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킷 스케줄링

Search Result 24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n Efficient Scheduling Scheme for Bluetooth Piconets (블루투스 피코넷을 위한 효율적 스케줄링 기법)

  • 이우신;이혁준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0 no.1
    • /
    • pp.38-47
    • /
    • 2003
  • Communication between Bluetooth devices is based on TDD by a master unit. In this discipline, the transmission of slave packets can be made only when the master transmits a packet to the slave. Thus, some slots may be wasted when there is no user data in the master's or slave's queue due to the transmission of a POLL or NULL packet. Therefore a scheduling scheme which can minimize the slot waste is required in Bluetooth intra-piconet communication. However, since the master is responsible for the intra-piconet scheduling, it must be provided with an information on each slave's queue length to apply traditional scheduling schemes. which is impossible in Bluetooth. This paper presents a new Bluetooth intra-piconet scheduling scheme that is efficient and does not require the information on each slave's queue length. The scheduling is don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existence of data in the master and slave queues which is derived by the master identifying the type of packets transmitted. The master schedules to communicate with the slaves according to the priorities determined based on this information. We Presents simulation results which indicate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erformance when our proposed scheme is used.

Q-learning based packet scheduling using Softmax (Softmax를 이용한 Q-learning 기반의 패킷 스케줄링)

  • Kim, Dong-Hyun;Lee, Tae-Ho;Lee, Byung-Jun;Kim, Kyung-Tae;Youn, He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37-3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자원제한적인 IoT 환경에서 스케줄링 정확도 향상을 위해 Softmax를 이용한 Q-learning 기반의 패킷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Q-learning의 Exploitation과 Exploration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e-greedy 기법이 자주 사용되지만, e-greedy는 Exploration 과정에서 최악의 행동이 선택될 수도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Softmax를 기반으로 다중 센서 노드 환경에서 데이터 패킷에 대한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한다. 이 때 Temperature 매개변수를 사용하는데, 이는 새로운 정책을 Explore 하기 위한 매개변수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된 Softmax를 이용한 Q-learning 기반의 패킷 스케줄링 기법이 기존의 e-greedy를 이용한 Q-learning 기법에 비해 스케줄링 정확도 측면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 PDF

An Efficient Packet Scheduling on Bluetooth MAC Layer by Using Bin-Packing and DRR (Bin-Packing 과 DRR 을 이용한 블루투스 MAC 계층에서의 효과적인 패킷 스케줄링)

  • 안혜환;윤희용;손재기;전기만;양만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d
    • /
    • pp.451-453
    • /
    • 2003
  • 본 논문은 블루투스 MAC 계층에서의 패킷 스케줄링 성능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대부분의 많은 블루투스 MAC 계층 스케줄링 방식은 라운드로빈(RR)을 사용하고 있는데, 많은 슬롯과 시간을 낭비하게 되고 최적화된 업링크와 다운링크에 적합하지 않다. 한편, 블루투스의 마스터 노드에서 생기는 자원 낭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MAC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Bin-packing 과 DRR 을 이용하는 MAC 계층에서의 효과적인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그 성능이 기존 방식에 비해 우월함을 보인다.

  • PDF

An Inter-piconet Scheduling for Bluetooth 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개인 영역망을 위한 피코넷 간의 스케줄링)

  • 이우신;이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87-18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인터 피코넷 스케줄링 방식과 현재까지 연구된 인트라 피코넷 스케줄링을 인터 퍼코넷 스케줄링으로 적용할 때의 성능을 분석한다. 스캐터넷에서 피코넷 간의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여 실험하며, 이때 평균 패킷의 전송 지연 시간을 측정하여 각 인터 피코넷 스케줄링의 성능을 분석한다. 비교 분석을 위해 PRR, ERR, LWRR 스케줄링 방범을 블루투스 시뮬레이터에 구현만다. 인트라 피코넷 스케줄링을 PRR, ERR, LWPR 방식으로 동작시킬 때 각각 인터 피코넷 스케줄링으로 PRR, ERR, LWRR을 적용한다. 실험결과는 스니프 모드 사용방식의 PRR을 인터 피코넷 스케줄링으로 적용 할 때 인트라 피코넷 스케줄링에 독립적으로 제일 낮은 평균 패킷 전송지연 시간을 가짐을 보인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Transmission rate Scheduling Schemes for non-real Service in Burst-Switching (DS/CDMA) System (버스트 교환 방식 CDMA 시스템에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전송률 스케줄링 기법 비교 분석)

  • 김미정;김수원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9 no.5A
    • /
    • pp.574-582
    • /
    • 2004
  • This paper shows the performance comparisons of several different rate scheduling schemes for non-real time data service over the uplink of burst switching-based direct sequence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DS/CDMA) system to support the integrated voice/data service. The closed-form solution of optimal scheduling formulation, which minimizes average transmission delay when all of the active data users are transmitting simultaneously, is presented and mathematical analyses with other rate scheduling schemes, which provide efficiency criterion of transmission delay for rate scheduling schemes, are performed. Numerical results show the analyses explicitly.

Packet Scheduling Scheme for Multiple Switches in SDN Environment (SDN 환경에서 다중 스위치를 위한 패킷 스케줄링 기법)

  • Lim, Hwan-Hee;Yoo, Seung-Eon;Lee, Byung-Jun;Kim, Kyung-Tae;Youn, He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93-94
    • /
    • 2019
  • 최근 클라우드 서비스가 급속도로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는 기존의 IP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기존의 네트워크는 댜앙한 트래픽 패턴에 대해 비 효율적이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DN 기술이 도입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센터에서는 SDN 기술을 채택하여 많은 성과를 이루고 있지만 패킷 스케줄링 같은 분야는 아직 초기단계이다. 또한 SDN 환경에서 각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데이터와 관련된 스위치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큐잉이론을 적용한 패킷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 PDF

A simple method for reducing the complexity of EPLA packet scheduling algorithm (EPLA(Expected Packet Loss Amount) 패킷 스케쥴링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줄이는 간단한 방법)

  • Lee, Young-Du;Nhan, Nguyen Thanh;Koo, In-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511-512
    • /
    • 2008
  • EPLA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IEEE 802.22 WRAN 시스템의 실시간 트래픽 전송 지원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참고문헌[4]으로 제안되었다. 패킷 기반 무선 전송 시스템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경우 짧은 데이터 유효 시간을 가지며, 만약 데이터 유효 시간이 초과할 경우 실시간 트래픽 데이터로써의 가치를 상실하기 때문에 시스템에서는 해당패킷을 전송하지 않고 제거해 버린다. 그러므로 실시간 트래픽의 중요한 서비스 품질(QoS) 인자인 요구된 패킷 손실율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트래픽의 데이터 유효 시간을 고려하여 자원을 할당하여야 한다. 기존의 패킷 스케쥴링 알고리즘들은 많은 경우 큐의 맨 앞에 위치한 패킷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지만 EPLA는 패킷이 저장되는 큐 내의 다음 프레임에서 제거 될 것으로 예상되는패킷의 손실양을 고려하여 자인을 할당함으로 기존의 실시간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비해 훨씬 좋은 성능을 보인다. 하지만 EPLA는 예상되는 패킷 손실양을 계간하기 위해서 모든 사용자의 큐에 저장된 패킷들을 확인해야하므로 높은 복잡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사용자로부터 피드백 받은 부채널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큐를 확인하여 횟수를 제한함으로써 패킷 손실을 성능의 손실 없이 복잡도를 줄이는 간단한 방법을 제안하고, 실시간 트래픽인 음성 트래픽과 비디오 트래픽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이를 확인한다.

  • PDF

Packet Scheduling Algorithm Supporting Fair Service (공정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

  • 윤여훈;김태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379-381
    • /
    • 2001
  • 라우터나 스위치 같은 네트워크상의 접근 포인트에서 트래픽들에 대한 불공정 큐잉은 서비스의 성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병목을 일으킬 우려가 많기 때문에 트래픽들에 대한 공정한 패킷 스케줄링 기법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2]. 그 중에서 서비스 할당량 SQ(Service Quantum)와 결손 계측자 DC(Deficit Counter)를 사용하는 DRR 기법은 다른 것들에 비해 작업 복잡도가 낮고 보다 정확한 공정성을 보장하는 패킷 스케줄링 기법이다. 그러나 이 기법은 TCP 프로토콜의 재전송 타이머에 의해 검출된 전송이 실패된 패킷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TCP 프로토콜의 재전송 타이머에 의해 검출된 전송이 실패된 TCP 패킷을 관리하기 위한 추가적인 큐를 두어 기존의 DRR 보다 정확한 공정성을 보장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Adaptive Packet Scheduling Algorithm in IoT environment (IoT 환경에서의 적응적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

  • Kim, Dong-Hyun;Lim, Hwan-Hee;Lee, Byung-Jun;Kim, Kyung-Tae;Youn, He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15-1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센서 노드로 구성된 Internet of Things (IoT) 환경에서 새로운 환경에 대해 적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IoT 환경에서는 데이터 수집 및 전송 패턴이 사전에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존 정적인 Packet scheduling 기법으로는 한계가 있다. Q-learning은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사전지식 없이도 반복적 학습을 통해 Scheduling policy를 확립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Q-learning 스케줄링 기법을 기반으로 각 큐의 패킷 도착률에 대한 bound 값을 이용해 Q-table과 Reward table을 초기화 하는 새로운 Q-learning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 기법에 비해 변화하는 패킷 도착률 및 서비스 요구조건에 적응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감소하였다.

  • PDF

QoS-based Packet Scheduling Algorithm for Integrated Service (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QoS기반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

  • 이은주;오창석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6 no.4
    • /
    • pp.154-162
    • /
    • 2001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scheduling algorithm of router system for Internet service based on the qualify-of-service (QoS) level of the input source traffics. We suggest an approprite scheduling algorithm in order to satisfy their QoS requirements for the loss-sensitive traffic and delay-sensitive traffic. For this purpose, we first study the service requirements of the multiplexer in Internet and the definition of QoS based on the ITU-T white recommendations. Second. we suggest a functional architecture of the multiplexer and the scheduling algorithm to satisfy various QoS requirements for Internet service. Finally. the performance measures of interest, namely steady-state packet loss probability and average delay, are discussed by simulation results.

  • PDF