE 대체용 재료의 선발, 색택 및 조직감의 개선 및 저장중의 안정성 유지의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무화과 펙틴질의 DE를 감소시켜 저당화 잼을 만들 수 있게 하는 PE를 대체하기 위하여 선별한 과일 펄프는 방울토마토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색깔을 개선하기 위한 천연색소는 Carmacid R이 효과적이었으며 조직감의 개선은 설탕 사용량의 20%를 물엿으로 대체한 것이 효과적이었고 갈변방지용으로 MULTIPHOSE의 첨가는 저온 저장시 적색도의 유지에 효과적이었다. 관능검사의 결과는 상품성 높이고자 개발한 잼이 색깔은 좋은 평가를 받았고 맛, 향, 조직감 및 기호도에서는 서로 유의차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