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페놀산 조성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7초

밤 삽피의 페놀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hestnut Endoderm)

  • 김영찬;김미연;정신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3호
    • /
    • pp.162-167
    • /
    • 2002
  • 밤 삽피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밤 삽피로부터 유리형(EPA), 에스데르형(EPA), 결합형(BPA) 페놀산 획분을 분리하였다. 각 획분의 수율은 유리형 0.794%, 에스테르형 1.236%,결합형이 1.937%였으며 이중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에스테르형이 65.19%로 가장 높았다. Gas chromatography로 각 획분의 페놀산의 조성과 함량을 조사한 결과 유리형 획분에서 gallic acid(4.63%), ellagic acid(3.49%), salicylic acid(3.19%), gentisic acid(1.5%)가, 에스테르형 획분에서 gallic acid(13.4%), ellagic acid(11.6), protocatechuic acid(0.9%)가 주요 페놀산으로 확인 되었으며,결합형 획분에서는 gallic acid는 확인되지 않고 다른 획분에 비하여 sinapic acid(1.33%)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들 획분의 항산화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 hydroxyl radical 소거능,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 시험으로 조사한 결과 유리형, 에스데르형, 결합형 획분의 순으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백삼의 페놀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hite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 최창숙;김경임;홍희도;최상윤;이영철;김경탁;노정해;김성수;김영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22-30
    • /
    • 2006
  • 본 연구는 백삼으로부터 페놀산 획분을 얻은 후 페놀산 성분들의 조성 및 함량을 조사하고, 이 획분 들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추출수율 및 페놀성 물질의 함유량은 유리형 (FPA)획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GC 분석 결과에서도 페놀산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3종류의 페놀산 획분이 갖는 항산화 활성을 실험한 결과 ferulic acid함량이 가장 높았던 결합형 (BPA)페놀산 획분의 라디칼 소거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 SOD유사활성에서는 에스테르형 페놀산 획분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에스테르형 (EPA) 획분에서만 검출된 caffeic acid에 의한 활성으로 생각된다. 백삼의 페놀산 획분이 홍삼이나 다른 천연물의 추출물에 비해 in vitro에서 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동물실험 이나 임상실험에서는 어떠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을 지는 검토해 봐야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그동안 사포닌 연구에 비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페놀산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후속적으로 이뤄져야 할 임상실험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볶음조건과 저온압착이 아마씨유(Linum usitatissimum L.)의 지방산 조성 및 휘발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asting Condition and Cold-pressed Flaxseed (Linum usitatissimum L.) oil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Volatile Compound)

  • 원새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77-184
    • /
    • 2020
  • 본 연구는 불포화지방산 중 α-리놀렌산이 풍부한 아마씨에서 볶음조건과 저온압착법으로 착유된 아마씨유의 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볶지 않은 아마씨와 볶은 아마씨(150℃와 200℃에서 10분과 20분)를 가정용 저온압착기를 사용하여 저온압착으로 착유하여 착유수율, 총 페놀 함량, 지방산 조성 및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착유수율은 볶지 않은 아마씨에서보다 볶은 아마씨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150℃에서 20분 동안 볶아서 착유한 경우 다른 착유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200℃에서 착유한 경우는 볶지 않은 생 아마씨유보다 낮았다. 지방산의 조성은 볶음조건에 의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휘발성 성분은 총 함량과 지방산패의 지표로 알려진 aldehyde, ketone, furan은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서 증가되었고, Maillard 반응에 영향을 주는 pyrazine도 200℃에서 볶아서 착유한 아마씨유에서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가정용 저온압착기로 착유된 아마씨유는 볶지 않은 아마씨보다는 150℃에서 20분 동안 볶은 후 저온압착으로 착유하는 방법이 안전한 추출과정으로 제안된다.

발효처리가 인삼잎의 진세노사이드 및 페놀산 조성 변화와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Ginsenoside,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Significances of Fermented Ginseng Leaf)

  • 이가순;성봉재;김관후;김선익;한승호;김현호;백남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94-120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인삼잎이 인삼뿌리보다 사포닌 함량이 높은 부위로서 식품 소재로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인삼잎을 이용하여 차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삼잎을 발효시켜 진세노사이드 조성 및 형태별 페놀산 조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인삼잎을 침출시켜 침출액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인삼잎에서 진세노사이드는 10종이 검출되었고 주된 진세노사이드는 ginsenoside-Rg1(26.0 mg/g), -Re(47.3 mg/g) 및 -Rd(23.9mg/g)이었고 발효에 의하여 ginsenoside-Rh2, -Rh1, -Rg2 및 -Rg3는 증가하였으며 특히 Rg3는 15배가 증가하였다. 인삼잎의 총 폴리페놀성 함량은 350.4 mg%이었고 발효인삼잎은 312.5 mg%으로 발효에 의해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인삼잎의 페놀산은 결합형은 검출되지 않았고, 유리형과 에스테르형이 각각 8 및 6종이 검출되었으며 그중에서 ferulic acid가 각각 12.6 및 50.7 mg%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발효인삼잎에서는 ferulic acid는 상당량이 감소하였으나 protocatechuic acid, p-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의 3종의 페놀산이 유리형, 에스테르형 및 결합형 모두에서 상당량 증가하여 총 함량이 각각 28배, 5배 및 7.8배 증가하였다. 인삼잎을 침출시킨 액을 이용하여 전자공여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자공여능은 발효에 의하여 활성이 증가하지는 않았으나, tyrosinase 저해활성은 증가하여 $500\;{\mu}L/mL$ 농도로 첨가 시 46.5%를 나타내어 무발효인삼잎에 비하여 2배 이상 증가하여 시판녹차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수삼의 증숙 횟수에 따른 페놀산 함량 변화와 라디칼 소거활성 (Changes of phenolic acid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ginseng according to steaming times)

  • 김영찬;홍희도;노정해;조장원;이영경;임주혁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230-236
    • /
    • 2007
  • 본 연구는 증숙 횟수에 따른 인삼의 총페놀 화합물 함량과 페놀산 획분의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시험하고, 개별 페놀산 조성과 함량을 GC로 분석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0.53-2.89%로 증숙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결합 형태에 따른 페놀산 획분의 함량은 결합형 >에스테르형>유리형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세 획분의 총량 (1.03-1.41%)은 증숙횟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각 획분에서 salicylic, cinnamic, p-hydroxybenzoic, gentisic, vanillic, syingic, caffeic, ferol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gentisic acid와 ferulic acid 가 주된 페놀산으로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각 페놀산 획분은 50% 이상의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결합형태에 따른 페놀산 획분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각 획분별로 증숙 횟수에 따라 라디칼 소거활성이 차이를 보였으며, 증숙 횟수가 증가할수록 라디칼 소거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품 소재로서 감국의 화학성분 조성

  • 신영자;박금순;정외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사단법인 창립총회
    • /
    • pp.101-101
    • /
    • 2003
  • 다양한 식품 소재의 창출을 목적으로 그 기초자료로서 감국에 대한 화학적조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감국의 수분함량이 10.51%, 조단백 9.38%, 지방 3.47%, 회분 4.87%, 환원당 13.12%, 조섬유가 9.03%, 비타민 C의 함량은 0.74%였다.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 0.43mg%이였으며,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0.84mg%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은 전체 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41.42% 이고, 비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58.58%였다. 감국의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가 13.5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alanine(11.25%), aspartic acid(10.35%) 순으로 나타났다. (중략)

  • PDF

고온고압 처리 홍삼의 페놀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ed Ginseng Prepared by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Process)

  • 정경희;홍희도;조장원;이민영;최웅규;김영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27-8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고온고압 처리를 통한 홍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페놀산 성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고온고압 처리 홍삼의 총 페놀 함량은 14.76 mg/g으로 기존의 수삼 3.59 mg/g과 홍삼 3.93 mg/g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은 농도 $1{\sim}100mg/m{\ell}$ 농도에서 고온고압 처리 홍삼 4.8~78.4%, 수삼 1.0~47.4%, 홍삼 1.8~56.5%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고온고압 처리 홍삼 8.9~99.8%, 수삼 3.4~96%, 홍삼 1.2~96.5%를 보였다. 신규 홍삼에서는 maltol, p-hydroxybenzo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syringic acid, cinnam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등의 페놀산 성분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페놀산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mg/m{\ell}$의 농도에서 고온고압 처리 홍삼 81.5%로 수삼 16.6%와 홍삼 32.9%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국내산 유채 종자의 품종별 지방 조성 및 페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Lipid Composition of Korean Rapeseed (Brassica napus L.) Cultivar and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 Extract)

  • 이아영;홍순택;장영석;이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817-1826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산 유채 종자 내한, 탐라, 목포111호, 영산, 탐미, 한라와 목포68호의 품종별 지방산 조성, 인지질, 당지질, 토코페롤 함량을 조사하고, 유채 종자를 탈지한 후 crude phenolic compound를 추출하여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유채 종자의 조지방 함량은 29.3~33.2%였고, 품종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지방산은 oleic(n-9), linoleic(n-6)과 ${\alpha}$-linolenic acid(n-3)였으며, n-6/n-3 지방산의 비율은 2.20~3.68이고 이 중 내한종이 가장 낮고 한라종이 가장 높았다. Neutral lipids 함량은 내한종과 탐라종, 인지질 함량은 탐미종에서 가장 높고, 소량 함유된 당지질은 내한, 탐라, 한라와 목포68호 간 함량 차이가 없었으며 목포111호에 가장 낮게 함유되었다. 토코페놀 함량 수준은 ${\gamma}$ > ${\alpha}$ > ${\beta}$ > ${\delta}$-tocopherol이며, 내한종의 총 tocopherol 함량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탐라, 목포111의 순이었으며 영산, 탐미, 한라 목포68호는 유의적인 함량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품종별 총 페놀 함량은 탐라> 영산> 탐미, 한라, 내한> 목포68호, 목포111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탐라종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FRAP value가 가장 높아 7개의 품종 중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탈지 후의 유채박에 함유된 phenol compounds의 용매별 분획할 결과 30% ethanol fraction에 가장 많이 추출되며 이 fraction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해당화 열매 과육과 종실의 숙기별 항산화능 및 지방산 조성 (Antioxidant Activity and Fatty Acid Aomposition of Beach Rose (Rosa rugosa) Fruit and Seed from Various Ripening Stages)

  • 채승훈;송현종;이영상;한태호;구강모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9-69
    • /
    • 2019
  • 해당화 열매를 숙기 별로 과육의 항산화물질 함량과 씨앗의 지방산 함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과육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항산화능을 갈산 환산농도로 나타내면 미성숙 과육은 $4.36{\pm}0.03mg/g$, 성숙 초기 과육은 $4.54{\pm}0.37mg/g$, 성숙 중기 과육에는 $4.78{\pm}0.21mg/g$, 성숙 후기에는 $4.30{\pm}0.22mg/g$ 범위로 항산화능을 보여주었다. 항산화능력은 성숙중기에서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고 성숙함에 따라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미성숙, 성숙 초기는 유의한 걸로 나오지만 성숙 중기와 성숙 후기은 다른 성숙도와 유의하지 않았다. 총 페놀 함량의 미성숙 과육은 $1.60{\pm}0.03mg/g$, 성숙 초기 과육은 $1.80{\pm}0.08mg/g$, 성숙 중기 과육에는 $2.03{\pm}0.67mg/g$, 성숙 후기에는 $1.53{\pm}0.07mg/g$ 범위로 폴리페놀이 존재하였다. 성숙 초기에 제일 높은 항산화능력과 폴리페놀 함량을 보여주고 있으며 성숙할수록 항산화능력과 총 페놀 함량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씨앗의 지방산 함량은 리올레산, 리놀렌산, 올레산, 팔미트산 순으로 많았다. 리올레산은 미성숙 씨앗은 전체 함량 중 56.46%, 초기 과육 씨앗에는 54.26%, 중기 과육 씨앗에는 51.67%, 후기 씨앗에는 50.75%의 함량을 가지고 있다. 리올렌산은 미성숙 씨앗은 전체 함량 중 18.80, 초기 과육 씨앗에는 17.96%, 중기 과육 씨앗에는 18.90%, 후기 씨앗에는 21.42%의 함량을 가지고 있다. 올레산은 미성숙 씨앗은 전체 함량 중 13.54%, 초기 과육 씨앗에는 20.78%, 중기 과육 씨앗에는 22.44%, 후기 씨앗에는 20.81%의 함량을 가지고 있다. 팔미트산은 미성숙 씨앗은 전체 함량 중 6.80%, 초기 과육 씨앗에는 3.40%, 중기 과육 씨앗에는 3.37%, 후기 씨앗에는 3.32%의 함량을 가지고 있다. 리올레산은 미성숙 시기에 가장 많았고 리올렌산은 후기에 올레산은 중기에, 팔미트산은 초기에 많았다.

  • PDF

미국 및 칠레산 수입 레드 와인(Cabernet Sauvignon)의 항산화능 (The antioxidant capacities of imported red wines (Cabernet Sauvignon) from US and Chile)

  • 이혜련;황인욱;하형태;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08-613
    • /
    • 2013
  • 국내에서 주로 수입되고 있는 Cabernet Sauvignon 레드와인(미국산 5종, 칠레산 10종)의 이화학적인 품질 특성과 항산화활성 및 폴리페놀 화합물의 조성을 조사하였다. 가용성 고형분은 7.03~8.6 $^{\circ}Brix$, 환원당은 2.7~6.7 g/L, 산도는 0.7~0.8% 범위이었으며, 미국산과 칠레산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이산화황 함량은 미국산이 33 mg/L, 칠레산이 45 mg/L로 칠레산이 높았다(p<0.05). DPPH 방법과 ORAC 방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과 총페놀 함량은 미국산보다 칠레산이 조금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산 가수분해 방법으로 레드 와인 중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HPLC로 분석한 결과 gallic acid, catechin,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quercetin, kaempferol의 6종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catechin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폴리페놀화합물의 총 함량은 칠레산이 미국산에 비하여 높았다(p<0.05). 미국산과 칠레산 Cabernet Sauvignon 와인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능은 이산화황 함량과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이외에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