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펀드성과평가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easuring Fund Performance: Style Analysis and DEA Approach (스타일분석과 DEA를 활용한 펀드의 운용성과 분석)

  • Min Jae-Hyeong;Gu Gi-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77-1783
    • /
    • 2006
  • 일반적으로 펀드평가는 절대수익률이나 위험을 조정한 샤프지수 또는 트레이너 지수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벤치마크 지수를 기준으로 평가하여 펀드규모, 비용 등을 고려한 펀드간의 상대적 성과는 측정하지 못하고 있다. 펀드간의 상대적 성과평가는 펀드의 실질적인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펀드평가의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샤프의 스타일 분석을 이용하여 펀드의 유형을 분류하고, DEA를 이용하여 펀드간의 상대적인 성과를 측정한다. 분석자료는 2000년 1월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의 주식형 펀드의 월간수익률, 수익률 표준편차, 펀드비용, 펀드규모, 운용기간, 샤프지수 등을 이용한다.

  • PDF

DEA를 이용한 펀드(fund)의 성과 평가

  • Gang, Maeng-Su;Hong, Hyo-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409-412
    • /
    • 2006
  • 펀드의 성과 평가는 펀드선택 의사결정시 가장 중요한 고려요인이다. 전통적인 펀드 성과평과 지표인 샤프비율이나 트레이너 비율은 운용비용과 거래비용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펀드의 여러 수익과 비용요인들을 반영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DEA를 이용하여 펀드의 상대적인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분석자료는 2005년 12월 31일까지 국내에 존재하는 3년 이상 운용된 67개의 장기펀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입력변수는 비용과 관련된 총 보수율, 월수익률의 표준편차, 펀드 규모를 나타내기 위한 평균설정좌수를 이용하였고 출력변수는 이익과 관련된 예상 월평균수익률과 시장포트폴리오의 월수익률을 상회한 기간의 비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DEA를 통해 수익률만으로는 평가할 수 없는 펀드의 운용능력을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Non-benchmark Approach to Measuring Fund Performance (비벤치마크 기법을 활용한 펀드 성과의 측정)

  • Min, Jae-Hyeong;Gu, Gi-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180-183
    • /
    • 2006
  • 일반적으로 펀드는 벤치마크 대비 초과수익률 달성을 목표로 운용된다. 뮤추얼펀든, 헤지펀드, 연기금펀드, 사모투자펀드 등의 경우, 펀드의 운용 목표가 뚜렷하기 때문에 해당 펀드의 성과는 벤치마크와 목표수익률을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시장의 경우에는 펀드 내에 벤치마크운용, 사모전용, 헤지펀드기법, 절대수익 전략 등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펀드에 대하여 전통적인 벤치마크 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정확한 성과측정을 위한 방법으로는 적절하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펀드의 운용전략이나 목표가 혼재된 국내시장에서 비벤치마크 기법이 펀드 평가에 유용성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 PDF

우리나라 주식형 펀드의 투자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Jo, Dam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1 no.2
    • /
    • pp.109-130
    • /
    • 1994
  • 이 논문에서는 3대 투자신탁회사의 주식형 펀드의 투자성과를 측정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추가적으로 자산운용의 실무적 현실을 고려하여 각 펀드의 속성(주식편입비율 한도, 대상투자자, 운용회사)의 차이가 투자성과와 어떤 관련을 갖고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투자신탁에 내재하는 도덕적 위해의 문제를 노출시켜 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3대 투신사의 29개 주식형 펀드에 대한 1984. 2분기${\sim}$1993. 1분기의 분기수익률 자료를 사용하여 시장예측능력과 포트폴리오 선택 능력을 측정하였다. 시장예측능력의 척도로서 Henriksson & Merton(1981)이 제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선택 능력의 척도로서 Treynor & Black(1973)의 평가비율과 Fama(1972)의 순선택능력 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산운용을 담당하는 투신사와 주식편입비율 한도에 관계없이 주식형 펀드들의 시장예측능력과 선택능력 모두가 음의 값을 보이 고 있다. 예외적으로 외국인전용 펀드의 투자성과는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투자신탁에 비하여 다소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표본으로 사용한 5개 외국인전용 펀드는 다른 펀드와 마찬가지로 음의 시장예측능력을 보여주고 있으나, 평가비율은 다른 포트폴리오들과는 달리 양의 값을 갖고 있고, 이들의 순선택능력은 음의 값을 보이긴 하지만 다른 포트폴리오보다 그 절대 값이 보다 작다. 이러한 결과는 외국인전용 펀드의 포트폴리오선택능력이 보다 우수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국인전용펀드가 보다 나은 선택능력을 보여준 이유는 이들이 투자자문위원회라는 감시 장치를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환언하면 국내투자자용 펀드의 열등한 투자성과는 감시장치가 없는 데 따른 일종의 도덕적(道德的) 위해(危害)로 해석된다.

  • PDF

The Evaluation of Chinese Mutual Funds Performance

  • Wang, Seol-Lyang;Lee, Yu-Tae;Lee, Chang-Gyu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3 no.1
    • /
    • pp.133-160
    • /
    • 2007
  • 본 연구는 중국 뮤추얼펀드를 대상으로 폐쇄형(48개), 개방형(17개)으로 구분하여 총 65개 펀드에 대해 성과를 측정해보고, 이를 통해 중국 뮤추얼펀드가 지수대비 어떠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성과 평가 실증기간은 폐쇄형 펀드가 2002년 1월 4일부터 2004년 12월 31일까지 3년으로 하며 개방형 펀드가 2003년 1월 3일부터 2004년 12월 31일까지 2년으로 하였다. 실증연구방법들은 CAPM에 기반한 트레이너 모형, 샤프 모형, 젠센 모형과 장세판단능력 측정 모형인 트레이너-마주이 모형이다.

  • PDF

Function of Fund Distributor and Appropriateness of Sales Fees in Funds (펀드 판매사의 역할과 판매 보수의 적정성 : 한국의 주식형 펀드를 대상으로)

  • Won, Seung-Ye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6 no.1
    • /
    • pp.31-64
    • /
    • 2009
  • This paper evaluates the role of fund distributors and the appropriateness of sales fees in funds by the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equity funds.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paper shows that the funds with higher sales fees do not have better performance. Rather, the higher sales fees cause the returns of funds to decrease in Korean equity funds. Second, it is not confirmed that both banks and securities firms, as fund distributors, contribute to the better performance of funds. Especially, the banks gave more negative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funds by imposing higher sales fees in funds than the securities firms.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sales fees of funds are unduly imposed in comparison to the function of fund distributors and therefore, the structure of fund fees should be improved for the benefit of fund investors.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Equity Funds in Korea (우리나라 주식형 펀드의 투자성과 평가)

  • Shin, Inseok;Cho, Sungbi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2 no.1
    • /
    • pp.97-129
    • /
    • 2010
  • We examine performance of actively managed equity funds in Korea for the period from 2002 to 2008 and investigate if fund managers have market timing abilities. We obtain the following findings: (1) average performance of funds evaluated at net return basis(net of expenses) is statistically indistinguishable from zero; (2) average performance of funds evaluated at gross return basis(before netting expenses) exceeds benchmark market returns significantly. More importantly, when funds are grouped by their size of expenses, higher performance is matched with larger expense; (3) the regression results for decomposing positive excessive returns of large-expense funds between market timing and stock selection ability are mixed. The first two findings of the paper are consistent with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a $l{\acute{a}}$ Grossman and Stiglitz(1980). Concluding remarks, however, need to be reserved since sources of excessive performance of funds with large expenses are yet to be clarified.

  • PDF

Strategic Cross-Fund Subsidization: Evidence from Equity Funds in Korea (우리나라 주식형 펀드의 전략적 행동: 주식형 펀드 간 교차보조를 중심으로)

  • Cho, Sungbi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3 no.1
    • /
    • pp.45-72
    • /
    • 2011
  • This study uses Korea's equity fund-related data ranging from Jan. 2002 to Apr. 2010 to analyze the existence of cross-subsidization among funds managed by the same management compan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 a transfer of performance outcome is confirmed to move from low-fee funds to high-fee funds, meaning that management companies tend to maximize their own interest than investors' return. And such a tendency has been strengthened since 2008. ii) young funds overperform old funds, iii) funds with high returns in the previous quarter perform better than funds with low return in the same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protect investors, it is necessary to conduct close monitoring on transactions that might undermine the benefits of investors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on the capability of management companies.

  • PDF

벤처캐피탈의 조직특성 중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벤처캐피탈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

  • 김대희;하규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163-166
    • /
    • 2023
  • 벤처캐피탈은 유망한 기술력과 우수인력을 갖춘 창업초기단계부터 성장단계의 유망 중소벤처기업에 필요한 자본을 투자하고 경영 및 기술 등을 지원하여 성장 이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투자금을 회수하여 이익을 실현하는 벤처생태계의 핵심주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벤처캐피탈의 업무는 다양한 출자자(LP)를 모집하여 벤처투자조합(펀드)를 결성을 통해 성장성이 있는 중소벤처기업에 투자하고 기업의 성장함에 따라 투자금을 회수하여 출자자들에게 배분과 재투자를 하는 것이다. 벤처투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업무는 기업발굴, 기업분석 및 평가, 투자심사, 사후관리, 투자회수 등이며 임원급 이상의 경우 펀드레이징(펀드결성)이 중요한 업무이며 투자와 회수 및 펀드결성 등의 업무성과로 연봉, 성과급, 승진 등 보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급격히 성장하는 벤처투자시장에 비해 투자인력은 부족하며 이에 투자성과 제고를 위해 인력양성과 장기근속을 위한 인프라와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벤처캐피탈은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다른 산업에 비해 벤처캐피탈 산업의 연구자체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주로 투자수익률 등 계량적인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리스트가 소속된 벤처캐피탈의 조직특성 중 권한위임, 직무적합성, 조직신뢰 등이 성과급 등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고 벤처캐피탈의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적인 분석하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Investment Performance in the Korean Stock Market between Samsung-Group-Funds and Markowitz's Portfolio Selection Model Using Nonlinear Programming (한국 주식시장의 삼성그룹주펀드들과 비선형계획법을 이용한 마코위츠의 포트폴리오 선정 모형의 투자 성과 비교)

  • Kim, Seong-Moon;Kim, Ho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76-94
    • /
    • 2008
  • This paper investigates performance of the Markowitz's portfolio selection model with applications to Korean stock market. We choose Samsung-Group-Funds and KOSPI index for performance comparison with the Markowitz's portfolio selection model. For the most recent one and a half year period between March 2007 and September 2008, KOSPI index almost remains the same with only 0.1% change, Samsung-Group-Funds shows 20.54% return, and Markowitz's model, which is composed of the same 17 Samsung group stocks, reaches 52% return. We perform sensitivity analysis on the duration of financial data and the period of portfolio change in order to maximize the return of portfolio. In conclusion, according to our empirical research results with Samsung-Group-Funds, investment by Markowitz's model, which periodically changes portfolio by using nonlinear programming with only financial data, outperforms investment by the fund manager who possesses rich experiences on stock trading and actively changes portfolio based on minute-by-minute market news and business in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