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페라이트 코어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초

폐기물 페라이트를 이용한 CO2분해 (CO2 Decomposition with Waste Ferrite)

  • 신현창;김진웅;최정철;정광덕;최승철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6-152
    • /
    • 2003
  •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CO_2$를 분해시키기 위하여 Ni-Zn 페라이트와 Mn-Zn 페라이트 코어 제조시 대량으로 배출되는 페라이트 폐기물을 이용하였다. 폐기물 페라이트와 페라이트 코어 완제품인 Ni-Zn 페라이트와 Mn-Zn 페라이트는 5% $H_2$/Ar과의 환원반응에서 14~16wt%가 환원되었다. 환원된 페라이트를 이용한 $CO_2$분해 반응에서는 세 종류의 페라이트 모두 약 11wt%에 해당하는 $CO_2$를 분해하였다. 이 반응에서 $CO_2$는 환원된 페라이트 중 Fe와 FeO치 산화에 의해 분해되었으며. 폐기물 페라이트의 경우 $CO_2$분해 반응 후 스피넬 결정상을 형성하였다. 대량으로 버려지는 폐기물 페라이트를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CO_2$분해가 가능한 폐기물 활용기술을 개발하였다.

NiZn 페라이트코어를 이용하여 제작한 직교형 플럭스게이트 센서의 출력에 미치는 바이어스전류의 영향 (DC Bias Current Influence to the Sensitivity of Orthogonal Fluxgate Sensor Fabricated with NiZn Ferrite Core)

  • 신광호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94-9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페라이트 코어와 페라이트코어를 관통하는 구리선, 그리고 검출 코일을 이용하여서 직교형 플럭스게이트 센서를 제작하고, 직류 바이어스 전류가 출력 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제작한 직교형 플럭스게이트 센서의 출력 및 감도는 구동주파수에 의존하였으며, 이는 검출코일 임피던스의 주파수특성이 나타내는 경향과 유사하였다. 직류 바이어스 전류가 교류 구동전류의 크기에 비해서 대략 50% 이상일 때 출력감도가 최대가 되었으며, 그 보다 큰 직류 바이어스 전류에 의해서는 출력감도가 포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페라이트 코어를 이용한 팩시밀리에서의 EMI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I Denoising Using the Ferrite Core for Facsimile)

  • 윤기방;유린;김기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37권5호
    • /
    • pp.28-3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팩시밀리에서 발생하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파 장해)를 제거하기 위하여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한 환형 인덕터를 설계하였다. 팩시밀리에서 발생하는 EMI는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공중 유선 전화망)에 연결된 라인으로부터 복사되기 때문에 팩시밀리와 PSTN 사이에 Ni-Zn 계의 페라이트 코어를 삽입하여 복사 잡음을 제거하였다. 페라이트 코어를 두 개 이 상 사용하여 복사 잡음을 제거하는 것 보다. 경제적인 이득을 고려하여 페라이트 코어 한 개를 사용하고 턴 수를 조절하여 복사 잡음을 제거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팩시밀리와 PSTN의 연결하는 라인에 설계된 인덕터를 삽입하여 EMI를 측정한 결과 인덕터의 턴 수가 4회일 때, 전자파 복사 방출기준치인 30dBμV/m 이 하로 감쇠되었다.

  • PDF

페라이트 코어를 이용하여 제작한 직교형 플럭스게이트 센서의 감도에 미치는 구동주파수의 영향 (Operation Frequency Dependence of Output of Orthogonal Fluxgate Sensor Fabricated with Ferrite Core)

  • 신광호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200-203
    • /
    • 2012
  • 원통형 페라이트 코어와 검출 코일을 이용하여서 직교형 플럭스게이트 센서를 제작하고, 구동주파수가 출력 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외부 자계에 대한 플럭스게이트 센서의 출력은 코어의 단면적, 권선수, 구동주파수 등에 비례한다. 따라서, 센서를 소형화시키면서 출력(감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동주파수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구동주파수는 자성체 코어의 주파수특성, 구동회로의 성능, 검출 코일의 주파수특성 등 다양한 요인으로 제한 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페라이트 코어와 검출 코일을 이용하여 제작한 직교형 플럭스게이트 센서에 있어서 센서 출력의 주파수특성과 검출 코일의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를 측정하여서 상호 연관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외부 자계에 대한 센서의 출력은 검출 코일의 임피던스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검출 코일의 LC공진주파수에서 높은 출력(감도)을 얻을 수 있었다.

100 kHz 대역의 자계 환경내(內)에서의 페라이트 코어의 계(界) 해석 (Field Analysis in the Ferrite Core at 100 kHz Band Magnetic Field)

  • 구본철;유재성;김미자;김윤명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977-983
    • /
    • 2007
  • 최근 근거리에서 수신 모듈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시스템이 많아지고 있다.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때, 수신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ferrite core 주변에 코일을 감아 유도기 전력을 얻는다. 본 논문에서는 100kHz 균일한 단방향의 자계 환경 내에 위치한 페라이트 코어 내부의 자계 분포를 분석한다. 수치 분석을 위 한 시뮬레이터는 유한요소 기법을 적용한 Ansoft사의 Maxwell Tool을 사용하였다. 페라이트 코어의 비투자율의 변화에 따라 집속되는 자속 밀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코일의 권선을 위해 코어의 일부를 잘라내었을 시 총자속의 변화량을 알아보았다. 계산 결과, 100 kHz 자계 환경 내에서 작은 페라이트 코어를 이용하면 코어 내에 약 $3.5{\sim}4$배의 자속 밀도가 증강됨을 확인하였다. 비투자율이 800이면서 반지름의 길이가 4.75 mm인 페라이트 코어의 가장자리에 0.5mm를 도려내었을 때 총 자속은 23%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페라이트 코어와 칩캐패시터의 주기적 연결구조에서 발생하는 자기유도파 (Magneto-inductive Wave in Periodic Chain of Ferrite Cores and Chip Capacitors)

  • 신광호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2-26
    • /
    • 2015
  • 이 논문에서 Ni-Zn 페라이트 코어와 칩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주기적인 연결구조에서 발생하는 자기유도파(magneto-inductive wave)에 대한 실험적 결과를 보고 한다. 주기적 연결구조는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진 LC공진기(LC resonator)로 되었으며, 개별 공진기는 도선과 칩캐패시터로 구성되었다. 인접하는 공진기들은 패라이트코어를 통해서 자기적으로 결합되었다. 제작된 주기적 구조의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아날라이저를 이용한 S-파라미터를 분석하여 신호전송특성을 평가하였다. 5개의 LC공진기를 1차원적으로 연결하여 제작한 주기구조의 신호전송 중심주파수는 32 MHz~38 MHz였으며, 이는 인가자계의 크기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었다.

국산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용접에서 입열량이 용접부의 미세조직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Heat Input on the Microstructure and Toughness of Weldments Made by Domestic Flux Cored Wires.)

  • 고진현;국정한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1권4호
    • /
    • pp.57-69
    • /
    • 1993
  • In the present study, the microstructure and Charpy V notch toughness of multipass $CO_2$ FCA weldment in three different heat inputs(1-3KJ/mm)were investigated. The weldments using two different domestic FCAW wires(AWS E71T-1 and E71T-5 equivalent) in C-Mn steel were chemically analysed.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inferred. 1. T-1 wire Showed a stable arc transfer, less spatter and harsh, a better bead spreading and easy slag removal, whereas T-5 wire suffered from the arc stability, which tended to increase spatter and produce a more convex bead. 2.The microsturctures of the top beads of the weldments in three different heat inputs consisted of coarse-grained boundary ferrite and Widmanstatten ferrite side plate with increasing heat inputs. The modest fraction of acicular ferrite in the two wire weldments was observed in the 2KJ/mm heat input. 3.The fine-grained reheated zones of both welds consisted of a duplex microstructure of polygonal ferrite and second phases. 4. The basic flux weldment of T-5wires showed a higher Charpy impact property than that of T-1 wires because of a higher fraction of acicular ferrite in the weld microstructure.

  • PDF

LC공진소자를 이용한 변위센서 (Displacement Sensor Fabricated with LC Resonators)

  • 신광호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7-3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타입의 변위센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페라이트코어를 이용한 인던턴스와 외부 캐패시턴스를 이용하는 LC공진자를 제작하고 특성을 검토하였다. 개별 공진자의 임피던스의 주파수의존성을 분석하였고, 두 개의 공진자가 인접해 있을 때 자체 인덕턴스와 상호 인덕턴스에 부합하는 주파수에서 각각의 공진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진주파수는 5~17 mm의 변위에 대해서 선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제안된 방법으로 정밀한 변위를 측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oosely Coupled Dual Active Bridge Converter 용 무선 전력 전송 코일 개발 (Development of Wireless Power Transfer Coils for Loosely Coupled Dual-Active-Bridge Converter)

  • 이재홍;이승환;김성민;한동엽;김명룡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33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 변압기 대신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적용해 양방향 전력 전송을 가능케 해주는 loosely coupled dual-active-bridge 컨버터에서, 코일 간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코일 형상 설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한 요소법을 통해 여러 형태의 페라이트 코어에 대해 해석했다. 페라이트 코어 형태가 I-자 일 때 가장 높은 quality factor의 코일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I-core의 ferrite plate의 크기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을 결정하는 코일의 coupling coefficient와 코일의 quality factor가 변하고 trade-off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cm의 air-gap에 대해 최대 효율을 가지는 코일 형상을 설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97.8%의 코일간 전송효율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