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턴언어

Search Result 47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Phrase-Pattern-based Korean-to-English Machine Translation System using Two Level Word Selection (두단계 대역어선택 방식을 이용한 구단위 패턴기반 한영 기계번역 시스템)

  • Kim, Jung-Jae;Park, Jun-Sik;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209-214
    • /
    • 1999
  • 패턴기반기계번역방식은 원시언어패턴과 그에 대한 대역언어패턴들의 쌍을 이용하여 구문분석과 변환을 수행하는 기계번역방식이다. 패턴기반 기계번역방식은 번역할 때 발생하는 애매성을 해소하기 위해 패턴의 길이를 문장단위까지 늘이기 때문에, 패턴의 수가 급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패턴의 단위를 구단위로 한정시킬 때 발생하는 애매성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시소러스를 기반으로 한 두단계 대역어 선택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애매성을 감소시키면서 패턴의 길이를 줄이는 모델을 제시한다. 두단계 대역어 선택 방식은 원시언어의 한 패턴에 대해 여러 가능한 목적언어의 대역패턴들이 있을 때, 첫 번째 단계에서는 원시언어 내에서의 제약조건에 맞는 몇가지 대역패턴들을 선택하고, 두번째 단계에서는 목적언어 내에서의 제약조건에 가장 적합한 하나의 대역패턴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모델에서 패턴의 수가 코퍼스의 증가에 따른 수렴가능성을 논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Building Korean & Chinese Music Request Sentence Patterns for AI Assistant Platforms (AI 어시스턴트 플랫폼의 한국어와 중국어 음악청취 요청문 패턴구축 비교 연구)

  • Yun, Soeun;Li, Jiabin;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383-38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AI 어시스턴트의 음악청취 도메인 내 요청문을 인식 및 처리하기 위해 한국어와 중국어를 중심으로 도메인 사전 및 패턴문법 언어자원을 구축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다국어 언어자원 구축의 접근 방법을 모색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패턴 기반 문법으로 기술한 언어자원을 요청문 인식에 직접 활용하고 또한 주석코퍼스 생성을 통해 기계학습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패턴문법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기에 앞서, 해당 도메인의 요청문 유형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요청문의 실현 양상과 패턴유형을 LGG 프레임으로 구조화한 후, 한국어와 중국어 패턴문법 간의 통사적, 형태적, 어휘적 차이점을 비교분석 하여 음악청취 도메인 요청문의 언어별 생성 구조 차이점을 관찰할 수 있었다. 구축한 패턴문법은 개체명을 변수(X)로 설정하는 경우, 한국어에서는 약 2,600,600개, 중국어에서는 약 11,195,600개의 표현을 인식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언어자원의 언어별 차이에 대한 통찰을 통해 다국어 차원의 요청문 인식 자원과 기계학습 데이터로서의 효용을 확인하였다.

  • PDF

Selecting Model of Head in Support Verb Constructions for Phrase-Pattern-based Korean-to-English Machine Translation (구 단위 패턴 기반 한영 기계 번역에서의 기능동사 구문의 중심어 선택 모델)

  • Kim, Hae-Gyung;Chae, Young-Soog;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203-208
    • /
    • 1999
  • 한국어는 잉여성과 중의성의 범 언어적인 특징과 함께 다른 언어에 비해 주어의 생략이 두드러지며 어순이 자유롭기 때문에 구문 형식의 지배를 덜 받는다는 개별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기계번역의 패턴을 추출할 때 서로 유사 가능성이 있는 패턴에 대한 고려가 없이는 같은 의미의 서로 다른 여러 개의 패턴을 모두 하나의 패턴으로 처리하는 오류를 범할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구 단위 패턴은 동사구, 명사구, 형용사구 그리고 부사구를 중심으로 한국어 패턴, 패턴 대표 카테고리, 한국어 패턴의 중심어 및 제약조건 대역영어패턴 의미코드로 나뉜다. 범 언어적인 특성의 한국어와 영어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각각의 명사에 의미코드를 사용하여 다중 언어기반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한국어의 개별적인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중심어 부과 자질을 사용하였다. 중심어 부과 자질에 있어서, 특히 술어기능명사를 중심어로 하는 기능동사 '하-' 구문은 다른 동사 구문의 형식과는 달리 논항의 수와 형태를 동사가 아닌 명사가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에 대한 변별적인 자질 부여는 구문의 형태-통사적 특징 뿐만이 아니라 의미적인 고유의 특성까지도 잘 뒷받침하면서 패턴 추출에 월등한 효율성을 제시할 수 있다. 향후 이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인 기능동사 구문뿐만이 아니라 개별적인 특징을 보이는 모든 구문에 대한 연구로 확대되어 패턴 기반 기계번역의 패턴 추출에 기본적인 정보의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Pattern Language of Cultural Urban Regeneration -Focused on Henan-Sung of China-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패턴언어 개발연구 -중국 하남성(河南城)을 중심으로-)

  • Fan, Dan Dan;Kim, Se-Hw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6
    • /
    • pp.192-203
    • /
    • 2019
  • China's urban regeneration, which has been focused on economic growth since the 1950's, has brought about the uniformity of cities. In order to improve on this, the urban regeneration policy has been transformed into a cultural city resource, which is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while utiliz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However, the specific application methods are still lacking. In this study, I attempt to modify the apartment environment of the city, Hanan-sung, based on the pattern-language of Christopher Alexander, a space planning tool that can be used in urban regeneration. First, 23 patterns were chosen from the primary pattern-language. Next, I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housing culture of Hanan-sung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surveyed the opinions of current apartment residents, and summarized the requirements. Finally, a new pattern-language was developed for the regeneration of the old apartments from the viewpoint of the culture, by modifying i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housing culture of Hanan-sung which summarizes 23 pattern-languages.

Modelling Grammatical Pattern Acquisition using Video Scripts (비디오 스크립트를 이용한 문법적 패턴 습득 모델링)

  • Seok, Ho-Sik;Zhang, Byoung-Ta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0.10a
    • /
    • pp.127-12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코퍼스를 통해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을 모델링하여 무감독학습(Unsupervised learning)으로 문법적 패턴을 습득하는 방법론을 소개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적은 수의 특성 조합으로 잠재적 패턴의 부분만을 표현한 후 표현된 규칙을 조합하여 유의미한 문법적 패턴을 탐색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베이지만 추론(Bayesian Inference)과 MCMC (Markov Chain Mote Carlo) 샘플링에 기반하여 특성 조합을 유의미한 문법적 패턴으로 정제하는 방법으로, 랜덤하이퍼그래프(Random Hypergraph) 모델을 이용하여 많은 수의 하이퍼에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하이퍼에지의 가중치를 조정하여 유의미한 문법적 패턴을 탈색하는 방법론이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유아용 비디오의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아용 비디오 스크립트에서 문법적 패턴을 습득하는 방법론을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the Color Patten Selection Using Linguistic Image Words (감각 언어를 이용한 칼라패턴 선택에 관한 연구)

  • 엄진섭;유원영;이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424-428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의 칼라패턴을 추천하여 주는 칼라패턴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는 감각언어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 감각 언어를 이용한 9가지 심리적 척도의 감성 질의의 형태로 시스템에 입력되며 시스템은 입력된 질의와 칼라패턴의 감성 속성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의 칼라패턴을 추천한다. 이를 위하여 감각 언어의 9가지 실리적 척도에 대한 칼라패텬의 9가지으 감성 속성을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칼라패턴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은 패션 및 상품 디자인, 화랑의 회화 등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소비자들의 요구에 좀 더 빠르게 접근하는 해결책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Iterative Feedback-based Personality Persona Generation for Diversifying Linguistic Patterns in Large Language Models (대규모 언어 모델의 언어 패턴 다양화를 위한 반복적 피드백 기반 성격 페르소나 생성법)

  • Taeho Hwang;Hoyun Song;Jisu Shin;Sukmin Cho;Jong C. Par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454-460
    • /
    • 2023
  •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s, LLM)의 발전과 더불어 대량의 학습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LLM의 편향성에 관심이 집중하고 있다. 최근 선행 연구들에서는 LLM이 이러한 경향성을 탈피하고 다양한 언어 패턴을 생성하게 하기 위하여 LLM에 여러가지 페르소나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사람의 성격을 설명하는 성격 5 요인 이론(Big 5)을 이용하여 LLM에 다양한 성격 특성을 가진 페르소나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페르소나 간의 성격의 차이가 다양한 양상의 언어 사용 패턴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보였다. 그러나 제한된 횟수의 입력만으로 목표하는 성격의 페르소나를 생성하려 한 기존 연구들은 세밀히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진 페르소나를 생성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페르소나 부여 과정에서 피드백을 반복하여 제공함으로써 세세한 성격의 차이를 가진 페르소나를 생성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실험과 분석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론으로 형성된 성격 페르소나가 다양한 언어 패턴을 효과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음을 확인했다.

  • PDF

The state complexity of ${\sum}^*L$ for pattern matching (패턴매칭을 위한 오토마타의 상태복잡도)

  • Eom, Hae-Sung;Han, Yo-Sub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478-480
    • /
    • 2011
  • 우리는 패턴매칭에서 많이 사용되는 정규언어의 연산 ${\sum}^*L$에 대한 일반적인 경우의 상태복잡도와 단항 알파벳인 경우의 상태복잡도를 살펴본다. 정규언어의 상태복잡도는 해당 정규언어를 승인하는 최소결정적 유한 인식기의 상태 개수를 말한다. 패턴매칭, 검색엔진에 많이 사용되는 어떤 정규언어 L 에 대한 연산 ${\sum}^*L$의 상태복잡도를 살펴봄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를 통해 좀 더 빠른 검색을 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Sentence Pattern of the Korean Language for Machine Translation (기계 번역을 위한 한국어 문장 패턴에 관한 연구)

  • Song, Jae-Gwan;Hong, Sung-Woong;Park, Chan-Kh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308-312
    • /
    • 1996
  • 본 연구에서 말뭉치를 이용하여 기계 번역을 위한 한국어 문장 패턴을 추출하였다. 문장 패턴은 해당 언어의 기본 문법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언어 습득을 위해서 유용하다. 기계 번역을 위해서는 기본 문법 구조뿐만 아니라 각 단어간의 의미 관계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품사 태깅 및 명사에 의미 소성을 태깅하여 한국어의 문장 패턴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장 패턴은 구문분석시 애매성을 해소할 수 있으며, 동음다의어의 해석이 가능하며, 의미의 부정합 판정이 가능하다.

  • PDF

Design of Verb-Phrase Patterns for Korean-to-English MT (한영 자동 번역을 위한 동사구 번역패턴의 활용)

  • 양성일;김영길;서영애;김창현;홍문표;최승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78-180
    • /
    • 2001
  • 원시언어 문장의 구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원시언어의 최소 의미 단위는 동사를 중심으로 한 단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단문 단위 대역어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동사구 번역패턴의 사용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단문 내 격 정보와 번역을 위한 의미 제약조건을 기술하여 한영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동사구 번역패턴을 정의하고, 문장 정규화를 통한 동사구 번역패턴의 활용방법을 제안한다. 동사구 번역패턴은 단문 구조 파악을 위한 제약 조건부와 대역어 선정부로 나뉜다. 제약 조건부는 단문 구조 번역을 위한 최소한의 의미 제약만으로 기술되며, 격조사로 구분되는 격 정보를 갖는다. 이러한 격 정보는 원시언어인 한국어의 단문 분석을 위해 사용되며 분석결과에 대해 단문 단위 대역어를 지정한다. 동사구 번역 패턴은 실제 말뭉치에서의 사용을 반영하기 위해 병렬 말뭉치로부터 구축되며 실험을 통해 예측되는 패턴의 규모를 알아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