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펌프효율

Search Result 61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velopment of a Thermoelectric Dehumidifier (열전식 제습기 개발)

  • 주해호;이재원;이화조;권도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04a
    • /
    • pp.753-757
    • /
    • 1996
  • 연전식 제습기는 제습판과 발열판, 열전식 열펌프, 팬과 모타, 직류 전원공급 장치로구성되어 있으며, 열전식 열펌프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면 고온면과 저온면이 발생하는 데 저온면의 온도룰 로점온도 이하로 냉각하여 공기중에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초기 단계로 개발된 열전식 열펌프를 이용한 열전식 제습기(TED-92)는 기계식 제습기에 비하 여 제습효율이 너무 낮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열전식 열펌 프의 선정, 핀 설계, 제습기의 설계 등을 중점적으로 개선하여열전식 제습기 (TED-95)를 개발하 였다. 여러가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열전식 열펌프 CP1.4-127-045L 2개를 사용하여 발열판의 크기를 300 mm로 하여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 전류를 4A를 입력하였을 때 단위전력당 제 습량이 가장 많았다. 열전식 제습기와 기계식 제습기를 비교실험 해본 결과, 열전식 제습기가 기 계식 제습기에 비해 약 21%의 제습효율을 나타 내었다. 그러므로 초기의 열전식 제습기 (TED-92) 보다 약 2배의 제습효율을 높였다.

  • PDF

하수 처리장 펌프의 특성과 개선 방향

  • 최영규
    • Journal of the KSME
    • /
    • v.25 no.5
    • /
    • pp.425-430
    • /
    • 1985
  • 하수 처리장에 사용되는 펌프는 엄격한 사양 및 성능 보장이 필요하므로 펌프 효율이 높아야 하며, 실적에 의한 사양 제시, 엄격한 검사 제도 및 기준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국내에서 설계 제작면에서 경험과 실적이 부족하나 앞으로 많은 하수처리장에서 펌프가 소요 되며, 상수도용 펌프와 비교할 때 중소형의 경우에는 고가인 것을 감안하면 볼류트형(volute type)의 슬러지 펌프는 상수용 펌프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 개발에 힘을 기울이고 전무제 작자를 육성하여 기술 축적 및 적절한 설비가 구비되도록 하여 실질적인 품질보증이 이루어지 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특수펌프인 프로그레싱 캐비티 펌프나 스크류우 펌프에 대하여는 경 험이 부족하므로 프로그레싱 캐비티 펌프의 경우 로우터(rotor)와 스테이터(stator)를 수입하여 조립하거나 스크류유 펌프의 경우 기술 제휴를 통한 기술 개발을 이룩하는 방법을 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 중소제작소에서 일부 기종에 대하여 외국인에 의한 중소기업진흥공단 주관의 단기간 기술지도를 받고 있으나 이에 대한 기술개발을 위하여는 전문기관과 장기적인 기술협력과 기술양성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전문업체가 육성되어야 할 것이나 이로서 중요 설비인 펌 프의 국산화가 조기에 달성되고 외화절약 및 기술정착이 이루어질 것이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External Gear Pump Using Immersed Solid Method (Immersed Solid Method 를 이용한 외접형 기어 펌프의 수치해석)

  • Yoon, Yong Han;Park, Byung Ho;Han, Yong Oun;Hong, Byeong Joo;Shim, Jaesool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8 no.1
    • /
    • pp.95-101
    • /
    • 2014
  • In this study, an ISM (immersed solid method) was used for investigating the mass flow rate and efficiency of an involute-gear pump featuring very high rotational speed. For considering circulation flow at the gear pump and housing, fluid flow was assumed as turbulent,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gear pump increased under the condition of constant pressure at both the inlet and outlet. The efficiency and mass flow rate of the gear pump were studied by varying its rotational speed and the clearance between the gear tip and the housing. In the simulation results, as the rotational speed were increased, the average mass flow rate and efficiency increased. Furthermore, as the clearance between the gear tip and the housing was increased, the average mass flow rate and efficiency decreased. The efficiency was 85.11, 90.94, and 93.62 at rotational speeds of 6,000 rpm, 8,000 rpm, and 10,000 rpm, respectivel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was no clearance. In addition, the efficiency was 93.62, 93.29, and 92.74 at clearances of 0 m, 0.00001 m, and 0.00003 m respectively.

A Study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Soil Vapor Extraction by Numerical Simulation (수치모형에 의한 토양증기추출법의 제거효율에 관한 연구 - 차단벽, 추출유량, 펌프가동방법의 영향 -)

  • Lee, Chang-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2
    • /
    • pp.121-129
    • /
    • 1999
  • When the soil vapor extraction as a remediation method of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has been used, the effects of curtain wall, mode of pump operation and magnitude of extraction flowrate were examined by numerical simulation.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removal rate was enhanced in case that the curtain wall was established around the extraction well with the extraction pumps operated alternatively. It was because that the removal of high density gas around the extraction well was possible. It was found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TCE gas did not depend on the extraction flowrate. However, the removal rate of TCE gas at varying extraction flowrate was not enhanced flowrate increase.

  • PDF

크라이오펌프 성능평가 방안

  • In, Sang-Ryeol;Jeong,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14-14
    • /
    • 2010
  • 현재 국내에서는 산학연이 힘을 합쳐 성능 면에서 탁월하고 가장 실용적인 고진공펌프로서 터보분자 펌프와 크라이오 펌프를 선택하여 국산화를 추진 중이다. 진공 펌프의 성공적인 개발은 당연히 핵심 부품들을 얼마나 정교하게 잘 만들고, 전체 시스템을 얼마나 유기적으로 잘 구성하는지에 달려있지만, 펌프 개발과정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키고 공식적으로 제품 개발을 완결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성능평가 시스템 기술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것은 펌프의 상용화 성공여부가 결국 객관적인 성능입증이 관건이고 이는 보편적인 규정을 따라 만들어진 평가장치를 사용하고 올바른 평가절차를 거쳐서 이루어져야 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표준연과 기기유화연 및 원연은 각각 터보분자 펌프와 크라이오 펌프의 종합 운전특성 평가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다. 이곳에서는 먼저 크라이오 펌프의 작동특성 및 이에 따른 성능평가지표에 대해 개관하고, 또 현재까지 진행된 크라이오 펌프 성능평가 시스템 구성 및 평가절차에 대해 정리하며, 끝으로 올해 제작된 운전성능 평가 장치의 시운전 결과에 대해 보고한다.

  • PDF

설비 시스템 설계와 펌프 및 송풍기 선정

  • 김삼근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9 no.9
    • /
    • pp.27-37
    • /
    • 2000
  • 설비시스템 설계에 있어 물과 공기를 반송하는 펌프와 송풍기는 배관 및 덕트 설비의 동력원으로써 건물에너지 소비량의 대단히 큰 비중을 차지할 뿐 아니라, 시스템 계획상 중요한 요소이면서도 시스템 계획에 부적합하게 선정되어 효율적인 시스템 구성에 실패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설비시스템 설계에 있어 펌프나 송풍기의 선정과 적용에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리하여 효율적인 시스템 설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Charge-pumped flyback-boost converter for charge balancing (차지펌프를 적용한 부스트 플라이백 컨버터 전하 균등화 회로)

  • Lee, Chun-Gu;Park, Joung-H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83-18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차지펌프를 적용한 부스트 플라이백 컨버터를 사용하여 연속 모드로 동작하는 전하 균등화 방법을 제안한다. 이 컨버터는 전압균형 상태일 때 부스트만 동작하므로 높은 효율을 가지며 전압불균형 상태일 때 플라이백이 동작하여 전압을 균등화시키는 특징을 지닌다. 이 때 차지 펌프를 적용한 플라이백을 사용하기 때문에 도통율에 따른 전압의 이득이 부스트와 동일하므로, 부스트 입출력 전압 변화에 자동으로 대응하며 가격과 효율 측면에서 우수하다. 제안된 회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고 400W급 하드웨어로 설계를 하여 검증하였다.

  • PDF

Analysis of vortex generation tendency around the pump suction using three dimentional numerical model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펌프 흡입부 주변의 와류 발생 경향 분석)

  • Byun, Hyun Hyuk;Yang, Jae Hoon;Yoon, Byung 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03-103
    • /
    • 2016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로 도시홍수의 피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구가 밀집하고 교통량이 많은 대도시의 경우 동일한 호우에 대하여 녹지나 농경지 등에 비해 그 피해가 더 심각하다. 일반적으로 홍수 피해의 직접원인은 외수로 인한 피해와 내수로 인한 피해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외수피해는 주로 소하천 및 지천의 범람, 제방의 붕괴 등으로 발생한 것이며 내수피해는 배수로, 하수도 및 펌프장의 내수배제능력 부족이 주된 원인이다. 따라서 도시홍수를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내배수시설의 성능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내배수 시설의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현재 기 설치되어 있는 빗물펌프장의 설계 및 내배수 효율에 대한 성능평가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국내 펌프설계기준에는 빗물펌프장의 설계 및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성능 평가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만약, 펌프 흡입수조 및 흡입파이프의 형상이 적절하게 설계되지 못한다면 물이 파이프 입구로 부드럽게 흡입되지 못하고 볼텍스 및 스월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볼텍스 및 스월은 펌프 입구 쪽으로 물 뿐 아니라 공기를 함께 흡입시킴으로써 펌프의 효율저하, 소음, 진동을 발생시키며 펌프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를 설치하기 전 펌프 설치 후에 발생되는 펌프 흡입부 주변의 흐름특성 변화 및 흐름특성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기 위하여 수리모형실험이 필요한데, 수리모형실험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그런 이유로 최근에는 수리모형실험 대신 수치모의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치모의의 결과는 수리실험의 결과와 비교, 검증을 거쳐 신뢰성을 얻는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모형의 다양한 난류모델을 이용하여 흡입파이프로 물이 유입될 때 흡입부 내, 외의 수심 별 유속 변화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FLOW 3D 모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 PDF

Effect of Rotor Design 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lurry Pump Using Tornado Principle (토네이도 원리를 이용한 슬러리 펌프의 성능특성에 미치는 로터 형상의 영향)

  • Park, Sang Kyoo;Yang, Hei Che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1 no.10
    • /
    • pp.631-638
    • /
    • 2017
  •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rotor design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slurry pump using the tornado principle. The slurry pump differs considerably in terms of construction as well as operating principle whe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entrifugal pump.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cross-shaped rotor included the diameter, thickness and height. The total head, shaft and water powers, and pump efficiency as a function of flow rate were compared with the design parameter. It was found that as the rotor diameter and height increase, the efficiency increases, whereas, an increase in the rotor thickness decreases the efficiency. In the rotor design condition of this study, the specific area and efficiency of the maximum height rotor were, respectively, smaller and higher than those of maximum diameter rotor.

Lead Angle Control Scheme for Automotive Water Pump (Lead Angle 제어기법을 적용한 자동차용 워터펌프 제어)

  • Park, Joon Sung;Kim, Jin-Hong;Choi, Jun-Hyuk;Gu, Bon-Gwan;Jung, In-So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543-544
    • /
    • 2011
  • 최근 고유가 문제와 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친환경저연비 자동차에 대한 기술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가운데서도 특히 반도체 및 배터리의 급속한 기술발전으로 자동차용 부품들이 기계식 방식에서 전자식 방식으로 대체되고 있다. 그 중에서 전동식 워터펌프는 엔진의 회전에 연동된 타이밍 벨트로 구동되는 기존의 기계식 펌프와 달리, 펌프부에 전기모터 및 제어기가 결합되어 독립적인 구동능력을 갖추고 있다. 자동차 동력효율을 높이기 위해 내연기관 및 주변 전장장치들의 온도를 주행조건에 따라 제어하여 적정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자동차 부품으로 전동 워터펌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자동차용 전동워터펌프 제어기 개발을 위하여 브러시리스형 DC모터를 적용하였다. 브러시리스형 DC모터는 고속 및 큰 부하에서 Back EMF 대비 전류의 지상 성분이 발생하여 상전류 증가 및 전체 효율을 떨어뜨린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ead Angle의 양을 계산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워터펌프에 적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