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펄스시험

Search Result 297, Processing Time 0.04 seconds

Study on Pulse Separation Device of Bulkhead Type for Solid Rocket Motors (고체 추진기관의 격벽형 펄스분리장치 연구)

  • Cho, Won-Man;Kim, Won-Hoon;Chang, Hong-Been;Oh, Jong-Yun;Lee, Bang-Eop;Lee,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7-190
    • /
    • 2009
  • A multiple pulse rocket motor distributes the thrust energy more effectively compared to typical rocket motor as providing subsequent thrusts by the pulse motors of the missile. The pulse rocket motor is the advanced technology to improve an end game capability of the missile by increasing the range and final velocity. A pulse separation device is the core part of the pulse motor. The pulse separation device of bulkhead type was designed and developed. The elastic-plastic structural analysis of the bulkhead and rupture disc was conducted. Several air tests were also conducted to confirm the structural safety and acceptability about the design concept.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nalysis results, which showed reasonable agreements.

  • PDF

저궤도 위성 전원선 확인 시험

  • Yun, Yeong-Su;Won, Yeong-Jin;Kim, Jin-Hui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85.2-185.2
    • /
    • 2012
  • 저궤도 위성 비행모델 기능시험은 위성체 내부 전장품들 간의 접속 확인과 조립 및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시험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위성체의 전원선 확인 시험은 전기 전자적 조립 시험에서 가장 처음으로 수행하는 시험이다. 전력조절분배장치로부터 전장품 각각의 하드웨어로 공급되는 50볼트 주전원 또는 28볼트 부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하게 되는지를 검증한다. 위성체 하니스가 설치된 후, 각각의 하드웨어에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 및 연속성 시험을 수행한다. 전력조절분배장치는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얻어진 전력이 레귤레이터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받아 릴레이나 FET를 통하여 모든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요 장비이다. 전력조절분배장치 내부나 외부 하니스 오류로부터 생길 수 있는 잘못 리드된 전원으로부터 전장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하니스를 하드웨어에 연결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전원선 확인 시험을 수행한다. 위성체 전원선 확인 시험은 위성체와 기능시험장비를 연결하여 시리얼 명령어를 통해 전력조절분배장치 내부의 FET 동작을 조절하며, FET 동작 상태 및 전장품에 접속되는 입력 단에서의 전압 및 전원 특성 등을 점검한다. 위성체의 주전원 50볼트 라인의 연결도 확인과 부전원 28볼트 라인의 연결도 확인 및 전력제어 유닛 내부 FET의 기능 확인을 수행하며 또한, 전력제어부 외부에 공급하는 28볼트 펄스와 15볼트 펄스를 측정 검증하는 시험을 수행한다.

  • PDF

3.0T 1H MR Spectroscopy를 위한 기존 STEAM 펄스시퀀스의 최적화

  • 백현만;정성택;현정호;류완석;류택현;최환준;김시승;최보영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2.11a
    • /
    • pp.82-82
    • /
    • 2002
  • 목적: Phase cycling과 fat suppression을 기존 STEAM 펄스시퀀스에 추가 및 최적화함으로써 3.0T 1H MRS 스펙트럼의 quality를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가톨릭의대에 설치된 3.0T MRI를 이용하여 STEAM 펄스시퀀스를 최적화하였다. 우선 CHESS 펄스시퀀스를 이용하여 물 신호를 억제하고, 대사물질의 신호에 영향을 주는 fat 신호를 제거하도록 펄스시퀀스 최적화를 시험하였다. 또한 Phase cycling을 이용하여 Noise 신호를 제거하였다. 스펙트럼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사에서 개발한 MaqSpec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Post-processing을 한 후 펄스시퀀스 변경 전후의 MRS 스펙트럼을 비교하였다.

  • PDF

Bipolar Pulsed Power Modulator Based on Full-bridge Power Cell Structure (풀브릿지 파워셀 구조 기반의 양극성 펄스 전원장치)

  • Song, Seung-Ho;Lee, Seung-Hee;Ryoo, Hong-Je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254-256
    • /
    • 2019
  • 본 논문은 파워셀 구조를 기반으로 설계된 양극성 펄스 전원장치에 대하여 소개한다. 파워셀은 풀브릿지 구조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833V를 출력하는 각 셀이 직렬로 연결되어 고전압을 생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모든 파워셀의 방전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해서 절연된 전력과 신호의 동시공급이 가능한 게이트 회로 구동방안이 제안되었다. 양극성 펄스 출력을 위한 파워셀의 각 래그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게이트 회로가 설계되었다. 설계된 양극성 펄스 파워 모듈레이터의 동작을 검증하기 위해 테스트 회로가 구현되었다. 시험회로는 출력전압, 펄스 폭, 반복률 가변 조건에서 테스트 되었으며, 이를 통해 제안하는 양극성 펄스 파워 모듈레이터의 구조 및 게이트 구동회로의 신뢰성이 검증되었다.

  • PDF

Assessment of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for Early Detection of Frost Damage in Concrete (콘크리트의 초기동해 진단을 위한 초음파 속도법의 적용 가능성 평가)

  • Moon, Sohee;Lee, Taegyu;Choi, Heesup;Choi, Hyeongg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4 no.2
    • /
    • pp.193-202
    • /
    • 2024
  • This research delves into the evaluation of the suitability of ultrasonic pulse velocity as a diagnostic tool for early detection of frost damage in concrete. The investigation involves the measurement of compressive strength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concerning the depth of freezing for individual mortar specimens,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ir microstructure and their interrelation. The findings indicate a consistent decrease in both compressive strength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with increasing freezing depth. Furthermore, a correlation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concerning the depth of early frost damage is established. Consequently, the study asserts the potential of utilizing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for early detection of frost damage in concrete, with prospects for quantifying the depth of damage through further research endeavors.

An Design and Test of Sealed off Vacuum Rotary Arc Gap Switch (Sealed off Vacuum Rotary Arc Gap 스위치의 제작 및 시험)

  • Seo, Kil-Soo;Lee, Tae-Ho;Lee, Hong-Sik;Rim, Geun-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c
    • /
    • pp.1868-1870
    • /
    • 2002
  • 최근 고전압/대전류 펄스파워응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정전형 고전압/대전류용 펄스파워전원장치의 핵심인 폐스위치의 수요 또한 점차 증가 할 것으로 추정된다. 펄스파워전원장치의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동작을 위해서는 주위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진공 스위치가 적합하다. 진공펌프, 챔버없이 사용이 간편하도록 sealed-off화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챔버내에서 동작이 확인된 회전 아크형 진공 스위치를 유지전압 22[kV]. 첨두전류 150[kAp]의 사양으로 스위치를 sealed off 제작 및 이를 동작 시험한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high-frequency, high-voltage, pulse transformer for TWT high-power density HVPS (진행파관증폭기용 고밀도 고전압전원긍급기용 고주파수, 고전압, 펄스 변압기 변압기 개발)

  • Kim, S.C.;Kim, D.H.;Nam, S.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b
    • /
    • pp.1205-1207
    • /
    • 2003
  • 고전압 전원공급기를 고 밀도로 제작하기 위하여 고 주파수 동작을 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기에서 최대의 부피를 차지하는 부품인 변압기는 원하는 주파수에서 최소의 부피로 충분한 전력을 수강하면서 완벽한 펄스재현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승압비를 일정수준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변압기의 설계 및 제작 시 주의하여야 한다. 진행파관 증폭기용 고밀도 고전압전원공급기용 고주파수, 고전압, 펄스 변압기 변압기를 설계, 제작 시험하였다. 변압기의 스윗칭 주파수는 80 kHz 이며 입력전압은 265 Vdc이고 출력전압은 4kVdc 이다. 변압기의 정상 출력은 1.7 kW이다. 그리고 최대부피는 $200\;cm^3$ 이하가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권선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변압기에 대하여 변압기의 설계 및 시험절차가 제시되었다. 그리고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 분포 케페시턴스 및 공진 주파수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 PDF

Fabrication and Test of Inverter Modulator for PLS-II (PLS-II용 200MW 인버터 고전압 전원장치를 사용한 모듈레이터 설계 제작 및 시험)

  • Park, Soung-Soo;Kim, Sang-Hee;Kwon, Se-Jin;Nam, Sang-Hoon;Kim, Dong-Soo;Soe, Min-Wook;Yoon, Heoung-Jin;Lee, Soo-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525-1527
    • /
    • 2011
  • 포항가속기 연구소에서 3.0 GeV의 에너지로 성능향상(PLS-II)를 위하여 선형가속기에 모듈레이터를 증설하였다. 추가 증설을 위하여 사용될 200 MW 인버터 모듈레이터를 설계, 제작, 시험하고자 한다. 모듈레이터에는 Inverter type 고전압 전원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사양은 펄스 전압 400 kV, 전류 500A, 펄스폭 8us, 반복횟수 30 Hz이며 부하는 80 MW 클라이스트론을 사용하여 시험할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 제작 및 시험 결과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Using a SCR Controller to High-Voltage Control (SCR 제어기를 사용한 고전압 제어연구)

  • Moon, Yong-Jo;Park, Soung-Soo;Kim, Sang-Hee;Shin, Seung-Hwan;Hwang, Jung-Yeon;Nam, Sang-Hoon;Lee, Chi-Hw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15-117
    • /
    • 2011
  • 포항가속기연구소에서 성능향상사업으로 2.5 GeV에서 3.0 GeV로 에너지를 증강하는 사업을 추진중에 있다. 선형가속기의 전자를 가속하기 위하여 필요한 에너지 공급 장치로서 RF 증복기인 80 MW 클라이스트론과 200 MW 펄스 전원공급장치가 필요하다. 성능향상사업으로 전자를 가속하기 위하여 기존의 12set중 4set는 개조하고 4set는 추가하는 방안으로 16set의 200 MW 펄스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여 운전 중에 있다. 그중 8set는 3상 AC/AC 위상제어 방식을 사용한 SCR 제어기의 출력을 승압트랜스퍼머 및 정류회로를 이용하여 고전압의 직류를 피드백 받아 일정한 펄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후 시험중에 있다. 펄스를 부하로 전달시 발생하는 노이즈한 환경에서 SCR Controller의 제어방식과 설치하여 시험한 결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 PDF

Test & Evaluation for the Configuration Optimization of Thrust Chamber in 70 N-class N2H4 Thruster (Part I: Pulse-mod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hamber Diameter Variation) (70 N급 하이드라진 추력기의 추력실 최적설계와 시험평가 (Part I: 추력실 직경변화에 따른 펄스모드 성능특성))

  • Kim, Jong Hyun;Jung, Hun;Kim, Jeong 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8 no.1
    • /
    • pp.42-49
    • /
    • 2014
  • Performance evalu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70 N-class hydrazine thruster whose design performance had been already verified. The pulse-mode firing test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model thrusters with various thrust chamber diameters. Evaluation was made by the performance parameters such as specific impulse, impulse bit, and characteristic velocity, etc: specific impulse and characteristic velocity were deteriorated as the thrust chamber diameter deviates from a standard model. Consequently, it is revealed that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tandard model is most superior among the test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